이육사문학관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메인메뉴
문학관소개
인사말
문학관안내
오시는길
전시관안내
전시관 둘러보기
전시관 관람안내
연중행사계획
문학관 갤러리
이육사
육사의 생애
육사의 문학
독립운동
작품감상
관련출판물
사진자료
생활관안내
생활관 안내
세미나실 안내
주변시설 안내
주변관광지 안내
주관행사
육사추념식
문학축전
이육사詩문학상
중국이육사문학제
추모사업회
(사)이육사추모사업회
후원안내
후원금사용내역
커뮤니티
공지사항
문학관행사
문학관의 하루
언론보도
자유게시판
prev
next
이육사문학관
이육사의 민족정신과 문학정신을 길이 전하고 널리 알립니다.
프로그램안내
문학관안내
시설대관
여름문학학교 신청하기
이육사문학관전시실안내
이육사의 민족정신과 문학정신을 길이 전하고 널리 알리는 공간입니다.
이육사문학관
문학과 독립을 함께 추구한 육사 이원록선생
육사의 생애
육사의 문학
독립운동
생활관 안내
세미나실 안내
주변안내
육사의 발자취
17번의 감옥생활
1927년 첫 옥살이
1930년 첫 시 “말"발표
1944년 베이징 감옥에서 순국
본명은 이원록이며, 경북안동에서
태어났다.
이름
이원록(李源祿)
이활(李活)
264
육사(陸史)
이육사(李 陸史)
1935년 6월 이후 거의 대부분
‘이육사’가 사용되었다.
1904
경북 안동군 도산면 원천동 881번지에서 태어났다.
1909
조부 치헌 이중직에게 소학을 배우기 시작했다.
1930(26세)
1월3일 첫 시(詩)<말>을 조선일보에 발표(이활)
1939(35세)
종암동 이사,<청포도>발표
1940(36세)
시 <절정>, <광인의 태양> 등 발표
1943(36세)
한글 사용 규제 받자 한시만 발표
“육사는 문단의 어느 유파나 동인에 감담하여 작품 활동을 한 자취는 찾아 볼 수 없다. 그의 짧은 전 생애를 통해서 오직 독립투쟁에 바쳐 왔다는 사실이 그가 문단 생활에 전념할 만큼의 정신적 겨를이 없다는 이유에서 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기계주의 비인간화에 대한 반발에서 출발
그의 시는 현대의 기계주의 적 비인간화에 반발하여 인간의 생명 자체를 추구한다. 그의 시는 끝없는 방랑에서의 회상(향수)과 초극 의지에서 비롯된 기다림의 양극에서 분비되는 ...
‘장진홍 의거’ 연루
억지로 꾸며낸 시나리오로 육사 형제들은 너무나 오랜 세월을 감옥에서 보내야만 했던 것이다.
대구경찰서 2개월 옥고
대구 거리에 일본을 배척하는 내용의 격문이 전봇대에 나붙고 거리에 뿌려지는 거사가 일어났다.
육사는 바로 이 사건의 배후조종자로 지목되어 체포되었던 것이다.
무장투쟁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1기생 독립운동단체 의열단 군사학교육 군사학 교육-탄약,폭탄,뇌관... 1기생으로 졸업-공연대본
공지사항
+ 더보기
제15회 이육사문학축전 <봄> 행사 안내
4월 "육사와 영화를 보다" 영화 상영 안내
3월 "육사와 영화를 보다" 영화 상영 안내
2월 "육사와 영화를 보다" 영화 상영 안내
이육사문학관 작가초청기획전 "강병두의 休休之寫…
전시관람 시간안내
3월-10월
: 오전 09:00~오후 18:00
11월-2월
: 오전 09:00~오후 17:00
휴관일
: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월요일 공휴일인 경우 다음날
오시는길
영화 상영 일정
전시관람 요금안내
구분
개인
단체(30인이상)
어린이
1,000
500
청소년.군경
1,500
1,000
성인
2,000
1,500
무료
65세이상, 7세이하, 장애인, 국가유공자
주변관광지 안내
+ 더보기
포토 갤러리
+ 더보기
문학관 행사
+ 더보기
이전
재생및일시정지
다음음
카페 바로가기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2009 by 이육사문학관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우) 36604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525 / 전화: 054-852-7337 / 팩스 : 054-843-7668
이메일: yuksa264@daum.net / 개인정보보호책임 : 윤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