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감상

본문 바로가기

작품감상
이육사의 민족정신과 문학정신을 길이 전하고 널리 알립니다.
작품감상
홈 현재위치 : 홈 >  이육사   >   작품감상   >   평문  

작품감상

1935년과 노불관계 전망
이 활
《신조선》1935. 1

일(一)

최근의 소식통은 노불협약의 성공을 전하여 천하의 평화를 갈망하는 사람들에게 적지않은 흔선을 주었을 뿐아니라 세계적 위기라는 1935년을 맞이한 오늘에 있어 완전히 다른 정치경제의 체제를 가진 두 개의 거대한 국가가 한번 더 손을 잡으려는데 대해서 위대한 공노를 양개 국가의 외교당국자들에게 드리는 것은 당연한 예의인 것이지만 특히 대로친선의 급선봉이 가장 격화한 시대라는 것을 구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한 예로서는 1924년에 성공한 불국(佛國)의 좌익내각수상 에리오씨가 영국보존당정부의 쳄파-렌씨와 공동계획으로 독일을 대쏘정책의 밋기(餌)로 쓴 사실이다.

이 계획은 1925년 붐 쳄파-렌씨의 파리 방문이나 제네바에 있어서의 국연춘기위원회를 통해서 착착 진행되었던 것은 동년 가을에 이르러 정책의 실현을 위하여 로카르노회의가 소집되었던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정책의 실현과정이란 그다지 손쉽게 아무 대공도 없이 성공되는 것이 아니고 결국 영불이 양개의 인페리아리즘의 대공상이고 현실의 역사는 벌써 그들의 이론을 파산케 한것도 옛일의 하나였으나 실제에 있어서 공황의 선화를 계기로써 불란서의 산업자본주의가 요구한 소벳트 덤핑방지법의 폐지, 쏘불무역관계부활 같은 것들은 금융자본의 완강한 거부에 분쇄되었던 것은 세인의 기억에 아직 사라지지 않은 만큼 사물의 선악은 말하지 말고라도 이러한 일이 있었던 1925년으로부터 오늘날까지의 국제적 정치경제정세의 커다란 상위에 대한 새로운 고려만은 해서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때는 자본주의가 상대적 안정기였으며 지금이야말로 자본주의의 일반적위가 되어있는 불란서의 민중재상 에리오씨의 공을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쏘불관계의 장래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이래의 쏘불관계의 역사적 소장의 구주외교의 전면적 구명을 시험해 보기 전에는 정확한 해답을 바랄 수가 없는 것이다. 세상의 논객들은 불국에 있어서의 공황의 심화라든지 이러한 단순한 이유로써 또는 좌익내각의 출현○○(판독불능)는 등 너무나 말소적인 현상만을 들어서 쏘불관계를 아주 전향기에 들어선 것같이 떠든 것은 사물의 현상만 보고 본질을 파하지 못한 고루한 학자적 幻은 엄연히 錦??에 칼을 싼데도 불구하고 대쏘란생명선상의 문제를 위해서는 영불 양개정부의 모즌 양보 더구나 군사상의 모든 양보는 이 회의의 성과를 더욱 신속히 하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다음으로 영국의 대쏘정책에 말이 났으니 말이지 이론의 당연발전을 위해서는 영불 양국의 대쏘정책의 제관계까지 논급하여 주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과 아울러 이상 양국의 구라파에 있어서의 영도권획득의 대 과정까지 고찰하여 현금의 국제정국에서 가장 지배적인 지위를 점령한 불국의 대쏘정책을 논술하는 것은 적절한 순서가 아니면 안될 것이다.

이(二)

여기서 우리의 시각을 통하여 본 영국 인페리아리즘의 대쏘인식은 제삼국제의 원조밑에서 자기국내의 ××운동이 확대강화된다고 보는 것과 식민지에 있어서는 피통치군의 동요와 한걸음 나아가서는 노서아 시장의 획득인 것은 알기에 고심할 것도 없는 것이다. 그래서 영국 자본의 의도는 볼드윈 내각으로 하여금 화란 체코슬로밧갸 루마니아 등 국을 자국과 우호관계 맺게하고 그 발전을 위해서 노력을 약속하였으니 볼드윈 내각은 이상의 국가들에 있어서 산업발달을 시키고자 그 중에도 운수공업을 발달시킬만한 재정적 보조를 기여하여 장래의 지도권을 확보하려하였으며 영국 인페리아리즘의 제창인 영불군사동맹도 한숨에 달성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양개국가의 대공은 대쏘정책의 긴밀한 임무를 위해서는 한번도 대립되지 못하였을 뿐아니라 그 유명한 주불노대사 라코부스커- 소환사건이란 것도 여사한 의도를 가진 영제국주의 다시말하면 영국 석유자본의 책동에 의하여 인출되었던 것은 당시의 신문들이 훤적하게 떠든 것만도 알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구주에서 대쏘정책의 영도권을 잡을 만한 국가라면 그 지도적 권력제도를 통일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그럴때는 노서아의 인접지 즉 그 소협상국 및 발칸 제국을 금융적 군사적 세력으로서 정복한다는 것은 절대로 필요한 것이었다. 그래서 영제국정부는 이들 소협상국에 군수품을 제공하거나 군사재정을 보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보다 더 긴밀한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너무나 많은 외교정책을 행하여 온 것이니 그 특징적 예를 몇가지 만들 것 같으면

가, 1928년 4월 두 사람의 영국비행가가 런던으로부터 폴란드의 항공상태를 시찰하고자 [루부란]에 날아 온 것과

나, 1928년 4월에 영국의 군사사절이 [루발]에서 분란(芬蘭)의 참모본부를 방문한 것과

다, 1928년 6월 영국의 뿌르 대장이 [리가]와 [루발]을 방문하고 [리트와니아]와 [에스트니아]의 각 참모본부의 대표자들과 협의한 사실은 당시에 공표되지 않은 것이니만큼 아직도 정확한 말을 못할지언정 그 뿌-르 장군은 그전부터라도 대쏘문제의 한 권위로써 탁월한 견해를 가지고 인접제국의 중요성을 그려보고 온 사람이다.

다음으로 영국이 쏘벳트 인접국에 대하여 취한 수단은 경제적 재정적 원조인 것이니 즉 영정부는 파란이 아메리카 자본의 착관을 얻는데 성공케 한 것과 아울러 1929년 루-마니아를 위해서 국제착관의 조직에 대하야 특별한 노력을 한 것이었으니 그 착관의 대부분은 루-마니아 군비확장에 사용된 것이다. 그 외에도 영국자본은 동국의 군수공업공장건설에 막대한 장기대부를 하였으며 이외에 영국은 여러 가지 외교적 또는 경제적 정책을 통하여 파란 및 발칸 제국간의 군사동맹을 결성하기에 노력하엿으나 이것은 영불 양국의 이해의 대립으로 말미암아 영불동맹이 결성한 후에도 완전한 방법이 실현은 되지 않았다. 그리고 어느때나 이러한 필사적 영제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구라파에 있어서 그의 영도권은 불란서에 장악되어왔으니 이것은 무슨 까닭에 언제부터의 일이었을까?

삼(三)

그러면 불란서가 구라파에 있어서 패권을 잡기에 영제국을 압도시킨 최대의 원인은 양국가의 경제력 상위였다는 것은 불란서의 경제적 번영과 강대한 군비력이 금일의 불란서로써 구주패권을 잡게 한 것이며 그것이 불국으로써 대쏘선상에 대담하게 진출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특히 이에 기억하여둘 것은 불란서가 대소○○(판독불능)에 지휘자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쏘벳트 인접 소국의 맹주가 되지 않아서는 안될 것은 영국의 그것과 하등 다를 것이 없었으며 이 제소국이 맹주가 되려면 군사적 경제적 기초조건이 완전히 구비되지 않으면 불가능하였다. 세인이 알다시피 영불 블록의 결성후에라도 불국이 구주에서 쏘벳트 인접국에서 군사적 지휘권을 잡은 소이는 불국이 영국보다 우수한 세력을 소유하지 않으면 안되였다. 이것은 파란 루-마니아 기타 중구제국의 전 존재가 그의 군사적 금융적 맹주인 불란서의 후원에 달려있는 것만 생각하면 명료히 아는 것과 같이 불국의 이상과 같은 원조가 없이는 쏘벳트 서경의 현재와 같은 군사조직은 어떤 사람이라도 상상할 수 없다기보다 그곳에 있어서는 영불 양국의 패권획득의 투쟁과정을 구체적으로 말하기가 곤난한 것이다.

가. 대전 직후 쏘베트 인접국에 대한 군사적 재정적 원조는 영불이 거의 공통되었다. 파란 루-마니아를 상대로는 불란서가 주역을 맡았지만 빨틱 제국의 그것은 영국이었다.

나. 1920년부터 1926년까지 쏘벳트 인접제국의 군사적 경제적 원조의 지배적 역할을 맡은 것은 불국이었으나 동년말기에 이르러 불국은 급격한 금융상태의 동요와 다른 정치적 원인으로 부여된 임무를 수행할 역량이 희박하여지자 이 기회에 영국과 이타리가 막대한 이익을 본 것은 세간주지의 사실이었다.

다. 1927년 불국은 새로운 공세로써 루-마니아에서 이타리의 세력을 구축하고 말았으니 사실상 이루 간의 협약이라는 것은 무효가 되었고 영국의 파란을 중심으로 한 제국에서 세력 감퇴되었다.

이같이하여 불국은 쏘벳트 서경제국의 군수품 공급의 지배적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으니 체코슬로바키아의 원조에 적극적 참가를 하게 된 것도 이 기간의 사실이며 체코의 군수공업이 불국의 공업과 협동하는데 의해서 날로 왕성하여진 것도 마치 루-마니아와 파란의 그것과 한가지인 것이다. 그 중에도 가장 특징적인 일례로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스코다 공장으로서 이 공장의 자본의 대부분은 불란서 금융자본의 수중에 장악되어있는 것이다.

1928년이 불체간의 상태는 한층 더 발전하였으니 체코의 군수공업이 급속히 발전하여 루-마니아와 파란으로부터 군수품의 대량주문이 있은 것과 론드 장군과 필츠키-의 방문, 체파 통상조약의 협약 등등은 물끓듯 하는 세상의 균형이 기울게 된다면 이것들의 역할을 말하지 않아도 알수가 있는 것이지만 미국의 그것은 아무리 중요한 것이라고는 할지라도 불란서의 그것에 비하면 문제도 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1929년말부터 세계공황의 폭발과 함께 맨처음 격열한 공황에 휩쓸린 것은 중구제국이었으며 이것을 구제할 자는 동양으로 몰락에 신음하는 영제국이 아니고 공황과 가장 잘 싸워온 막대한 대부였던 것도 특기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사(四)

이러한 전통을 가진 불란서의 대소정책은 그 수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로 변해왔으나 그 근본 방침만은 결코 변하여질 리는 만무한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쏘벳트서경에 이같이 공고한 반병을 작만하여 놓은 이상 옛날과 같은 공포심은 어느 정도까지 해소되었다는 것보다는 구주의 안전보장을 위해서는 어떠한 희생이라도 하려는 만큼 히틀러의 독일의 출현에 따라 형해만 남은 베르사이유 조약을 수호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지자를 구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여기서 소련의 처지로 본다고 하더라도 여하간 세계평화를 보장한다는 말에는 이들과 손을 잡기도 그다지 손해는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친선이란 것은 어느때나 상대적으로는 친선할 수가 있는 만큼 다같이 친선을 도모하려면 그중에도 불란서가 좋은 것이며 이 소련의 관계는 베르사이유조약이 존재하는 동안은 어쩌면 지속되어가리라고 믿어두는 것은 죄없는 희망일 듯하다.

본의는 좀더 구체적으로 논술하려하였으나 시간관계로 유감이나마 금번은 이 정도에 주리고 다음 기회에 미루어둔다 필자로부터
국제무역주의의 동향
이 활
《신조선》 1934. 10

지난 6월 런던에서 개최되었던 국제 경제회의가 실패한 이래로 세계의 각국은 오늘날의 경제공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모두 제각기 다른 방법으로 피나는 노력을 하여왔으니 무엇보다도 외국상품의 침입을 저항하기에 힘쓰는 한편 국내산업을 진흥하여 수출만 증가하기를 주요정책으로 한 것은 각국의 공동한 요구였던 만큼 누구나 부인치 못할 사실이었다.

그러나 우리로서 허수히 보아치우지 못할 중대한 문제는 이러한 경쟁의 목표와 이 목표에 도달하는 수단 그것이다. 만약 우리에게 세심한 관찰을 용서한다면 오늘날같이 블록경제가 성행하는 시대에 있어 각국 무역의 목표와 수단은 벌써 새로운 전향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일개국가의 이익을 전제로 수입을 방지하고 수출을 증진한다는 것은 완전히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전체세계의 경제적 기초 위에서 볼 때 이러한 순연한 이기적인 수입방지와 수출증진은 사실상 양립하지 못할 모순에 봉착하게 된다는 것은 한 국가의 수입은 다른 한 국가에는 수출이 된다. 그러므로 만약 국가가 수입을 제한한다면 그것은 다른 한 국가의 수출과 및 그 나라의 수출증진정책을 억제하는 것과 같음으로 이에 완전히 대립이 생기는 것이다.

또한 국가의 수출은 다른 한 국가의 수입이 된다. 그러므로 한 국가의 수출증진은 다른 한 나라의 수입을 초과케하고 따라 그 나라의 입초방지정책과 대립하게 된다. 그러나 현금의 세계 각국은 모두 자국에 이익을 전제로 하는 처지에서 도저히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된 정책을 고집하고 있다는 것은 오늘날 국제경제의 근본적인 일개 모순이다.

현재의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런 모순된 한 정책을 그냥 실행해 갈 수가 있다한다면 결국 입초방지는 어느 지경까지 할것이며 수출증진은 어느 정도까지 할 수가 있느냐는 것도 당연히 한낫 문제가 된다는 것은 수입을 완전히 봉쇄하야 자급자족을 실행한다는 것은 실제에 있어 목적을 도달하지 못할 것이고 마찬가지로 수출을 무제한으로 증가한다는 것도 일종의 공상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일종의 이론에 불과한 것이고 이같은 정세밑에서 천식하는 세계각국은 그 힘이 자라는 데까지 입초를 방지하고 수출을 증가하는 외에 실제에 다른 길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의 국제경제의 혼란은 그 무역으로써 드디어 일종 새로운 전향을 발생케 하였으며 이러한 새로운 전향이란 것은 즉 최혜주의를 폐기하고 호혜주의를 내세는 것이다.

이(二)

상대방에 한 개의 대상이 있을 때 그것을 가장 고급인 형용사로 최(最) 자를 가져다가 표현하면 된다. 그러므로 오늘날 국제경제상에 가장 은혜롭게 부여된 최혜주의도 당연히 일개 국가에 한해서만 적용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국제무역의 최혜주의란(즉 최혜국조약주의) 상술한 의의와는 전연 상반해서 다수상대국에 대하여 최대의 은혜를 급여하는 것이고 결코 어떤 일개국가에 한해서만 최대의 은혜를 급여하는 것은 아니다. 기실 다수국가에 대하여 시여한 박애인 것이다.

그러면 어째서 최혜주의가 이같이 박애주의로 변했느냐는데 우리가 좀더 탐구해 볼 여지가 있다는 것은 최혜주의란 갑을 양국간에 체결할 최혜국 협약이라는 것을 우리는 안다. 만약 양자중에 어떠한 국가가 제3국에 대해서 보다 더 큰 이익을 준다고 할것 같으면 그 외 상대방의 국가도 역시 그 이익을 균점해야만 될 것이다. 그것은 마치 중국이 미국과 체결한 통상조약에 최혜국조약의 규정이 있고 그후 만약 중국이 영국에 대하여 저율관세를 협정했다고 할 것같으면 미국도 당연히 이에 균점해야 할 것이다.

실제에 있어 한 개 국가가 다수한 조약국을 상대로 이러한 최혜국조약을 승인하고 그것이 비록 어떠한 국가에 최대의 은혜를 급여했거나 기타 일체의 체약국이 다같이 예에 따라 이익을 균점할 수 있다고 하면 무엇으로써 최혜라고 할 조건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최혜의 본질이 최혜균점주의로 변한 것이며 벌써 이것을 균점주의라고 할 것같으면 차라리 박애주의라고 하는 것이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이러한 실례에는 명치 44년 일본과 영·불·이 삼국간에 특별관세협정이 체결되었을 때도 이러한 은혜를 균점한 최혜조약국이 20여개에 달한 것을 보아도 소위 최혜주의란 것은 결코 일개국가에만 한해서 주는 최대은혜가 아니고 일체의 조약국의 다같이 주는 최대 은혜인 것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보면 최혜조약은 벌써 박애주의일 뿐만 아니라 균점주의인 동시에 결국은 자유주의 평등주의로 변질한다는 것은 적어도 일개의 근대국가는 어떤 한 개라도 외국과 더불어 조약을 체결치 않은 국가는 없다. 그러므로 오늘의 국제관계에서 일반이 국가인격이 있다고 승인하는 국가는 거의가 다 조약국이다. 따라서 통상조약에 최혜조항을 삽입하는 것은 일체 국가상 국가간에 적용되는 보편원칙이 되어있다.

벌써 최혜조약이 이러할 때 이후는 어떤 국가를 물론하고 어떤 특혜조약을 체결하더라도 일체국가가 다같이 공동으로 균점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무릇 지구위에 있는 모든 근대국가는 다같이 평등으로 자유로 최대이익을 균점할 것이다.

국제무역의 자유주의적 근거가 비록 여기에 있지 않다하더라도 최혜주의는 확실히 자유무역의 일개유력한 지주인데는 틀림이 없다. 이러한 이유밑에서 자본주의 초기에는 일방 관세주의인 동시에 또한 자유무역주의가 행해져 왔다.

삼(三). 협정관세로부터 구제관세

선진 자본주의국가는 후진자본주의국가에 대하여 예외없이 강력적인 침략을 행해온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오늘날의 후진자본주의국가가 선진자본주의국가를 상대로 체결한 관세조약은 모두가 이러한 강박밑에서 체결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형세하에 체결된 관세조약을 일반 사람들은 쌍방의 협의로 된 것이라하여 협정관세라고 하나 사실은 강박으로써 결정한 것이란 것이 사실에 가깝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 차 선진국의 강제밑에서 불리한 조건으로 체결한 관세조약이라도 다른 일절의 조약국은 여기에 이익을 균점해야 하는 것이며 이와같은 역사를 가진 관세조약이 앞에 말한 최혜주의인 것이다.

그러나 선진자본주의국가의 중압밑에 있는 후진국가가 점점 자본주의화해올때는 앞에 체결한 협정관세를 파기할 필요를 느끼게 되는 것이며 따라 자국의 법률에 의한 자주적인 보호관세를 규정할려고 하는 것이니 이런 방법은 조약을 개조하는 수속을 밟아서 관세의 자주권을 확립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며 이렇게 하면 이전에 다른 국가와 협정한 관세는 곧 자국의 법률로 규정한 법정관세로 변하는 것이다.

본래 최초의 법정관세란 것은 자국내의 유치한 산업을 보호하기를 목적으로 한 일종의 보육관세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유치한 국내산업의 발달이 관세의 보호밑에서 어느 정도까지 성숙하면 법정관세의 최초의 목적은 달성한 것이며 이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법정관세는 철폐키는커녕 도리어 팽창하여 카-ㄹ텔 관세로 전변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최후로 전후에 영속적인 불경기와 세계경제공황은 결국 카르텔 고나세로부터 구제관세에 두 번째 전화하지 않을수 없었고 이에 원인하여 벌써 특수히 유치한 산업조차도 보호하지 못할 뿐아니라 또한 단순한 카르텔 산업도 보호하는 것이 아닌 동시에 일종공황의 참화 중에서 일반산업중의 약소기업을 구제하려는 구제관세가 되고 말았다.

사(四). 국민주의와 관세전쟁

위에 말한 보육관세라든지 카르텔관세라든지 구제관세라든지 모든 자주적 권한으로 제정해온 법정관세 등등은 자국을 본위로 한 자애주의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같은 자애주의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소위 박애주의니 평등주의니 하는 최혜국조약은 자연히 소멸할 운명을 내포하고 있는 동시에 국제무역의 자유주의도 또한 제한주의로 변한다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관세의 자주적 보호주의는 후진자본주의국가에 소용되는 반면에 카르텔관세는 선진자본주의국가에서 수구하는 바이다. 그러나 최근의 구제관세는 일절자본주의국가가 모두 필요로 하는 바이며 이 까닭에 전세계는 모두 관세전쟁의 참화중에 혼입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보면 관세의 전환은 최혜주의로부터 자혜주의에 다시 협정주의에서 법정주의에로 전화하였다. 바꾸어말하면 자유주의에서 제한주의에 국제주의에서 국민주의에로 전화하였다고도 말할 수 있는 동시에 방임주의에서 통제주의의 계단에까지 왔다고 할 수 있으니 이러한 관세의 전환은 대전후 전세계의 주요한 무역의 동향인 것이다.

그러나 이 국제주의에 반해서 국민주의에 돌아간 세계무역은 오늘날의 일개 국민경제의 범위안에 있어서 벌써 파탄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것은 극단적인 수입방지와 수출증진은 현하의 국제 정세밑에서는 한 개의 아름다운 몽상에 지나지 못하는 것이다.

편협한 국민의 자족자급이란 절대주의는 소수의 특수국가를 제한 외에는 어느 곳에나 통과시켜볼 곳도 없는 것이며 이 때문에 오늘의 국제경제의 정세안에 있는 세계무역은 국민주의로부터 블록주의에 전향하지 않을 수 없는 운명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것은 즉 관세전쟁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현하에의 세계무역은 전 세계의 일반적인 정치적 위기와 보조를 같이 하여 쉴 바를 모르고 무궤도로 운명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노신추도문
李 陸 史
《朝鮮日報》(1936·10·23∼29)

노신 약전-부저작 목록-

노신(魯迅)의 본명은 주수인이며 자(字)는 예재(豫才)다. 1881년 중국 절강성 소흥부에서 탄생. 남경에서 광산학교에 입학하야 양학에 흥미를 가지고 자연과학에 몰두하였으며 그후 동경에 건너가서 홍문학원을 마치고 선대 의학전문학교와 동경독일협회학교에서 배운 일이 있다.

1917연에 귀국하야 절강성내의 사범학교와 소흥중학교 등에서 이화학 교사로 있으면서 작가로서의 명성이 높아졌다. 그리하여 오회문학운동후 중국문학사조가 최고조에 달하였을 시대에 북경에서 주작인 경제지(耿濟之) 심안영(沈雁永) 등과 함께 『문학연구회』를 조직하고 곽채약(郭採若) 등의 『로맨티시즘』문학에 대하야 자연주의문학운동에 종사하고 잡지 『어사(語絲)』를 주재하는 한편 북경 정부교육부문서 과장 및 국립북경대학 국립북경사범대학 북경여자사범대학 등의 강사로 있었으나 학생운동에 관계되어 북경을 탈출하였다.

1926연 도하문 대학교수로서 남하 그 후 광주중산대학 문과주임교수의 직에 있다가 1928년 이것을 사직하고 상해에서 저작에 종사하는 한편 『맹아일간』이란 잡지를 주재하였다.

이로부터 그의 문학태도는 점점 좌익으로 전향하여 1930년 『중국좌익작가련맹』이 결성되자 여기 가맹하여 활동하던 중 국민정부의 탄압을 받아서 1931年 상해에서 체포되었다. 그 뒤 끊임없는 국민정부의 간섭과 남의사(藍衣社)의 박해중에서 꾸준히 문학적 활동을 하고 국민정부의 가용단체인 『중국작가협회』를 반대하던 중 지난 10월 19일 오전 5시 25분 상해시 고탑 자택에서 서거하였다. 향년 56.

주요한 작품으로는 {아Q정전(阿Q正傳)} {눌함(喊)}{방황(彷徨)}{화개집(華蓋集)}{중국소설사략(中國小說史略)}{약(藥)}{공자기(孔子己)} 등이다.

1932년 6월초 어느 토요일 아침이었다. 식관에서 나온 나와 M은 네거리의 담배가게에서 조간신문을 사서 들고 근육신경이 떨리도록 굵은 활자를 한숨에 내려 읽은 것은 당시중국과학원 부주석이요 민국혁명의 원로이던 양행불(楊杏佛)이 남의사원(藍衣社員)에게 암살을 당하였다는 기사이엿다.

우리들은 거리마다 삼엄하게 늘어선 불란서공무국 순경들의 예리한 눈초리를 등으로 하나 가득 느끼면서 여반로(侶伴路)의 서국까지 올 동안은 침점이 계속되었다.

문안에 들어서자마자 편집원 R씨는 우리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들려주었다.

중국 좌익작가연맹의 발안에 의하여 전세계에 진보적인 학자와 작가들이 상해에 모여서 중국의 문화를 옹호할 대회를 그해 팔월에 갖게 된다는 것과 이에 불안을 느끼는 국민당 통치자들이 먼저 진보적 작가진영의 중요분자인 반재년(潘梓年)(현재남경유폐)과 인제는 고인이된 여류작가 정령(丁玲)을 체포하여 행방을 불명케한 것이며 여기 동정을 가지는 송경령(宋慶齡)여사를 중심으로한 일련의 자유주의자들과 작가연맹이 맹열한 구명운동을 한 사실이며 그것이 국민당통치자들의 눈에 거슬려서 양행불이 희생된 것과 그외에도 송경령 채원배(蔡元培) 노신 등등 상해안에서만 30명에 가까운 지명지사(知名之士)들이 남의사의 『블랙 리스트』에 올라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뒤 3일이 지난후 R씨와 내가 탄 자동자는 만국빈의사 앞에 다았다. 간단한 소향 의 예가 끝나고 돌아설때 젊은 두 여자의 수원과 함께 들어오는 송경령 여사의 일행과 같이 연회색 두루막에 검은 『마괘아(馬掛兒)』을 입은 중년 늙은이 생화에 싸인 관을 붙들고 통곡을 하던 그를 나는 문득 노신인 것을 알았으며 옆에 섰던 R씨도 그가 노신이라고 말하고난 십분쯤 뒤에 R씨는 나를 노신에게 소개하여주었다.

그때 노신은 R씨로부터 내가 조선 청년이란 것과 늘 한번 대면의 기회를 가지려고 했더란 말을 듣고 외국의 선배앞이며 처소가 처소인만치 다만 근신과 공손할 뿐인 나의 손을 다시한번 잡아줄때는 그는 매우 익숙하고 친절한 친구이었다.

아! 그가 벌써 56세를 일기로 상해시 고탑 9호에서 영서하였다는 부보를 받을 때에 암연 한줄기 눈물을 지우니 어찌 조선의 한사람 후배로써 이 붓을 잡는 나뿐이랴.

중국 문학사상에 남긴 그의 위치 {阿Q의 正傳을 다읽고 났을때 나는 아직까지 阿Q의 운명이 걱정되어 못견디겠다』고 한『로망·로-랑』의 말과 같이 현대중국문학의 아버지인 노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먼저 阿Q의 정전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지금의 중국의 阿Q들은 벌써 『로망·로-랑』으로하여금 그 운명을 걱정할 필요는 없이 되었다. 실로 수 많은 阿Q들은 벌써 자신들의 운명을 열어갈 길을 노신에게서 배웠다. 그래서 중국의 모든 노동층들은 남경로의 『아스팔트』가 자신들의 발밑에 흔들리는 것을 느끼며 시고탑노신촌의 9호로 그들이 가졌던 위대한 문호의 최후를 애도하는 마음들은 황포탄의 붉은 파도와 같이 밀려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阿Q시대를 고찰하여 보는데 따라서 노신정신의 삼단적 변천과 아울러 현대중국문학의 발전과정을 알아보는 것도 그를 추억하는 의미에서 그다지 허무한 일은 아닐 것이다.

중국에는 고래로 소설이라는 오늘날 우리가 보는 것과 같은 완전한 예술적 형태는 존재하지못했다. 삼국연의나 수호지가 아니면 홍루몽(紅樓夢)쯤이 있었고 다소의 전기가 있었을 뿐으로서 일반교양있는 집 자제들은 과거제도에 화를 받아 문어체의 고문만 숭상하고 백화소설같은 것은 속인의 할 일이라 하여나치 않는 한편 소위 문단은 당송팔가와 팔고의 혼합체인 동성파와 사기당과 원수단의 유파를 따라가는 사륙병체문과 황산곡을 본존으로 하는 강서파 등등이 당시 정통파의 문학으로서 과장과 허위와 아유로서 고전문학을 모방한데 지나지 못하였으며 새로운 사회를 창생할 하등의 힘도 가지지 못한 것은 미루어알기도 어렵지 않은 분위기속에 중국문학사상에 찬연한 봉화가 일어난 것은 1915년 잡지 {신청년}의 창간이 그것이다.

이것이 처음 발간되자 당시 『아메리카』에 있던 호적지(胡適之)박사는 『문학개량 추의』라는『문학혁명론』을 1917年 신년호에 게재하여 진독수(陳獨秀)가 이에 찬의를 표하고 북경대학을 중심으로 한 진보적인 교수들이 합류하게되자 종래의 고문가들은 이운동을 방해코저 가진 야비한 정치적 수단을 써 보았으나 1918년 4월 호에 노신의『광인일기』란 백화소설이 발표되었을 때는 문학혁명 운동은 실천의 거대보무를 옮기게되고 벌써 고문가들은 추악한 꼬리를 감추지 않으면 안되였다는 것은 그 후 얼마뒤에 노신이 광동에 갔을 때 어떤 흥분한 청년은 그를 맞이하는 문장속에 『광인일기(狂人日記)』를 처음 읽었을 때 문학이란 것이 무엇인지 몰랐던 나는 차차 읽어내려가면서 이상한 흥분을 느꼈다. 그래서 동무를 만나기만하면 곳 붙들고 말하기를----- 중국의 문학은 이제 바야흐로 한 시대를 짓고있다. 그대는 『광인일기』를 읽어보았는가 또 거리를 걸어가면 길 가는 사람이라도 붙들고 내 의견을 발표하리라고 생각한적도 있었다……』 (魯迅在廣東)

이 문제의 소설 『광인일기』의 내용은 한 개 망상광의 일기체의 소설로서 이 주인공은 실로 대담하게 또 명확하게 봉건적인 중국 구사회의 악폐를 통매한다. 자기의 이웃사람은 물론 말할 것도 없고 특히 자기 가정을 격열히 공격하는 것이다. 가정--------가족제도라는 것이 중국봉건사회의 사회적 단위로서 일반에 열마나한 해독을 끼처왔는가. 봉건적 가족제도는 고형화한 유교류의 송법 사회관념 하에 당연히 붕괴되어야할 것이면서 붕괴되지 못하고 근대적 사회의 성장에 가장 근본적인 장애로 되어있는 낡은 도덕과 인습을 여지없이 통매했다. 이에 『광인일기』중에 한절을 초하면

『나는 역사를 둬적거려 보았다. 역사란건 어느 시대에나 인의도덕이란 몇 줄로 치덕치덕

씨여져 있었다. 나는 밤잠도 안자고 뒹굴뒹굴 굴러가며 생각하여 보았으나 겨우 글자와 글자사이에서 『사람을 먹는다』는 몇자가 씌여 있었을 뿐이었다.』

이같이 추악한 사회면을 폭로한 다음 오는 시대의 건설은 젊은 사람들의 손에 맡겨져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면서 이소설의 일편은『어린이를 구하자』는 말로서 끝을 맞는다. 실로 이 한말은 당시의 『어린이』인 중국 청년들에게는 사상적으로는 『폭탄선언』이상으로 충격을 주었으며 이러한 작품이 백화로 쓰여지는데따라 문학혁명이 완전히 승리의 개가를 부르게된 공적도 태반은 노신에 돌려야하는 것이다.

『광인일기』의 다음 연속해 나온 작품으로 『공을이(孔乙已)』『藥』『明日』『一個小事件』 『두발적고사(頭髮的故事)』『풍파(風波)』『고향(故鄕)』등은 모두 신청년을 통해서 세상에 물의를 일으켰으나 그후 1921년 북경신보문학부간에 그유명한 『阿Q正傳』이 연재되면서부터는 노신 자타가 공인하는 문단 제1인적 작가였다. 

그리고 이러한 대작은 모두 신해혁명 전후의 봉건사회의 생활을 그린것으로 어떻게 필연적으로 붕괴하지 않으면 안될 특징을 가졌는가를 묘사하고 어떻게 새로운 사회를 살아갈가를 암시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당시의 혁명과 혁명적인 사조가 민중의 심리에 생활의 『디테일스』에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가장『레알』하게 묘사한 것이다. 더구나 그는 농민작가라고 할만큼 농민생활을 그리는데 교묘하다는 것도 한가지 조건이 되겠지만는 그의 소설에는 주장이 개념에 흐른다거나 조금도 무리가 없는 것은 그의 작가적 수완이 탁월하다는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그의 작품은 늘 농민을 주인공으로 하는 것과 때로는 『인테리』일지라도 예를 들면 『孔乙己』의 공을기나 『阿Q正傳』의 阿Q가 모두 일파이 상통하는 성격을 가지는 것이니 孔乙己는 구시대의 지식인으로 시대에 떨어져서 무슨 일에도 쓰여지지 못하고 기품만은 높았으나 생활력은 없고 걸인이 되어 선술집 술상대에 이금십구적 주책가 어느때까지 쓰여져있는데로 언제인지 행방이 부명된 체로 나중에 죽어졌던 것이라던지 『룸펜』농민인 阿 Q가 또한 쑥스러운 녀석으로 혁명혁명 떠들어 놓고는 그것이 몹시 유쾌해서 반취한 기분이 폭동대의 일군에 참가는 하려고 하였으나 결국 허풍만 치고 아무것도 못하다가 때마침 얼어난 폭도의 경탈사건에 도당으로 오해되어 (피의 평소 삼가지 못한 언동에 의하야) 피살되는 阿Q의 성격은 그때 중국의 누구라도가 전부 혹은 일부분 소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阿Q가 공을 이가 모두 사고와 행동이 루-즈하고 확호한 한개의 정신도 없으며 우약하면서도 몹시 건방지고 남에게 한개 쥐여질리면 아무런 반항도 못하면서 남이 자신을 연민하면 제 도량이 커서 남이 못 덤비는 것이라고 제대로 도취하여 남을 되는대로 해치는 무지하고 우수면서도 가엷고 괴팍스러운 것을 노신은 그『레얄 리스틕}한 문장으로 폭로한 것이 특징이 였으니 당시 『阿Q正傳』이 發表될 때 평소 노신과 교분이 좋지 못한 사람들은 모두 자기를 모델로 고의로 쓴 것이라고들 떠드는 자가 있은 것을 보아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당시 중국은 시대적으로 『阿Q 時代』이 였으며 노신의 『阿Q正傳』이 발표될 때는 비평계를 비롯하여 일반지식군들은 『阿Q相』이라거나 『阿Q時代』라는 말을 평상대화에 사용하기를 항상 다반으로 하게된 것은 중국문학사상에 남겨놓은 노신 위치를 짐작하기에 좋은 한개의 재료거니와 그의 작가로서의 태도를 통하야 일실하여있는 노신정신을 다시한번 음미해보는데 적지않은 흥미를 갖게된다는 것은 오늘날 우리의 조선문단에는 누구나 할것없이 예술과 정치의 혼동이니 분립이나 하나 문제가 엇지보면 결말이 난 듯도 하고 어찌보면 미해결 그대로 있는 듯도한 현상인데 노신같이 자기신념이 굳은 사람은 이 예술과정치란 것을 어떻게 해결하였는가? 이문제는 그의작가로서의 출발점부터 구명해야한다.

노신은 본래 의사가 되려고 하였다 그것은 자기의 『할일』이 무엇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물론 그때의 자기의 『할일』이란 것은 민족개량이라는 신념이였던 모양이다 그래서 그는 後年『눌함』서문에 다음 같이 썼다.

『나의 학적은 일본 어느 지방의 의학전문학교에 두었다. 나의 꿈은 이것으로 매우 아름답고 만족했다 졸업만하고 고국에 돌아오면 아버지와 같이 치료 못하는 병자을 살리고 전쟁이 나면 출정도하려니와 국인의 유신에 대한 신앙에 까지 나아갈 것------』이라고

이것은 물론 소년다운 노신의 로맨틱한 인도주의적 흥분 이였겠지만은 이꿈도 결국은 깨여지고 말았다.

------의학은 결코 긴요하지 않다. 우약한 국민은 체격이 아무리 좋다고해도 또 아무리강상해도 무의미한 구경거리나 또는 구경꾼이 되는 밖게는 아무것도 아니다 ---中略---그럼으로 긴요한 것은 그들을 정신적으로 잘 개조할 것은 무엇일까 나는 그때 당연 문예라고생각했다. 그리고 문예운동을 제창하기로 했다 (눌함자문)

이리하여 그가 당시 동경에 망명해 있는 중국사람들의 기관지인 『절강조』『하남』 등에 쓰든 과학사나 진화론의 해설을 집어치우고 문학서적을 번역한 것은 희납의 독립운동을 원조한 『빠이론』과 파란의 복수시인 『아담·미케뷧치』『항가리』의 애국시인『베트피 ·산더--』 『필립핀』의 문인으로 서반아 정부에 사형받은『리샬』등의 작품이였다.

그리고 이것은 노신의 문학행정에 있서서 가장 초기에 속하는 것이지만은 이러한 번역까지라도 그의 일정한 목적 즉 정치적 목적 밑에 수행된 것을 엿볼 수 있는 것은 위에 말한『광인일기』의 『어린이를 구하자』는 말도 순수한 청년들에 의하여 새로운 중국을 건설하자는 그의 이상을 단적으로 고백한 것으로써 이 말은 당시 일반 청년들에게 무거운 책임감을 깨닭게 한 것은 물론 이래기천년동안의 봉건사회로부터 청년을 해방하라는 슬로-건으로 널리 쓰여졌고 사실 그 뒤의 중국청년학생들은 모든 대중적 사회운동의 최전선에서 활발 과감한 지도와 조직을 하였으며 그 유명한 오사운동이나 오주운동이나 국민혁명까지도 늘 최전선에 서서 대중을 지도한 것은 이들 청년학생이였다.

그럼으로 노신에 있어서는 예술은 정치의 노예가 아닐뿐 아니라 적어도 예술이 정치의 선구자인 동시에 혼동도 분립도 아닌 즉 우수한 작품 진보적인 작품을 산출하는데만 문호 노신의 지위는 높아갔고 阿Q도 여기서 비로서 영생하였스며 일세의 비평가들도 감히 그에게는 함부로 머리를 들지못하였다.

그러나 여기에 한가지 좋은 예가 있다. 1928년항 무한을 쫓겨와서 상해에서 태양사를 조직한 청년비평가 전부촌이 때마침 프로 문학론이 드셀때인만큼 노신을 대담하게 공격을 시작해보았다. 그소론에 의하면 노신의 작품은 비계급적이다. 阿Q에게 어디 계급성이 있느냐는 것이다.

물론 그것은 정당한 말이다. 노신의 作品에서 우리는 눈딱고 보아도 푸로레타리아的 특성은 조금도 볼 수가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가 한사람의 작품을 비평할 때는 그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을 수는 없는것이서 노신이 작가로 활동을 하고 있을 때는 중국에는 오늘날 우리가 정의를 내릴수 있는 푸로레타리아는 없을 뿐 아니라 그때쯤은 부르조아 민주주의적인 정치사조조차도 아직 계선이 분명하지 못하였다는 것은 부르조아혁명이라는 소위 국민혁명도 정직하게 말하자면 사오운동을 전반전으로 한 것만큼 여기서 역시 중국의 비평가인 병신(丙申)은 재미있는 말을 하고 있다.

『그가 현재 중국좌익작가연맹을 지지하고 있다해서 그의『四五』전후의 작품을 프로 문학이라고 지목할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를 우수한 농민작가라고 하는 것이 타당하고---』

그러다. 이 말은 어느 정도까지 정당에 가까운 말로서 그를 프로 작가가 아니고 농민작가라고해서 작가 노신의 명의를 더럽힐 조건은 되지못하는 것이다. 다만 문제는 그가 얼마나 창작에 있서서 진실하게 명확하게 묘사하는 태도를 가지는가 그의 한말을 써보기로 하자.

『--현재 좌익작가는 훌륭한 자신들의 문학을 쓸수있을까? 생각컨대 이것은 매우 곤난하다. 現在의 이런 부류의 작가들은 모두 『인테리』다. 그들은 현실의 진실한 정형은 쓸려고해도 용이치않다. 어떤 사람이 즉 이런 문제를 제출한것이 있었다. 『작가가 묘사하는 것은 반드시 자기가 경험한 것이라야만 될 것인가? 그러나 그는 스스로 답하기를 반드시 안그래도 좋다. 왜그러냐면 그들은 잘 추찰할 수가 있으므로 절도하는 양면을 묘사하려면 작가는 반드시 자신이 절도질할 필요도 없고 간통하는 장면을 묘사할 필요를 느낄때 작가 자신이 간통할 필요도 없다고』 그러나 나는 생각한다. 그것은 작가가 구사회 속에서 생장해서 그 사회의 모든 일을 잘 알고 그 사회의 인간들에게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추찰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아무런 관계도 없는 새 사회의 정형과 인물에 대해서는 작가가 무능하다면 아마 그릇된 묘사를 할 것이다. 그럼으로 프로 문학가는 반드시 참된 현실과 생명을 같이하고 혹은 보다기피 현실의 핏박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면서 또 다시 말을 계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구사회를 조그만치 공격하는 작품일지라도 만약 그 결점을 분명히 모르고 그 병근을 투철히 파악치 못하면 그것은 유해할뿐이다. 애석한 일이나마 현재의 프로 작가들은 비평가까지도 왕왕 그것을 못한다. 혹 사회를 정시해서 진상을 알려고도 않고 그 中에는 상대자라고 생각하는 편의 실정도 알려고하지 않는다.

비근한 예로는 얼마전 모지상에 중국문학계를 비평한 문장을 한편 보았는데 중국문학계를 삼파에 나눠서 먼저 창조파를 들어 프로파라 하여 매우 상세하게 논급하고 다음 어사사를 소뿌르파라고 조그만치 말한 후 신월사를 뿌르 문학파라 해서 겨우 붓을 대다가만 젊은비평가가 있었다 이것은 젊은 기질의 상대자라고 생각는파에 대해서는 무엇 세밀하게 고구할 필요가 없다는 뜻을 표명한 것이다. 물론 우리는 서적을 볼 때 상대자의 것을 보는 것은 동派의 것을 보는 안심과 유쾌와 유익한데 미치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만약 일개전투자라면 나는 생각컨대 현실과 상대자를 이해하는 편의상 보담 만은 당면의 상대자에 대한 해부를 필요로 하지않으면 안될 것이다. 옛것을 분명히 알고 새로운 것에 간도하고 과거를 료해하야 장래를 추단하는데서만 우리들의 문학적 발전은 희망이 있다. 생각건대 이것만은 현재와 같은 환경에 있는 작가들은 부단히 노력할 것이고 그래야만 참된 작품이 나오는 것이다.」라고

이 간단한 몇마디 말이 문호 노신의 창작에 대한 『모랄』인 것이다. 이 얼마나 우리의 뼈에 사무치고도 남을만한 시준인고! 이래서 현대중국문단의 父이며 비평가의 비평으로서 자타가 그 지위를 함께 긍정하든 그의 작가로서의 생애는 너무나 짧은 것이었으니 1926년 3월 『이혼』이란 작품을 최후로 남긴 그는 교수로서 작가로서의 화려한 生애는 종언을 고하지 않느면 안될때가 왔다. 그는 지금부터 『손으로 쓰기보다는 발로 달려나가기 더 바밨다.}1926년 북양군벌을 배경으로 한 안복파의 수령 단사서의 정부는 급진적인 좌파의 교수와 우수한 지식분자오십여명 체포령을 내렷다. 우리 노신은 이 오십명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것은 1924년 국민당의 연아용공책이 결정되어 그 익년 가을 『뽀로듼』等이 고문으로 광동에오고 『전국민적공사전선』이었던 국민혁명의 제 일계단인 광동시기에는 프로레타리아의 동맹자는 농민도시빈민 소프로지식계급 국민적 부르조아지 였다』

그래서 급진교수들은 교육부총장 군벌정부를 육박하였으며 이러한 신흥세력에게 낭패와 공포를 느낀 군벌정부는 이러한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체포령을 내리고 학생들의 행렬은 정부위병들의 발포로 인하여 남녀수백여명의 사상자가 낳다. 그때 노신은 북경동교민항의 공사관구역의 외국인병원이나 공장안으로 도라단이며 찬물로 기아를 참아가면서도 신문과 잡지에 기고를 하여 군벌정부를 맹렬히 공격하였다 그중에도 『국민이래 최암흑일에 지』하였다는 명문은 단기서로 하여금 기자에 내려안게되었다.

---붓으로 쓴 헛소리는 피로 쓴 사실을 간과하지 못한다--중략--붓으로 쓴 것이 무슨 힘이 있으랴 실탄을 쏘는 것은 오직 청년의 피다(속화개집)

오늘날까지 중국문단의 『막심 콜키-』이든 그는 지금부터는 문화의 전사로서 『양리 ·발뷰스』보다 비장한 생애가 시작되는 것이었다.

그의 말과 같이 최암흑한 오십일이 지나고 그는 북경을 탈출했다. 하문대학에 초청을 받아갔으나 대학기업가의 음흉수단인 것을 안 그는 광동중산대학으로 갔다. 그러나 1926년 6월 15일 장개석의 쿠-데타는 광동일성만 노동자 농민급진지식분자 삼천여명을----하였으며 한때는 『혁명의 전사』라고 간판을 지은 노신도 상해로 달아나야만 되었다. 여기서 우리가 다시 한 번 그에게 흥미보다는 최대의 경의를 갖게되는 것은 다음의 일문이다. 

----나의 일종 망상은 깨여졌다. 나는 지금까지 때때로 악관을 가졌었다. 청년을 압박하고---하는 것은 대권로인이다 이들 노물들이 다 죽어지면 중국은 보다더 생기있는 것이되리라고 그러나 지금의 나는 그러하지 않은 것을 알았다. 청년을----하는 것은 대개는 청년인듯하다 또 달리 재조할 수없는 생명과 청춘에 대해서 한층더 아낌이 없시------(而己集)

이 글은 그가 침묵하고 있는 것을 『공포』때문이라고 조소한 사람에게 답한 통신문의 일절로서 이때까지 진화론자이던 그 자신의 사상적 입장을 양기하고 새로운 성장의 일단계로보인것이라고 해석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가 상해에 왔을때는 국민당의 쿠-데타-로 혁명군서 쫓겨온 젊은 프로문학자가 만났다 『혁명문학론』이 불려지고 실제 정치행동의 전선을 떠난 그들은 총칼대신에 펜을 잡았다. 원기왕성하게 실제공작의 경험에서 매우 견실한 것도 있었으나 때로는 자부적인 영웅주의가 화를 끼치고---에 실패한 불만과 극좌적언 기회주의자들은 노신을 공격했다. 그러나 그는 프로문학이란 어떤것인가 또는 어찌해야 될 것인가를 알리기 위해 아버지같은 애무로서 『푸레하노프』 『루나찰스키--』들의 문학론과 『싸벳트』의 문예정책을 번역소개하여 중국 프로문학을 건설하고 있는 동안에 『노신을 타도치 않으면 중국에 프로문학은 생기지 못한다』던 문학소아병자들은 그 자신들이 먼저 넘어지고 이제 그가 마저가고 말았다. 이 위대한 중국문학가의 영 앞에 고요히 머리를 숙이면서 나의 개인적으로 곤난한 수형에 의하여문호 노신의 윤곽을 뚜렷이 그리지 못함을 점괴히 알며 붓을 놓기로 한다. -了-
대구사회단체개관
이 활(대구 이육사)
《별건곤》 1930. 10

전국적으로 폭풍우가 치밀려오는 탄압이 나날이 그 범위가 넓어지고 그 수가 앙양됨을 따라 일찍이 보지 못하던 수난기에 있는 조선의 사회운동이란 것이 일률적으로 침체라는 불치의 병에 걸려있으니 다같이 관심하는 바와 같이 이 간난고극한 국면을 대국적으로 어느 신방향에 타개하기전에는 혹 지방을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도저히 활기있는 진출을 보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럼으로 이 대구에 있는 사회단체를 題와 같이 개관적으로나마 소개하려함에 무엇보담도 먼저 필자의 흥미가 십분이나 감살되는 것은 너무나 소침된 현상이 가히 이렇다고 할만한 무엇을 매거할 수 없으리만치 한산해서 그 지도인물들도 혹 필사의 노력으로 진영을 지키다가도 마침내 세궁역진해서 칠영팔락이 되어 몇 개 단체의 회관이란 마치 전후의 황원과 가이 소조낙막한 감이 없지 않으니 대체로 이 침체라는 것은 그 원인을 두 곳에서 가려 볼 수가 있는 것이니 그 하나를 외래의 억압이라면, 다른 하나는 자체의 부진이란것도 피할수 없는 엄연한 한 사실이다. 그러나 자체의 부진과 외래의 억압이 양면적으로 한 침체의 현상을 이룬 것을 가지고 이 두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근인이 되며 어느 것이 원인이 되는 것을 가리는 것은 마치 닭과 달걀의 선후를 가리는 것과 같이 심히 어려운 일이나 서북선의 일반사회운동이 南鮮의 그것보다 얼마나 더 활기있는 진출을 하고 있다는 것을 들을 때 다 같은 억압의 밑에서도 남북의 이만한 차이가 있다는 것은 남조선지방의 전투분자가 아직도 그 보무가 용감치못한 자체의 부진이란 책임을 안질수가 없는 것이다. 항상 전위에 나선 용자가 희생을 당하면 連헤곳 진영을 지키고 후임을 계승할만한 투사가 끊어져 투의 몇을 소개한다면 아래와 같다.

1. 대구청년동맹

1927년 7월 24일에 창립하였으니 당시에 전선적 합동운동이 농후한 기운에 따라 대구청년회, 아구청년동맹 서울신우단, 청년동맹, 무산청년회 등이 합동해서 대구청년동맹이 창설되고 제1세집행위원장으로는 현하제4차공청년사건으로 재감중인 張赤宇군이 취임해서 회원이 약 130명 가량으로 허다한 활약을 하다가 마침내 그 사건으로 영어의 몸이 되고 또한 언론집회의 자유를 점점 상실함을 따라 일체의 집회와 심지어 위원회까지 잘 열지못하게 되어 거의 폐문태로 현하는 朴明基씨가 집행위원장으로 있으나 아무 사회적 능솔을 낼 수가 없이 그냥 침묵상태로 있다. 그러나 대세의 소장하는 한토막만으로서 장구한 미래를 결정할 수는 없는 것이 오늘날의 일시적 침체로서 달팔십을 그대로 기다릴수는 더구나 없는 것이니 모름직이 필사적 노력으로 이 한산한 진용을 활기있게 정돈해서 간난한 국면을 타개해 나가기를 바래서 마지 아니하는 것이다.

2. 대구소년동맹

1924년 7월 27일에 소년혁영회, 개조단, 노동소년회, 현조단의 4개단체가 합동해서 대구소년동맹이 창립되는데 그 중에 대구소년회는 金英波군의 합동의 주지를 불긍히 여겨 중도에서 탈한 일도 있었으나 대구소년동맹은 회원 150명으로서 제1세 위원장을 孫基埰군으로 하여 대중적 훈련과 자체교양 같은 데에 많은 노력을 해오다가 지금은 朴柄喆군이 집행위원장으로서 다소의 활약을 하니 역시 비전해서는 매우 침체한 상태로 별로 매거할 역할을 하지 못하는 중이다.

3. 신간회대구지회

1927년 9월 3일에 창립되었으나 민족적 단일당의 총역량을 집중하는 신간활동의 맹렬한 기세가 전국적으로 파급될 때 창립당시 회원이 200명으로서 제1세 회장 李慶熙씨가 통솔하고 대중적 훈련에 자못 활기를 뻗치다가 이 또한 점점 위미부진한 상태에 이르러서 지금은 회원수가 호왈 백만의 감이 없지않으며 대회석상같은데는 임석경관과 집합회원의 수효가 거의 비등할만한 영성한 상태로서 일찍이 어느 임시대회때 서기장 柳淵述씨가 눈물을 흘리며 비장한 어조로 한산한 진영을 통탄한 일도 있었으나 마침내 더 진전됨이 없이 위원장 宋斗換씨의 꾸준한 노력으로 그냥 推過해 나가나 역시 회원자체의 명확한 의식과 견인한 용기를 고무해서 엇지튼 현단계의 대중을 수용하는 신간운동을 의식적으로 지지하는 질적으로 충실한 회원이 늘어가기를 바라는 것이다.

4. 근우회 대구지회

1928년 2월 27일에 창립되여서 회원수가 약 150명 가량으로 위원장 李春壽씨의 은인자중하는 노력으로 현하의 난국면을 당해서도 그냥 회원을 통솔해 나가며 사회적으로 대서특서할만한 공과를 낳아내지는 못하였으나 회원자체내에 있어서는 월례토론회 같은 자체교양에 매우 주력하며 이번 팔공산 일대의 수해에는 다른 단체보다 먼저 솔선해서 회원들끼리에게 모은 의복수 70여점을 가지고 위원45인이 산로사십여리의 화해지를 발섭해서 일반나화민에게 분배해준 일도 있었으며 여하튼 불항불소한 활동이 그다지 침체하지는 않으니 이 현상으로나마 훨씬 더 일반가정부인에게 근우운동을 침수시켜서 거기에 혁고한 진세를 베푸는 것이 일책이 아닐까 한다.

5. 경북형평사 대구지사

1912년에 창립되었는데 회원은 약50명 가량에 불과하나 자체의 통일에 있어서는 어느 단체보다 제일 성적이 좋다고 하며 지사장 金春三씨의 운신적 열성으로 창립이래로 지금까지 사무를 장리하며 부내에만 있는 수육판매점의 수가 3백을 초과하니 모두 단결과 통일이 매우 혁고히 되어있다니 그만한 역량으로 좀더 사회적 능솔을 내기를 바란다.

6. 경북청년연맹

1928년 1월 7일에 경북 김천에서 기자동맹이 창립된 직후 곳 因해서 경북청년연맹이 되니 경북에 있는 각 청년동맹과 또 세포에 포용되었던 전위분자들의 총결속인지라 가장 전투적 기세로 제1세 위원장 洪甫容씨가 취임하야 여하의 활약을 하다가 ML당 사건으로 투옥됨에 간부들은 모두 영락되고 간판조차 부지불식중에 뉘손으로 띠어지고 말었으니 이것은 정식으로 해체한 일도 없이 인제는 대구인의 기억에 조차 사라진 요사단체가 있다.
모멸의 서
모멸(侮蔑)의 서(書)
- 조선 지식여성의 두뇌와 생활 -

李 活
≪비판≫ (1938. 10)

[내 이 나라의 여자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말은 연인과 같이 있으면서도 몽상의 세계에서는 오히려 고독의 왕자처럼 마음 둘곳 없는 적막을 느낀 뽀들레르가 한말이라. 이 괴팍스러운 버릇을 일대에 자랑삼아 가진 시인의 말을 내가 함부로 써서 거룩?하신 [現代 조선의 지식여성]을 욕되게 할 마음이야 아예 있을리가 없다.

그러나 이때에도 한때에는 젊은 세대를 대표하던 여성이 있었고 그들에게는 또한 그들이 가질 자랑도 있었다. 하지만은 지금은 그들의 말을 이곳에서 할 것이 아니라 적어도 [조선의 지식여성]이라면 그들의 생활수준은 중류이상이 절대 다수인 것은 틀림이 없고 따라서 그때쯤은 이들 지식여성이란 축들은 특수한 사람들을 제쳐놓으면 대개는 뒤떨어진 무리들이라고 냉시되어 왔다는 것은 뒤떨어진 무리가 대표하는 세대는 항상 진취적인 것이 아닌 때문이었다.

그러던 것이 한때의 행동의 세계를 떠나선 모든 지식인들이 반성이나 또는 사색이라는 보금자리로 들어가 생각해낸 것중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성]에 대한 요구였다. 이것은 휴머니즘을 고향으로하고 내려온 심리적 경향인 것이다.

그러면 [조선의 지식여성]들은 지성의 중요한 요소로서 사회와 시대와 문화에 얼마나한 감격과 정서와 관심들을 가지고 소극적이나마 이것을 아끼고 간직했다가 다음에 오는 세대에 물려주려는가? 만약 그렇다면 우리에게도 구라파(歐羅巴)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전통이나 교양을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라도 가지고 있었던가? 더욱이 [현대 조선의 지식여성]들은 이것을 가졌던가.

그것은 물론 이때에도 오랜동안 문화란 것이 있었고 현재에도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받아온 문화의 유산은 그 질에 있어서 구주인의 그것과 같이 평가되지 못할것이 있는 것과같이 그것에 대한 우리들의 전통과 교양이라는 것도 그 사람들과는 딴판의것이 태반이며 더욱이 조선의 여성들에 있어서는 매우 유감이면서도 할수없는 사실로는 아직 문제가 되지않는다. 왜냐하면 조선에 새로운 교육이 들어온 것은 벌써 반세기가 가깝다고 하더라도 우리들은 새로운 교육이란 [명목]에 도취는 했을지언정 완전한 지적 교육을 받지는 못하였다. 그것은 신문화가 이 땅에 들어온 후의 교육사가 증명하는 것이 아니었던가 우리들이 받았다는 교육은 우리들의 부로(父老)들이 자의식을 가지고 지적 교육을 시킨것도 아니었고 우리들 자신 역시 자의식을 가지고 배운 것도 아니었다.

하물며 조선 여성들이 받았다는 교육이 그 교육기관 자체가 벌써 종교면 종교를 위하여 일정한 목적 밑에 그 필요에만 적당하게 되어왔음으로 여기서는 지적 고양이란 것은 처음부터 무용의 장물이었었다.

요즘 구주사람들이 진정한 『인간정신의 저하』를 한탄하는것은 지나간 때의 고매하던 인간의 정신이 자꾸만 자꾸만 비속해지는 것을 우려하는데 틀림이 없다. 그리고 그것은 그때의 경제적 혼란이라든지 정치적 분열이라든지가 조건이려니와 대관절 [현대 조선의 지식여성]이란 그 사람들에게 저하될 정신의 척도를 알아보겠다는 내 자신의 정신상태를 스스로 의심하여 마지않는다. 그것은 현재 우리가 생활의 십자가두에 나선 그들의 취미나 교양이란것을 본다해도 알수가 있다는 것은 [파-메넨트·웹]이 인간생활의 전체가 아닌 것은 두말할것도 없거니와 우리들이 다방이나 극장같은데서 오연(傲然)하게 걸어 들어오는 한 사람의 지식여성을 만난다고 하자. 그뒤에 따라 들어오는 남성 그것은 반드시 비굴한 성격의 소유자로서 발바닥이라도 빨라면 평두저미하고 의령 시행할 무리가 아닌 법이 없다. 그런데도 부포하고 그들은 곧잘 귀속말을 하고는 웃고 좋아하는 것은 그들의 취미가 서로 합치되고 공감된 결과이니 그렇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호오한 인간성을 찾아볼 수가 있단 말인가. 그야말로 모방이라도 아주 창피한 모방 밖에는 아무것도 아니다. 기왕 모방이란 말이 났으니 한말 더할 것은 모방도 잘하면 문화에 유익한 바가 적지않은 것이고 때로는 필요한 모방도있는 것이지만은 그것은 대체로 모방할 그것이 무엇인가를 알고 하여야만 될것은 더말할것도 없다. 그런데 여기에 한가지 말할것은 모신문사에서 무슨 좌담회를 개최했을때에 제제 명사들이 모인 것은 물론 그곳에는 그때말로하면 고등여고교유가 여러분 오셨는데 주최자측에서 홍다대접을 하였더니 어떤 분이 차잔을 드시는데 물론 바른편 손으로 차찬의 손잡이를 든 것은 좋은 일이나 다시 왼편손을 차잔 밑에 갖다 바쳤다는 것은 좀 어색하더란 말은 모씨가 그다음 필자를 만나 한 말이다.

그야 지금은 윈저-공이라는 간단한 신세로 남구의 산자수명한 곳에서 사랑의 꿈을 꾸는 전 영제가 웰스 전하로서 파리에 갔을 때에 어떤 다방에서 가배를 마시게 되었고 그 차가 반드시 뜨거웠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그때에 웰스는 그 차잔을 들어 차대에 부어서 마셨다는 것은 그것이 파격의 행동이면서도 그 품위가 높은 기상이 당시 그곳의 젊은 사람들에게 찬양되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위에말한 모고 여선생님과는 그 결과가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

왜냐하면 이 여선생님이 차를 마실때는 그 머리속에 [다도]를 생각한 것이니 다도 그것은 물론 동양적인 정취도 있고 좋은 것이다. 그것은 다다미위에서 차를 따릴때부터 마실때까지 그 과정이 한 개의 도악적이면서도 [시스템]이 서 있는 것이고 홍차나 가배를 급사가 갖다 줄때 머리까지 푹파묻히는 의자에 걸쳐 앉아서 마실때와는 아주 다른것이언만 이 얼마나 지나친 모방이며 부충실한 모방인가? 이것이 결코 그 한분만의 일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것이며 그들이 모두 [현대 조선의 지식여성]의 [제조원]이라면 옛말에 [한개가 잘못 짖고 동리개가 모두 짖는다]는 비유를 누가 거짓말이라고 하겠는가.

이런 말은 아주 사소한데 지나지 않는 것이지만은 벌써 신추라고 완연히 지금의 경성은 결혼씨즌이 돌아오듯이 거리를 걸어가면 무슨 관 무슨 원 할것 없이 요리집 문전에는 거의매일 한곳도 빠짐없이 모군 모양의 결혼피로연회장이라는 간판을 보는 것이다. 인간생활에 있어서 결혼이라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고 결혼에 있어 중요한 것은 사랑이다. 두사람이 서로서로 이해하고 사랑하고 그래서 결합된 것이 이상적인 결혼일 것이다. 그런데 지금의 여성에게 있어서는 결혼에 중요한 것은 다이아 가락지고 결혼의식인 것이다.

의식도 무슨 의식이 외국사람의 결혼등기소에서 등기할수있는 그런 기관은 아직 조선에 없으니 말할바아니나 훨씬 간략한 의식으로 마친다해도 될것을 이것좀 보라는듯이 수백수천의 돈을 들여가며 악을 쓰고 광고를 하는 것은 그것을 [광고결혼]이라면 새로운 명칭은 될지 모르나 그 무슨 신화이며 우상화인가? 신랑신부가 서로 사랑했고 사랑하고 사랑할 자신이 또는 그런 신념이 있다면 어떠한 형식이라도 알맞게 살면 그만 일것을 그와같은 의식에구속되어 신성해야할 일생에 두번 있지못할 결혼을 우상화한다는 것은 아무 사랑도 없고 이해없는 배우자들이 혹은 구도덕의 희생자로서나 또는 어떤 정책적인 결혼의 노예로서가 아니면 할수 없는 인간모독이 아니면 무엇이냐. 인류의 역사는 항상 더나은 것을 더 완전한 것을 완성키 위한 노력이라면 이 결혼의 양식에도 우리는 우상적인 의식을 버리고 인간에로 도라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그러나 이 무슨 놀라운 사실일까. 재판소 창틈으로 들어오는 이혼소송에 나타난 대다수 지식여성들의 기소이유를 살펴보면 거의는 남편의 사랑이 없다느니 이해가 없다느니 뿐이니 그와같은 엄청난 의식밑에서 여보란 듯이 광고를 하고 맺은 맹세가 이다지도 쉽게 파종이 온다는 것은 그 죄의 전부를 여성에게만 돌리지 않더라도 대부분은 현대 여성의 허영에서 발원한 것이다. 그러면 그 허영이란 어디서 온것이냐하면 그는 물론 제 자신을 가지지 못한까닭이다. 사람이 제 자신을 의식했을때보다 더 강한 것은 없다. 그런데 우리가 거리에 나다이는 지식여성들을 보면 그는 열사람이 모두 한가지 표정이다. 모두 추종이고 모방밖에는 없다. 어디 거기서 인간으로의 높은 기개를 볼 수가 있는가. 교만이란 것은 어폐가 있을 지 모르나 인간으로서 부앙천지에 부끄러운 곳이 없다면 교만해도 좋으련만 현대 조선의 지식여성이란 종족들에게는 교만할수 있는 정신을 찾지는 못하겠다. 어디까지나 비겁하고 예속적인 것이다.

그 이유야 이에 간단히 말할수는 없다해도 그릇된 이기주의때문이란 것쯤은 말할수가 있다. 한사람의 영예와 이욕을 버리고라도 그들 전체의 질곡을 벗어나기 위한 경제문제를 해결하고 독립하지 안으면 안될 것이다. 그러나 당분간은 도저히 이것을 바랄것 같지도 않고 이천년전의 교훈대로 현모량처라도 된다면 상승이고 나머지는 [원즉원(遠則怨)하고 근즉불손(近則不遜)]의 형이라고 하면 필자에게 항의를 할 여성이 있을는지도 모르나 필자는 저으기 그것을 현대 조선의 지식여성들의 명예를 위하여 바라는 바이며 그렇게되면 내 이글이 모멸되어도 무감이리라.
영화에 대한 문화적 촉망
이 활
《批判》(l939, 2)

오늘날 우리가 말하고 있는 문화란 것은 역사적으로는 우리의 선대로부터 계승하야 온 것이며 지리적으로는 지구의 표리를 물론하고 선진사회로부터 흡수하여 온 것이다.

그런데 이것을 계승 또는 흡수하는데는 우리는 그 수단으로써 활자(活字)의 힘만을 전적으로 신뢰하여왔다. 그래서 현재의 우리의 지식이란건 실로 이 활자의 문화적 위치와 정비례의 것이었다. 하지만은 금후로는 문화적 중임을 이 활자에 독담을 요구하지는 못할 것이란 것은 벌써 우리가 알고있는 정도에서도 [필림·라이브라러]같은 것이 얼마나 생겼다던지 이런 것은 말하지 않는다해도 오늘날의 영화라는것은 대중오락의 왕좌를 차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중에는 기다의 예술이 나왔으며 보는 그대로가 우리의 지식이었다는 사실만은 누구나 부정하진 못하리라.

×
이러한 기운이 장성하는 여음으로 조선에서도 이 방면에 선각한 인사들이 혹은 영화제작소나 또 회사같은 기관을 만들어 년래에 많은 공력을 들여온 것은 실로 감사도 하려니와 앞으로도 더욱 정진이 있기를 바라는 바이지만은 우리가 여기에 한가지 더 요구하고자 하는바는 그들의 영화에 대한 문화적 임무의 수행이다.

우리들이 말로는 쉽게 문화문화하지만은 영화를 제작한다는 사실이 곧 문화란 것은 아니다. 훨씬 고급의 문화란 것은 보다 더 [문화적인]작품을 창조하는데 있는것이다. 그런데 여기 있어서는 제각기 보는 바에 따라 이론이 분분하다. 어떤 자는 푸로주-써의 제도를 완성하라고 하고 어떤 자는 씨나리오·라이터의 출현을 대망하고 있는 것이 작년 일년간의 대표적인 이론의 주조인 동시에 다소는 실천에 들어선 경향도 없지는 않은 것이나 이것도 한번 새로운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라는 것은 이 푸로주-써의 제도를 확립키 위해서는 영화자본의 고도한 조직이 필요한 것이며 고도의 영화자본을 필요로 하는데는 배급시장을 확대강화하지 못하고는 가망할수 없는 것이니 이렇게 되자면 외국시장에의 수출이란 것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나 문제가 너무 호한해지므로 훨씬 그 초점을 줄여 말하자면 조선에서 영화자본을 그나마 조직화한 곳은 우선 조선영화주식회사가 있고 그 회사에서 작품으로두개째 제작중이라고하나 유감으로는 이 원고를 쓰는때까지는 개봉이 되지 않았으니 말할 만한 재료도 되지않음으로 다음 기회에 미루거니와 다음 씨나리오작가는 아니라 천일영화에서 극작가 류(柳)씨의 [도생록]을 영화한 것은 그 결과의 성(成) 불성(不成)은 고괄(姑括)하고 영화가 문단과 교섭을 가져 보려한 첫 계단인 줄로 보아서 한가지 의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의의란 마침내 의의대로만 마쳤다.
×
그러면 또 각사의 제작능도는 어떠한가 조영에서는 앞에 말한바와같이 한개도 개봉을 않았으니 미지수에 속하기는 하지만 [무정(無情)]을 영화로 만드는데는 기획자로는 영리상 관계에서 한 개의 긍지일지모르나 화면은 보증할만한 것을 지금까지 못했으며 고려영화사(高麗映畵社)에서 [복지만리(福地萬里)]를 촬영중이라 완성은 시일이 남았으니 다음에 보아야 알겠지만은 만영(滿映)과 공동기획이란 말이 있는데 그렇다면 이 영화는 무엇을 말하여줄 것인가를 전연 모를바는 아니다. 그렇다하더라도 영화가 영화로써 성공을 한다면 그 기획과 그 연출을 촉망해두어도 조선 영화를 키우자는 마음으로 후일을 기다려볼 것이며 천일은 말한바와 같이 [도생록]은 그러했고 [국경(國境)]을 문예작품이라고 선전을 하는데 그도 성과는 알수가 없다. 다음으로 극광(極光)이 [어화(漁火)]을 내인 후로 그 조직을 주식회사로 변경을 한다고 활동중인 모양인데 제2회작품이 어떤 게 나올지 모르나 [한강(漢江)] 그것은 동영화사를 사랑하는 마음으로라도 상승이라고는 할수가 없었다. 그외 반도(半島), 한양(漢陽) 등 각사가 모두 제작에 있음으로 다 말하지 못함은 유감이나 다음 몇 작품으로라도 내놓은 후에라야 알 것이다.
×
한말로 말하자면 조선영화란 아직 나이가 어리다고 하겠지만은 그래도 벌써 십여 성상을두고 그길에 일한 분들이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희생을 거듭해온 결과라 현상보다는 좀더 진전이 있어야 할것이언만 현재의 범위를 졸연히 벗어나지 못함은 자본의 빈곤이나 기술의 미련이나 보다도 두뇌의 편협에 기인하는 바도 적지안으리라. 물론 무대위에서나 카메라 앞에서 십년가까운 세월들을 보낸 분들도 있으니까 개인으로는 한가지 자랑도 되겠지만은 한개의 위대한 예술품을 창조하는데는 그까짓건 아무것도 아니란것은 십년동안에 무대에 자라난 우리의 『로파-드·도-낱}를 아직 한사람도 찾아내지 못한 것이다. 그것은 제 자신을 아는데서만 다시 말하면 제 전통을 아는데서만 기술가는 기술가대로 연출가는 연출가대로 출연가는 출연가대로 난다. 제각기 무게있고 값비싼 스타일을 화면에 나타낼수 있을 것이다. 기사와 사무라이와 선비들은 걸음걸이조차 제모습이 다 달랐다. 돈은 돈이고 기술은 기술이지 만가지 돈에 천가지 기술을 가해도 결국 예술은 산산(山産)되지 않는 것이다. 문화를 사랑하는 양심적인 기획가와 숙련한 기술자, 사도에 정진한 분들이라도 좀더 널리 안목을 들어 문화전반에 향하여 양지의 인사들을 구해서 그 지식전체를 종합하고 처리할 만한 창조적 정신과 수법을 가져야 비로소 조선 영화가 영화로써 완성될 것이며 문화로써의 사명도 수행할것이다. 물론 이 외에도 영화이론의 전반에 대해서 또는 씨나리오는 씨나리오대로 감독론, 배우론 등등 될수만 있으면 졸열하나마 한번 언급하고자 했으나 지정된 지면도 다하였기에 다음 기회에 미루고 그치기로 한다.
예술형식의 변천과 영화의 집단성
“씨나리오” 문학의 특징
예술형식의 변천과 영화의 집단성

이 육 사
<청색지> (1939. 5)

『씨나리오』를 우리들이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 온것은 하루 이틀에 시작된 것이 아니다. 물론 씨나리오라면 「스크린」에 영사될 영화의 대본임으로([컨티뉴의티]와는 다르다) 영화를 촬영한다는 현실적 조건의 제약을 받아왔던 조선에서「씨나리오」를 연구한다는 것은 마치 건축을 할 힘이 없는 설계도를 꾸미는 것과 같음으로 모두 자중하여 외부에 발표하지 않았을 뿐이나 요즘같이 영화회사나 혹은 개인의 제작소가 자꾸 생겨지는 현상에는 이 문제도 당연히 토의되여야 할것이며 그렇지않아도 「씨나리오」가 연극에서의 희곡이나 음악에서의 악보의 위치를 차지한다는데는 우선 이론이 없으려니와 남은 문제는 예술적 장르로서 형식을 운운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무엇보다 먼저 우수한 작품을 생산하면 스스로 해결될 문제이며, 일부 인사들이 자안(自眼)시하는 경향이었다고 하더라도 역사란항상 앞서가는 자만이 짓는 것이며 이것은 예술사회에 있어서도 또한 같은 것이다.

그러면 여기에서 「씨나리오」의 문학적 특징을 말하기 위하여 영화에 대한 형식의 변천과정을 먼저 말할 필요가 있다. 영화에 있어서도 표현형식은 소설과 같이 처음은 설화체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래서 점차 추리해 온 것은 특히 최근의 예술「장르」전체를 통해서 표현되어있다. 즉 다시말하면 모든 예술부문이 기록적 형식을 취하고있다는데 주의하지 않으면안된다. 19세기의 방대한 소설문학의 가치도 결국 일언으로 말한다면 그것이 인간생활의 진실한 기록이였든 때문이 아니던가.

처음부터 소설은 「픽션」에서 발달해왔고 또 장래에도 소설은 설화형식을 아주 저버리지는못할것이다. 그러나 근대 소설문자의 역사는 차라리 이 설화체에 대한 반항일는지도 모른다는 것은 오늘날 우리가 한 말로 근대소설이라고 하더라도 그중에서 두개의 방법을 간취할수 있었으니, 그 한개의 방법은 『성격』에 또 한개의 방법은 『행동』에 이렇게 제각기 다른 길을 걸어갔다. 그렇게하여 후자의 「악손」 소설은 필연적으로 소설 본래의 영토인 설화형식에서 현재의 대중소설로 발전하는 일방에 「카락타」 소설은 인간의 개성을 내면으로 성찰하면서 심리소설로 향해갔으니 불란서에 있어서 「룻소-」의 참회록이 근세문학의 개인주의 문학의 기초인 자아란 것을 발견시키면서 소설은 점점 자서전적 고백으로 접근했다. 그러나 또 다른 한개의 중요한 사실은 자연주의 「리얼리즘」의 발생이다. 이것이 이때까지의 모든 「로-맨스」를 파괴하면서 현실에 충실한 기록으로 소설을 변모시키고 말았다.

이때에 소설문학이 기록적 경향을 취하면서 특정한 개인의 생애를 기록한 것은 무리가 아니었다. 개인주의 사상의 발달에 따라서 부인의 해방운동이 이 시기에 절규되던 때인만큼 여성의 운명이 주요한「테-마」로 된 것은 주의할 사실인 동시에 「보바리부인」이나 「여자의 일생」이 창작되였고 사회소설의 선구자인「조라」까지도 생물학적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일가의 몇대에 선한 운명을 「테-마」로 취급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우리는 문학이 시간적인 역사가 취급된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그러면 영화에서는 어떠한가? 영화는 그자신의 시간적 제약때문에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면 영화는 어떠한 점에서 「휴먼 다큐멘트」 일수 있느냐.

그것은 두말할 것없이 영화에 있어서는 개인의 운명보다는 집단의 운명이 주요한 「테-마」인 것이다. 수직적으로 역사를 말하는 대신 수수선(水手線)적으로 지리를 말하고 개인을 묘사하는 대신에 집단을 묘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집단의 심리와 성격과 운명이 묘출되어야한다. 그 한개의 적절한 예로서 영화 「아랑」을 본 사람이면 종래의 극이나 소설에서 보지못하던 새로운 문학을 느끼지는 않았을까? 「아랑」도를 휩쓸어 오는 호장한 파도! 바위사이에 씨를 뿌리는 주민들! 이것을 단순한 「엑소티즘」으로만 볼수는 없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생활의 「리얼리티」를 조그만한 과장도 없이 보여준것 박에 무엇이었던가!

그러면 문학하는사람이 편시라도 잃지못할 인간생활의 「리얼리티」를 「발작크」에서 다시 한번 검토하여보자.

「발작크」의 ‘그유명한 「싸뮤엘」 지방의 풍물묘사를 생각만 하여도 넉넉하다. 한사람의 얼굴을 그려내기 위하야 수십행을 써내리고 「싸롱」의 내부 하나를 그리기 위해서 삼사「페-지」를 허비한 것은 완전히 기록인 것이다. 그래서 붓끝은 차차로 대물「렌즈」가 할일까지 다하였고 자연주의의 묘사란 것은 붓끝에 의한 사진이 되었다. 그랬기때문에는 책상우에 떨어진 머리칼 한개나 사람의 코등에 솟은 사마귀의 빛까지 그리려고 고심을 한 것이다. 지금와서 본다면 그것은 보고기록이 사무적으로 요구하는 정확에의 노력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노력은 설화의 흥미와는 별개로 생겨진것인 때문에 설화의 전개보다도 상상이 사실과 같이 정확하게 기록된다는데 목적이 옮겨졌다.

이럴때에 우리가 보고있는 것은 문필이란 수공업적 형식에 의한 사진인 것이다. 내계와 외계를 그냥 그대로 묘사하여 내려는 표현수법은 그것이 넉넉히 존재할 수 있던 그 사회의 생활과학의 방법에 의해서만 가능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 표현의 원리가 사진을 목표로 했을때 그 원리를 규정한 과학은 사진을 부여하였고 따라서 사진은 자연주의의 원리의 가장 간단한 구체화였다.

사진의 발명에 따라 외계의 묘사에 관한 한 문필적인 수단에 의한 그 수공업적인 기록의 단계를 관통할 수가 있었고 사진은 자연주의의 소설이 그 설화속에서 가지고 나온 표현원리를 경공업적으로까지 해결하였다.

이렇게 과학적 기술이 자연주의의(혹은 회화까지도) 노력을 간단히 해결한 다음에 소설과 회화는 벌써 외계의 정밀한 모사만으로는 안되게 되었다. 그래서 어느 점에서는 사진에서 영화에의 그 과학기술적인 자연주의의 원리에 반대까지도 해보았다. 이런 반대의식이 「조라」나 「세잔느」의 뒤에까지 성장해갔을 때는 마침 19세기의 화려하던 자유주의가 종언을고하던 때였다. 과학은 융륭한 발달을 하였으나 그것은 외계를 옛날과 같이 지배하지는 못하였다. 그래서 대전이 일어났을 때는 과학은 아주 딴 의미에서 존재하였다. 한때는 19세기구라파의 생산력을 그만치 고장시켰건만 그 다음은 20세기 구라파를 완전히 황무지로 만들었다. 이런 커다란 변화위에서 자연주의는 일방에서 사진이나 영화에 의한 너무나 간단한 외계모사의 발달로 말미암아 자신의 영지를 빼앗기고 타방에서는 외계의 관찰기록이라는 과학적 자신까지 상부하기 시작했다. 과학적 자신을 읽은 자연주의는 전전 전후에 선하야 가장 혼란한 예술 운동을 통해서 고찰해 보는 것도 재미로운 것이다. 초현실주의나, 표현주의의 앞에는 외계는 옛날 그대로의 매력을 잃었을 뿐아니라 점점 회색의 세계로 몰락하고 말았다. 그럴때 대물 「렌즈」는 세계의 곳곳마다, 그 촉수를 뻐치면서 인간을 질식케하는 포연탄우(砲煙彈雨) 중에도 극히 냉정하게 관찰과 모사를 계속하면서 그 발밑에서 자연주의의 소설과 회화와 무대극 등이 전면적으로 해체하는 것을 보았다. 이것은 과연 자연주의만의 해체이었을까. 지금에 그 때를 회고하면 그것은 예술의 수공업적 표현 형식의 해체이었던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였다.

영화가 단시간에 이만큼 대중화한 배후에는 다른 모든 예술수단도 변천하고 있었던 것이다. 전부터 고도로 발달되어있던 생산 과학의 영향을 받아서 예술의 표현형식도 차츰차츰 기술공학적으로 되어졌다. 문학에 있어서도 이러한 변화는 벌써 현저한 것이니 현실적으로는 적시대전의 영향으로 지금까지의 예술형식위에 변화가 온것이다. 이렇게하여 소설에 미치는 형식상의 변화와 전후의 영화예술의 급격한 발달과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문학이 전쟁속에서 상상적인 설화형식을 버렸을때 영화속에서는 전쟁의 묘사에 관한 일종의 「멜로드라마」가 늘 성장하고 있었으니 이곳에서 처음 「씨나리오」문학은 이상한 첫길을 떠났다.

대전은 모든 지식을 기술가 적이고 조직적 인것으로 만들었다. 전쟁에 의한 지식층의 이공적 훈련이 곧 예술의 형식에까지 반영한 것은 고이할게 없거니와 이러한 세례를 받고 난 자유주의의 소설은 그 수공업적 난관이 부정되었다는 것은 과학정신에서 출발한 자연주의가 바라고 있던 극점에서 온 것이다. 신즉물주의에 통한 보고기록의 형식은 자유주의의 양기(揚棄)하고 생각하는 까닭이다. 벌써 상상에서 설화형식을 끌어내는 케케묵은 작법은 완전히 매력을 잃었다. 전쟁은 이점에서도 강력이었다는 것은, 사실이란 것은 항상 인간의 상상을 초월해서 살도함으로써다. 다시 말하면 전쟁과 같은 강도의 현실은 어떠한 공상적인 서술보다도 차라리 설화체일 수가 있는 까닭이다.

이때에 있어서같이 현재란 것이 귀중할 때는 없었다. 「레마크」나 「렌」등의 소설 가운데는 이 때문에 묘사가 부지중 현재의 연속으로 되있지 않는가? 그 가장 「현실」적인 장면에 사실의 살도I를 감당하지 못할 만큼 현재의 살도하는 연속이 있을 뿐이다. 이렇게하여 전쟁소설에서 뜻밖에도 보고 기록의 형식이 생겼다는 것은 어디로보든지 필연적이었으며 그곳에는 개성의 성격보다 집단의 운명이 그려지고 한사람의 심리보다는 군중의 상모가 표현되어서 그것은 완전히 서사시를 방불케한 신경지는 「씨나리오」의 장래를 암시한 것이지만은 소설이 문학을 사실의 시간적인 기대에 종속시키려할때 여기서 나온 것은 영화와 치사한 신즉물적인 행위이였다. 그것은 극히 시각적이며 청각적이었다. 오늘의 영화에서 심리적 묘사를 결했다고하는 문화인의 대다수는 문학속에서 벌써 개성의 서술적 형식이 여하히 변천되어가는가를 자각하지 못한 것뿐이다. 그나마 영화의 심리 묘사를 19세기의 자연주의 소설의 예에 비하는 것은 시대착오도 심한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영국시인 「C.D 루이스」의 재미로운 말을 들어보자. 「위대한 문학이란 것은 항상 「리얼리티」를 서사시의 「핏취」에까지 끌어올리는 것입니다. (중략) 장래에 있어서 서사시는 아마도 인간과 자연과의 사이에 일어나는 투쟁을 보다더 명확하게 묘사해낼 것이겠지요. 말하자면 「지상」이나 「털키십」같은 위대한 영화를 보신 분들은 영화는 이이상의 아무것도 손을 대일데가 없으리라고도 생각하겠지요. 그렇게되면 소설이 앞으로 백년이나 혹은 그 이상 생명을 보장하리라고는 조금더 생각해볼 문제입니다」이것은 결국 자서전 내지는 성격소설에서 출발한 근대 문학이 도달한 결과는 현대문명의 모든 착작삽(錯雜相)이 일개인의 내부에 철저적으로 흡수되어 분절되고 비판된 결과 개성적인 아무것도 남김이없이 전인간성적 문제 다시말하면 서사시에까지 발전되어온 것이란 견해는 정당한 것이다.

그러면 서사시와 소설에는 어떠한 구별이 있어야하느냐 하면 그것은 물론 후자가 얻은 특정한 개인을 추구하고 개성을 묘사하는데 반해서 전자는 집단적인 문제를 취급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에 문예대사전의 기록을 잠깐 빌려보면「서사문학은 무엇보다도 먼저 비개성적 문학인 것이다. 그것은 서정시나 성격소설이나 성격극같이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일없이 집단 민족 국민 계급」을 중심으로 하고 개인의 의식이 아니고 집단의 의식에 따라서 관통된다. 서사문학은 그 때문에 그 내용은 보다 위대한 문학이고 개물이 아니고 전체에 속하며 고립이나 분열이 아니고 종합에 향한다. 그래서 서사문학의 동기 혹은 흥미는 개인의 슬픔이나 기쁨이 아니고 집단의 운명이며 이것을 지배하는 것은 개인의식이 아니고 집단의식인 때문에 서사문학은 개성속에 몰입하거나 취약하는 일이 없이 가장 건전한 기욕으로써 외계의 집단생활에로 나아간다. 즉 그것은 내면적인 혹은 내향적인 문학이 아니고 외면적 혹은 외향적인 문학인 것이다. 운운」이 설명은 그 자체가 최근의 우수한 영화에 적용되지 않는가. 이러한 집단전체가 힘을 합하여 건설적인 목적을 향해서 투쟁하는 서사시적 「테-마」가 영화에서 발전하였다는 것은 당연한 일인 동시에 이러한 영화의 기록적 성질이나 서사시적인 표현기술은 최근 각국의 영화에서 현저하게 볼수가 있게 되었다. 바로 얼마전에 우리가 본 영화「대지」같은 것은 가장 적절한 예의 한개다. 「펄·벅」의 소설「대지」는 말할 것도 없이 「아란」이란 한 여성이 주요한 「테-마」로 되어있는 것이고 영화「대지」는 그것을 각색 촬영한 것이지만은 「아란」의 운명을 그려내는데 있어서는 소설같은 것은 이 영화에 멀리 미치지도 못하는 것이다. 왕룽의 일가가 부심하는 그 운명은 소설에 있어서는 결국 소설적 내용인 것이었고, 영화에와 같이 울려지지는 않는 것이었다. 나 자신이 다년간 중국에 있으면서 흉년도 보았고 약탈도 보았지만은 울지는 않았다. 물론 중국에는 사억만의 민중속에 그 반수가 왕룽이라면 나머지 반수가 아난이다. 그리고 모두 그 동양적 아니 중국적인 인종의 운명에 얽매여 어쩔수없이 살아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크린」을 통하여 내 머리에 들어온 「아란」의 기억은 내 종생에 사라지지 않을 것만 같다.

그런데 영화「대지」에 있어서 가장 생생한 「리얼리티」를 느끼게한 장면은 무엇보다도 기근의 대군이 기차를 향하여 살도하는 장면과 약탈때문에 군대가 내동하는 곳과 황충의 대군이 글자 그대로 운하같이 습래하는 곳이었다. 그런 장면에는 왕룽 일가의 운명보다도 중국민중 전체의 운명이 놀랄만한「리얼리티」를 가지고 보는 사람들을 육박하는 것이다. 그중에도 황충의 대군과 필사적으로 싸우고있는 민중의 웅자(雄姿) 이러한 자연의 폭위와 싸우는 때에 개인간의 사소한 감정적 투쟁같은 것은 전체를 위하여 소멸되고 사람들은 모두 일취단합하여 당면의 적을 퇴치하는 것이다. 여기에 인간과 자연과 투쟁하는 장대한 서사시가 있고 영화예술의 기록적 우월성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다같이 중국을 테마로 하여 [정복자]를 세상에 보내준 불란서의 작가 앙드레·말로의 말을 들어보는 것도 좋다. [소설가는 인간의 =심리적 숙명= 을 창조했으나, 보고문학은 인간의 두상에 더욱 무겁게 덮어씌인 숙명을 폭로하고 정리하고 파악하지 않으면 안된다]=그는 [보고문학의 필요]에 이렇게 말했다. 그러나 그것은 말로 자신의 문학이 벌써 수행한 것이 아닌가. 영화예술에 있어서는 그 숙명과 사(死)에 직면하여 투쟁하는 의지와 힘의 표현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기에 영화 [아랑] 이나 [대지] 같은 것은 가장 대담하게 우리들의 힘찬 흥분으로 끌고가는 것은 자연과 생사의 일록에서 투쟁하는 인간의 생존본능의 강렬한 표현외에 다름이 없다.

여기에서 서사시가 갖는 건설적인 명망성과 유유한 [괴테]의 [산상의 정숙]보다도 [드라마틱]하고 소장한 의지와 행동에 [리즘]이 표현된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현대와 같은 가열한 현상이 필연적으로 요구하는 것일지도 모르나 여하간 영화에 본질이 여기에 가로 놓여 있는 것은 틀림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점은 이상에서 소개한 영화를 산출한 [씨나리오]가 문학적으로 수행한 것임을 알아두는 것은 한갖 사도를 담당한 자만의 광영은 아니다.

그러면 다시 여기 한번 언급해둘 필요가 있는 것은 소설에 있어서의 작중의 인물과 독자와의 친밀관계는 이상에서 일단 자명되었다 하더라도 영화에 있어서는 어떠하냐. 이것은 말할 것도 없이 소설이상으로 보는 사람들의 화중의 인물과 접근시킨다. 이것은 내가 말하기 전에 [잔·에프스타]는 이렇게 말한다. = [고뇌는 손이 닫는 곳에 있다. 만약 내가 손을 버리고 내심이여 너는 나에게 만져질 수 있다. 나는 이 고뇌의 속눈썹을 헤아려보마, 그러면 나는 너의 눈물을 맛볼수도 있다. 한때의 사람의 얼굴이 내 얼굴에 이다지도 가까이 와본적은 없다.]= 고 이때부터 화중의 인물과 객관과의 친밀관계는 시작되었다. 아무리 값싼 작품이라고 해도 우리가 한순간이라도 도취한 적이 있었다면 영화의 독특한 비밀은 뜻밖에도 이곳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영화의 [리얼리즘]의 마병(魔兵)도 여기에 潛伏하고 있는 것이니 우리들의 이성과 판단을 마비시키는 감각적 표상이며 육체적인 압필도 된다. 그뿐만 아니라 소설에는 작중인물은 일종 상징적인 작용을 가지지 않은 영화에서는 특정한 이름을 가진 개인은 소멸되고 만다. 다만 그림속에 사람과 접근하면 접근할수록 그것은 인간 일반에 환원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들은 화중의 인물과 공간지각을 공유하게 되는 것이다. 미개인들에게 영화를 보이면 정면으로 돌진해 오는 물체를 피해서 달아난다고 한다. 그야 우리들 문화인도 기차가 정면으로 맥진해오면 그다지 좋은 기분을 갖지는 않는 것이다. 비행기의 날개에「카메라」를 장치하고 곡예비행을 하면 우리들은 비행사와 함께 현감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면 극과는 어떤 관계에 있느냐 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가 있다. 「극은 항상 인간의 의지의 투쟁을 주제로서 취급해왔다」고 말한 「뿌륜체-ㄹ」의 이론은 너무도 유명하지마는 극에 있어서는 인간의 상극의 「모-멘트」가 어느 정도까지 높아가면 거기서는 그만 막이내려지고 관객들은 모두 「스모킹룸」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연극보다도 투쟁은 격렬하고 일층 심각하다. 그러한 예로는 「작크페데」의 「미모자관」을 보자. 그곳에는 어머니가 아들을 때리는 장면이 있다. 매우 연극적이면서도 거기에 막은 내리지 않는다. 이뿐아니라 「깽」 영화나 개인과 개인의 투쟁뿐아니고 집단과 집단의 투쟁하는 장면 작열한 「스펙다-클」이 전개된다. 이러한 수없는 영화의 특성에 관한 기술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그것은 매우 본능적인 표현에 영화가 우수하면서도 소설보다 개인개인에 접근하기 용이하고 연극보다 집단적인 강력을 가지고 있는 영화의 형식적 특징을 말하려는데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 형식적 특징은 인간 본능적인 「센서낼리즘」에의 도취나 「파나치시슴」에로 구사할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

개인주의가 붕괴하고 집단이해가 대립 격화해오면 이 영화적 특징은 흔히는 선전매개체로서 유력하게 쓰여지는 때가 있음으로 교양있는 사람의 일부에서는 영화의 예술성까지를 부정하는 경향도 있으나 그것은 아직 외국의 얘기이고, 인간과 자연의 사이에 투쟁을 묘출하는 한 진실로 위대한 예술영화 양심적인 영화를 제작하려는데는 이런 것은 기우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자연의 폭력앞에서 전인류의 생존본능은 강력한 의지로 전화해야 「히로이슴」은 곧 「휴머니즘」으로 승화하고 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일은 가장 양심있는 이땅의 젊은 「씨나리오」 작가의 출현을 기다려 완성될 것이며, 기성문예의 각색이나 「오리지날 씨나리오」거나 무엇이나 관계없고 적어도 [씨나리오」 문학을 건설하는데는 「씨나리오」라는 영화예술의 문학에의 접근이 아니고 문학의「씨나리오」에의 접근이래야하며 씨나리오 문학은아무런 데로 구애될것없이 예술적으로 독립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개개의 문제는 기회있는대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오중전회를 앞두고 외분내열의 중국정정
五中全會를 압두고 外分內裂의 中國政情
노산회의는 삼민통일의 결산인가.

이 활
《신조선》1934.9

지난 1일 장개석씨는 남창을 떠나서 노산을 향하여 가고 행정원장 왕조명(王兆明)씨 재정부장 공상희(工詳熙)씨 고시원장 대천구(戴天仇)씨 등도 일간 노산에 가서 복잡다단한 내치외교의 제중요현안에 대하여 중대한 회의를 할 모양이라는데 이 회의에 참가할 이로는 호북수석 석장상(席張群)씨와 북중정권의 교배자 황부(黃)씨도 있다.

금차 회의의 내용은 전하는 바에 의하면 북중의 제현안 해결과 대일 일반적 외교방침 제오차전국대표대회대책 등등을 표면에 내세우나 서남파에 대한 회유책이라든지 친구파의 동정과 변강중국의 분열이며 강서복건의 홍군세력의 격증 등등이 그들의 금차 회의의 중심문제가 아닐수 없는 만큼 이것을 수조검토하기로 한다면 북중제현안의 해결을 위한 소위 대연회상부터 말하지 않을 수 없다.거월 말경 황부씨의 특사로 대련에 왔던 은동씨와 일본의 관동군당국간에 열렸던 정전협정폐기문제는 거년 오월 삼십일 당활에서 체결한 정전협약을 파기하려는 것인데 당시 중국은 천진 북평이 함락된다면 그것은 장개석의 하야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특사 황부를 북상시키는 한편 {華北局勢如斯 誰敢談妥協}이라는 변해를 시키며 국내공책의 폭등에 도산하는 반식민지 중국자본가에게 평화를 주는 대상으로 장성 이외의 통치권을 포기하는 것쯤은 큰 문제가 되는 것도 아니었다. 하물며 {일면저항 일면교섭}이라는 장기행진인데랴.

×     ×     ×
그러나 아메리카 자본을 중심으로 한 중국 시장에 있어서이 열국의 대립은 이 반식민지지배계급의 일반적 주관적인 애국심을 선동하여 마지안었고 정부는 이 애국적인 타협을 국민에게 역으로 호소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일년이 지난 금일 통우송차를 교환조건으로 이 협정을 폐기하려는 의도이였으나 그것은 실패인 동시에 북중의 국면은 여하한 회의를 할지라도 황부의 현금의 처지로는 도저히 해결이 될 것 같지도 안타.

이러한 정세에 있는 중국의 대일 일반적 외교방침의 중요한 부분은 북중국세에 관련되여있는 것이니만치 국세의 담당자인 황부씨가 대연회상으로서 얻은 선물을 흥구한 민중의 앞에 내여 놓지 못할 때 그가 은퇴를 근친에게 누설함도 무리가 아닐것이며 요행(僥倖)히 다른 국면을 타개하야 북중문제의 기분을 해결한다할지라도 그것은 헛되게 구미열강의 대립을 첨예케 할 뿐이고 대일 일반적 외교 방침에는 하등의 진전을 볼 것 같지도 않은 것이다.

적어도 현재의 일중 외교의 일반적 방침을 볼 때 무엇보다 먼저 고려에 떠오르는 것은 구 임관계이며 이 구임관계는 황부씨가 아무리 북중에서 남경정권을 대변한다 할지라도 자기 영역이외에 속하느니 만치 하등의 힘을 갖지 못한 것이며 보다 더 구임문제를 담임할 것은 중국건설은공사이다.
×     ×     ×
아직까지의 중국건설은공사는 겨우 발기인회를 연데 지나지 않으나 벌써 주(珠)는 다 모집되었으며 정식성립도 이 8월이다. 그런데 이것은 중국의 주요은행 및 경제계가 창변(創辨)한 것으로서 그 조직의 동기자본모집 관리의 권한이 완전히 중국인에게 장악되어 금후 중국경제건설에 일대 공구인 동시에 해외경제와도 연결을 취한다고 한다.

그래서 송자문(宋子文) 자신이 상해 일본총사관당국의 공식은 아닐망정 {구임도 구임이겠지만 은공사에 먼저 협동하지 않겠느냐}고 권유도 있었고 일본 영사당국이 이것을 거절한 것도 사실이나 이로 보아도 중국자본가들의 일본의 구임에 대한 일반을 알기에 어렵지 않다. 하물며 은공사는 라이히만을 중심인물로 연맹의 대중원조위원회 송자문을 영수로 한 중국경제위원회 이 또한 송자신이 창변에 분주한 중국은공사 등등 중국의 경제적 부흥의 삼위일체의 한 존재이니만치 문제는 의연히 장래에 남게 되고 따라서 장왕의 대일외교에 대한 비난은 이를 반대하는 세력들에 의하여 쟁찰하게 반복되는 것이며 그것은 장의 독재를 공고케할 11월 전국대표대회에 적지않은 암영을 던지는 것이다.
×     ×     ×
제오차 전국대표대회는 작년 11월에 개최될 예정의 것으로 서남파에 속하는 중앙위원들의 반장적 태도로 인하여 그 전도가 매우 비관되든차에 때마침 복건동란으로 유야무야에 흐지부지 유산되고 말았던 것이었다. 제5차 전국대회는 그 본질이 蔣의 독재를 공고히 할려는 것인만큼 절대항일 당 옹호 蔣독재반대를 스로-간으로 하고 있는 남중몬-로주의의 陳濟棠을 중심으로 하고 광서 복건 남운남관주 등의 실력파와 胡漢民씨 등의 소위 정통파 국민당 정객들의 결합으로 된 서남세력이 금차의 노산회의에 참가치 않을 것은 명약관화이며 11월의 오전대회를 계기로 조상(俎上)에 오를 헌법초안 즉 蔣씨 독재의 기본공구인 헌법의 심의를 근본적으로 부인하고 육박하여 12억에 가까운 내외임의 부담에 천식하는 민중들의 목전에 그 독립의 체면을 보이려고 하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경로가 아니면 안된다. 하물며 작금의 소식은 벌써 서남의 원로 세력 양파가 모두 노산 회의의 초청을 일축하고 蔣씨 독재를 통격하고 있는데랴. 가령 이러한 국면은 그 대상의 미묘한 인적 관계를 이용하여 당분간 타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할지라도 蔣汪의 합작에 무엇보다 큰 암초는 소위 구미파들의 동태 여하이다.
×     ×     ×
현재 중국의 외교가들 중에 그 세계적 가치는 어떠하였든 중국내에 있어서 가장 화형이고 원로이고 민중들의 기억에 잊혀지지 않는 외교가들의 이름을 치면 누구보다도 안혜경(顔惠慶) 고유균(顧維均) 왕정연(王正延) 호세탁(胡世鐸) 등등이며 이들이 모두 소위 구미파인 동시에 구미파의 정객으로 절서재벌의 대표자인 송자문(宋子文)이 중국은공사를 창립하여 라이히만과 손을 잡고 그 배후에 버티고 있는 것이며 손과(孫科)씨가 루-쓰벨트 대통령을 하와이에 회견한 것이라든지 때를 같이하야 이상의 중요한 제외교사신들이 청도에 회합한 것은 중국의 외교관계가 확실히 전향기에 들어선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장왕(蔣汪) 양씨의 친일외교에 감심치못하든 민중들이 왕년국연에서의 인기(우상적이나마)를 이들에게 새로히 기대한다는 것은 요사히 새삼스러히 남중에 있어서 배×단체가 족생하는 것으로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이상과 같이 장왕(蔣汪)의 합작은 중국식으로 말하면 구, 일팔이후의 대일관계도 한가지 이렇다할 만한 해결이 없을뿐아니라 더욱 여가치 못한 것은 변강 문제이니 영국무관의 말 끝에 춤을 추는 마중영(馬仲英)은 남강카수칼을 독립시켰다가 지금은 성주 석성세재(席盛世才)의 통치하에 중앙정부와는 거의 인연이 없는 상태이며 달뢰나마(達賴喇)의 사후 서장 문제는 손도 대기전에 영국의 대서장 정책은 청해의 목양지로 진출함을 잠간 보유하려는 것은 운남성 반공의 확산지대를 점령하는데 따라 서남중국의 교통망을 완전히 장악하려는 것은 불국이 일억오천만뿌란이라는 막대한 자본을 들여 전월철도(越鐵道)를 건설한 것과는 좋은 대조이거니와 최근의 내몽자치 등은 삼민정권의 파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     ×     ×
공산군 오천이 복건성의 수구방면을 일격에 점령하고 복주 상류 십이리 지점에 있는 백사를 또다시 점령하였는데 이 부대는 제3제17 제19군으로서 본래부터 전투력이 강하기로 유명할뿐 아니라 금번의 진출에는 민병의 협력을 얻어 그 세력이 매우 맹렬하다고 전한다.

그래서 복주 함락을 극도로 공포를 느끼는 모모국들은 군함을 당지로 급파하였고 중앙군은 이에 대전하기에 벌써 일만의 사상자를 내었으며 중국측의 소식은 공군이 이미 후퇴하고 있다고 전하나 4일 상구를 공군4,5천명이 다시 점령한뒤는 동성도 위기가 목첩에 박두하였다고 한다.

6,7년의 긴 세월과 수십억의 금원과 삼백만의 연인원을 동원한 과거를 정산하기 위하여 장(蔣)은 전세계의 피(彼)의 고객에게 선서한 토벌은 물론 공격의 방법은 더욱더 참혹하였다. 수많은 탕크가 사용되고 공중폭격에 전력이 경주되었다. 작년부터는 영도 등지는 하루에 백감픈드폭탄을 오십발이나 터트리는 것쯤은 예사이였다.

장(蔣) 자신이 남창의 진두에서 오십만의 정병과 모든 근대과학의 정쇄를 대표하는 무기를 사용한 것은 실로 장성전선의 일중전에 사용된 무기의 차이와는 말도 할 수 없는 것이였건만은 오늘날 이와같은 대부대의 행동이 복주같은 도시를 향하여 진격되는 것은 비록 복주를 영구히 점경하지 못하드래도 공군 자신에 어떠한 의의가 있다는 것보자 장(蔣)씨 자신에 와야할 날이 오는 것인 동시에 그의 고객인 열국들이 군함을 보내서 복주를 수비하는 것쯤은 예사인 것이다.
위기에 임한 중국정국의 전망
이 활
≪개벽≫ 1935. 1

일.

1935년을 맞이하는 중국국민당은 역시 동북문제와 싸벳트 중국이란 두통거리인 숙제가 국난이란 이름으로 조월(繰越)되어 당파로 이것을 해결하려하는 만큼 장개석(蔣介石)을 수반으로하는 독재조직의 급격한 발전을 볼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신년이 구경거리일 것이다.

중국에 있어서는 통치자는 매변계급으로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 지나간 한해의 화려하던 공상과 그 통일운동은 그 약속을 도달할 희망조차도 없다는 것은 과거의 통일운동은 어느때나 통일운동을 파괴하여왔다. 그러나 민족자본은 늘 근대국가로서의 중국을 약속하고 통일을 구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어찌했든 이 통일운동에 한 개주파를 만들려고 갖은 수단을 다하여 장개석(蔣介石)은 부심(腐心)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파는 국내자본외에 특히 [아메리카·인페리아리스트]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은 아메리카는 중국의 분할을 즐겨하지 않는다. 다만 [아메리카]가 바라는 바는 {중국재벌에 의하여 통일되게되고 다소 사실상 아메리카의 식민지로서의 독재 중국이 되기를} 빨가이전부터 알고 있었다.

삼민주의자들에 의하여 연출된 혁명 반혁명의 극은 장개석으로하여금 하야케도 하여보고 주석의 영예로 자리를 떠나게도 하여보았으나 그러나 그를 중심으로한 통일운동은 시종주파로서의 위엄과 실력을 잃지않고 행진하여왔다는 것만 보더라도 장개석은 행운인 것같다.

오늘날도 중국의 산업의 주력은 수공업이며 농업은 주대문화의 답습인 동시에 대중의 생활은 재생산의 용이한 원시적 생산방법에 의거해있다. 그래서 벼이삭을 밟어치우면 금시에 무배추가 시퍼렇게 올라오고 남편이 징발되어가면 마누라가 날품팔이를 하면된다. 이래서 지긋지긋한 통일운동에 민중의 생활이 잘도 부지하여온 것은 그들의 생활이 거의 재생산의 용이한 원시생활에 의거한 결과 파괴가 일시에 낫하나지 않었을 뿐인 것이다.

이.

{중국에는 자본가나 지주나 고력나 모두 피압박자다 따라서 국민당은 전계급의 이익을 대표하는…]고 말하고 국민대중의 데모크라시-를 약속한 손중산(孫中山)은 동시에 선지선각의 특권과 무지무각의 절대피치자적 지위를 규정하여 데모크라시-를 말살하였다. 뿐만아니라 충실한 그의 후계자들은 국민당이 대표하는 전계급 인구로부터 노동자 농민만은 정식으로 제명하고 당파에 계급독재의 기초를 세웠다.

국민당은 전국 통일에 노력한 것만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노력은 한편으로 상대적 국내자본발전, 다른 한편에서는 매변통치에 의한 민생의 근본적 고난위에 행하여졌다. 뿐만아니라 선지선각의 계급독재는 개인독재의 형태중에서 발전했고 동시에 [이페리아리스트]의 대립은 [데모크라시] 옹호의 반개인 독재운동에 반영해서 내전을 지지해왔느니만치 국민당은 그 통일운동에 있어서 통일 대신에 상술한 두낫의 국난을 초치해온 것이다.

삼.

그러나 이 국난은 제너랄매변으로서의 중앙정부를 독재조직으로 전향하는 운동에 가장 유효한 원조가 되었다. 이전은 팟쇼운동은 당금으로 정면에 표현되지 못하고 음으로 서서히 행하여졌다. 즉 장개석은 근로계급에 대해서 준비된 당금으로써 반장파의 당하면서 [당치]와 [인페리아리스트]가 남미정권의 역할에 부여하는 [필요한 안정]과를 결합시켰다. 그러나 이 운동도 어느 정도에 발전하면 다시 말하면 그의 주족적 지위가 확립하면 종래의 당치주의는 도리어 그에게 질곡(桎梏)이 되었다. 보시 당파란 것은 [데모크라시]-라는 이름으로 너무나 약속한데다 많은 것이다. 그래서 당파주의를 팟쇼정권옹호의 이론으로 전화할 필요가 생기는 것이며 충실한 삼민주의로서 독재가 되지 않으면 안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장(蔣)의 세력은 그 확대와 함께 그의 반대자 세력은 당파주의의 윤곽안엣 협착하게 되는 것이며 그들도 또한 [당파주의]를 반개인 독재주의의 무기로 만들 필요가 생긴 것은 9.18이후 각 방면으로부터 치타파의 요구가 공연하게 행하여진 것을 보아도 알수가 있다. 물론 그럴때마다 엄중한 당금하에 탄압되어온 것은 사실이다. 이것이 한번 국민당의 수령들에게까지 지지되어온 것도 또한 사실이다. 조금 묵은 예로는 재야 당시의 왕조명(汪兆銘)이 국민구국회의 소집을 주장한 것이라든지 당시 행정원장 손과(孫科)가 국난회의를 발기한 것이나 호한민(胡漢民)이 [당외무당·당내무파]는 독재를 의미한 것이 아니고 대공당책으로서 결정한 슬로건이라고 성명한 것이라든지 그후 하야한 손과(孫科)가 다시 [당외유당당내무파]의 표어를 제출하고 삼민주의에 위반하지 않는 한(그의 의견은 공산주의 이외는 모두 합격) 결당결사는 자유이니 훈정기를 폐하고 헌정을 즉 행하라는 주장이나 거년의 복건정부는 차종의 한 구체적 표현인 동시에 최근의 양광을 중심으로한 서남파의 태도는 더욱더 이러한 색채가 명료한 것이다.

사.

그래서 지금은 당내당외에 당조직이란 일종유행이 되어있다. 이 중에서 중요한 몇가질ㄹ 헤아려보면 국민당 중앙위원 진과부(陳果夫)는 그의 금계립부(今季立夫)와 CC단을 (군인동지구락부) 조직하여 온 것은 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며 국모 송경령(宋慶齡)여사의 농공당과 진우인(陳友仁)의 비서이던 고승원(高承元)이 창시했던 사민당 [오포추니스트]의 대표 진계수(陳啓修)가 같은 종류의 것을 시작하고 손과가 둘러싼 태자파의 소장들이 [파(派)]를 [당(黨)]으로 발전하려 할 때 취소파의 총사 진독계(陳獨季)가 합류를 하였던 것도 진부한 사실이었지만은 국민당 고문 오패부(吳佩孚)와 이 또한 국민당의 불공대천지수인 진동명(陳明)이 [취소당치회복민치]로서 국가주의의 중심에 추대되던 것도 케케묵은 넌센스의 하나이었다. 1931년 조직된 AB단(반공주의)은 지금은 사회민주당이 되어있으며 무한시대의 좌익군인, 팽술지등취소의 간부, 시존통 등 제삼당의 파편, 중앙대학해산으로 이름 높은 한때의 교육차장단석명 등 개조파의 잔유분자와 태자파의 유지 등등이 모여 국민당 중앙위원 진왕추를 총재격으로 떠맡고 있는가 하면 왕조명의 개조파도 국민당 좌파동지 통신처라던 신당준비기관을 집어치우고 손과 동양으로 AB단 사민당으로 진출하였으며 기독장구 풍왕상(馮王祥)까지가 진계수(陳啓修)와 좌익 낙오자의 대표 이행 등을 태산으로 모셔다가 사민주의의 하계강습을 받고 있던 것도 소문뿐이었지 지금 볼 것이 없다.

누가 무엇이라ㅗ해도 사병제도에 지배되는 중국인 만큼 당연히 진형제의 CC단이 가장 활기를 갖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래서 그 유명한 남의사(藍衣社)로 변장을 하여 팟쇼의 기본조직이 되는 동시에 장개석의 독재를 위해서는 옛날의 원세개(遠世凱)의 견제운동을 방불케하는 활동은 그때부터 시작되었으니 근대중국의 책사로 자임하는 양영태 국민당 중앙위원 장군진 형제 황부 등등이 그 최고지도자이며 표면으로는 가리새풍제(賀裏塞悌)(이 친구와 남의사와는 유명한 일화가 있으나 다음 기회로 미룬다) 증광정(曾壙情) 등 십삼명이 중앙간부회를 조직하여 있고 황포동창회주석 소문육(蘇文育)과 중국일보 주필로 있는 강택(康澤) 등이 별동대의 지도를 하고 있으며 전국운동의 기본 멤-버로는 황포군관(지금은 중앙군관학교) 출신의 사장군인을 중심으로 한 이천명과 그외에 군사위원회 간부 훈련반, 교육총대, 단경반 등등이 공개적으로 훈련되어 이에 드는 경비가 매월 오십만원 이외에도 직접행동대로서 반역 잘하기로 유명한 고순장(顧順章)을 대장으로 한 철혈대의 존재는 잊을 수 없는 것이다.

오.

남의사의 정강은 새삼스레 되풀이 할 것도 없으나 정치통일, 재정정리, 망기숙청, 산업건설, 노자쟁의의 절멸, 지권평균, 농촌경제의 진흥, 징병제와 국방완비 생산교육을 목표로 하는 의무교육, 남녀평등 등등의 달성인 것이다.

그런데 팟쇼운동이 가장 중국에서 문제되었을 때 천진대공보사의 공개질문에 蔣은 다음과 같은 회답을 하였다.

[국민당은 조직에 있어서나 방법에 있어서나 중국의 유일한 혁명당이다. 나는 모든 다른 조직에 반대한다. 나의 지원은 국민당을 부활하고 그 본래정신과 방법으로써 삼민주의를 실현하는데 있다……]고 그뿐은 아니다.

[총리제는 부활할 것이고 삼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파시스트조직은 오늘날의 중국으로는 필연적으로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이탈리아의 그것과는 성질이 다르다]고 그들의 어용학자 양공달(楊公達)은 말한다. [금일의 훈정기는 아직도 십이년은 연기해야 한다고]는 고일국(高一國)씨의 성명이며 [미주집권이란 그 자체 파시스트적 민주정치를 말함]이라는 것을 보면 일세의 정치학자인 도희성(陶希聖)도 먹고 살기위해서는 모구멍이 포도청인 모양이니 문제는 없다.

蔣의 조직은 [중국 국민당 남의사]라고만 알면 그만이다. 다시 말하면 汪의 그것은 [중국국민당] 개조동지회 였던 것과 같이 장은 삼민주의자인 것이다. 그가 당치주의를 전환하는데 따라 국민당총리가 되거나 대통령이 되거나 그것은 그가 충실한 국민당원일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남의사의 당장은 최초부터 말하고 있는 것이다. [삼민주의를 종지로 하고 삼민주의 신사회의 실현을 철저히 한다(제일선)][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민주집권을 거부하고 사장(蔣)은 독재를 주장함]이라고 한구의 행영(行營)같은데서 장을 만나더라도 [중국에서 파시즘을 실현할 수 있느냐]고는 신문기자가 아닌 사람은 아예 물을 것도 아니다. 가만히 두고만 볼 일이다.

육.

국민정부주석 임삼(林森)은 어찌하였든지 대통령격이다. 그러나 정치의 최고권은 중앙정치회의의 삼상위원회 즉 蔣·汪·호한민(胡漢民)에게 있다는 것은 신정부조직법에 규정되었던 것이다. 이 조직법이야말로 1931년말 蔣이 약1개월동안 손과에게 정권을 맡겨주었던 대상으로 얻은 것이며 지금 이 세사람 중의 한사람인 전당 호한민씨는 서남파를 조종하여 실속없는 이론으로만 영예있는 독립을 시키기에 분망하며 또 한 사람인 왕조명은 손과씨에게 얻은 선물로 행정원장이 되어 책임내각의 수반은 되었을망정 전국지방장관에 명령권은 가지지 못하였다. 그나마 전국지방행정장관의 이십사분의 이십일은 군인이다. 그래서 군인은 군사위원회밑에서 내각과는 전연 독립되어 있는 것이다. 무슨 행정원장의 존엄이 천하를 호령해 보지 못한 것은 그 유명하던 아편공매안의 결과만 보아도 알았던 것이지만 汪원장 본시 광동파의 진영을 반역하고 [손기전손 공도국난]이라고 대소개조파의 막료들과 관도에 부활은 하였으나 그의 역할도 역시 앞날의 손과 같은 모양으로 장의 발전을 위하여 말하는 도구로써 스스로 중앙에 궁박할 뿐인 것이다.

지방의 할거는 더욱 확대되고 리금은 공연히 회복되며 장강 연안의 수성을 제하고는 국고의 수입은 모두 지방에 몰수되며 아편공매의 통일은 이상에 말한 바와 같이 지방당국으로부터 거부되고 재정의 궁핍을 호도할 일절의 공조차도 용서하지 않고 한갓 장개석을 중심으로 한 파시스트 운동은 어디까지나 중국의 통일운동에 있어 주파로서의 위엄을 保持하고 발전해 가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인페리아리스트]의 대립이 어느때나 중국의 통일에 반영하고 있는 한 물론 장의 팟쇼운동도 [주파적] 세력이상에는 발전하지 못하는 것이다. 얼마나 국내자본이 통일을 희구하고 있어도 장의 팟쇼운동은 장 자신의 운명과는 하등 관계도 없이 세계자본의 또는 [인페리아리스트]들의 필요에 의해서만 보증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적군토벌과 강압을 통해서 [인페리아리스트]의 매노력, 공임이윤의 인하와 지불기한의 연장 ??세증가 상품에 대한 관세증률 폐양개원에 의한 예상수입으로의 고리차관 영미이 등에 대한 경자배관의 [모라트리엄] 아메리카의 면맥차관 등 이러한 수입의 모두가 국난군사비의 명목으로 장개석의 팟쇼운동에 양념이 되었을 뿐이다.



한때엔 십구로군을 고립시킨 왕원장(汪院長)이 장학량(張學良)에 대해서 무리정사를 강요하여 장개석의 서강 및 화강의 세력을 견제하려고 애쓰던 것도 가을볕 같이 옅은 그의 배경에서 너무나 희박한 신세력이 그의 기도로 하여금 그 주관적 계립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반식민지 중국의 파시스트 통치형태는 어디까지나 [중국식]으로 그 과거의 역사가 그른 것같이 1935년이란 曠古 미증유의 세계적 위기를 앞두고 운명적인 노선을 가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어용학자들이 말하는 것과 같이 금일의 중국에는 팟쇼운동이 필연적으로 이상의 조건밑에서 발전할 것이며 반장(反蔣)운동의 모든 파당들도 이 요구만에는 지배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윤곤강 시집 「빙화」 기타
북 레뷰를 쓰는 풍습이 어느 때 어느 곳에서 시작되었는지도 몰라도 대관절 써야 한다는 의무를 느낄 때는 여간 거북스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은 그 간행된 책자가 시(時)일 때 더욱 그러하다. 그 시가 한 편씩 잡지 기타 정기 간물(刊物)에 거재되었을 때 벌써 한 편의 작품으로서 현명한 비평가들에 의하여 제대로 금새를 따져서 공문서처럼 처리가 된 것이 대부분인 까닭이다.

그러고 보면 이제 내가 써야 할 부분은 결국 책의 장정은 어떻고 체제는 어떻다는 출판 문화 그것에 관해서 내 비위에 알맞고 예의에 어긋나지 않는 몇 마디 말을 나열함녀 족할 것 같으나, 막상 쓰려고 붓을 들고 보면 역시 내용을 보살피는 게 무난한 모양 같다.

그런데 기왕 나에게 이런 평을 쓰라고 하면 할 말 꼭 해야 할 것은 여름에 이찬(李燦) 씨로부터 그의 제 3시집<망양(茫洋)>이 간행된 월여에 시집과 사신(私信)을 정중히 보내고 잡지에 신간평을 쓰라는 것이었으나, 그때 벌써 누가 어느 신문에 쓴 것을 본 듯이 생각되었고, 또 그때는 잡지가 시인에 그런 봉사를 하는 것도 별로 없을 뿐 아니라, 내가 쓴댔자 벌써 신간평이 아니라서 마침내 침묵했다는 것이다.

이에 윤곤강 형의 제 4시집인 <빙화(氷華)>가 출판된 뒤에 만나는 친우마다 한결같이 말하는 감상을 들어봄녀 시체(詩體)가 몸시 변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 자신은 그 말에는 별로이 경탄하지 않았을뿐 아니라, 도리어 당연한 결과로서 3년 전 그의 제 2시집 <만가(輓歌)>의 신간평을 쓰면서 <대지>의 작자로 알려진 그의 <만가>의 반반분의 시풍은 그의 제3, 제4시집이 나온 오늘의 시체(詩體)를 약속하는 것이라고 예언한 바 있었다. 그렇다고 내 예언이 적중한 것을 신기하게 여기는게 아니라, 이 시인의 시 경지가 시체(詩體)에 응결되어 감과 한가지로 더욱 원숙해 간 자취를 더듬어 볼 때 한층 더 감격이 느껴지는 것이다. 왜 그러냐 하면, <대지>나 <만가> 반반분에서는 시인 자신의 영혼이 도처에서 직접으로 넋두리하고 있는 반면에 이 <빙화>는 처음 책장을 펼치면 Memorie --<황혼>에,

구름은 감자밭 고랑에
구름자를 놓고 가는 것이었다.
가마귀는 숲 넘어로
울며 울며 잠기는 것이었다.
마슬은 노을빛을 덮고
저녁 자리에 눕는 것이었다.
나는 슬픈 생각에 젖어
어둠이 물든 풀섶을 지나는 것이었다.

고 '것이었다'를 연발하면서 시와 자신과에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생각'하는 여유를 갖고 고요히 읊어 본 것이다. <호수(湖水)>나 <마을>에서도 같은 수법으로 되었고, <언덕>은 그와는 달라도 애송하고저운 한 편이며, 폐국의 끝 절에

외로운 사람만이 안다.
외로운 사람만이 알어......
슬픔의 빈터를 찾아
족제비처럼 숨이는 마음

이렇게 절절이 호소하는 마음을 충분히 이해해 주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빙화>의 끝 연 한 줄에 '용이 솟아난단다'는 것이 있는데, 이런 것은 이 시인의 대부분을 정복하는 이미지로서 나의 뜻 같아서는 용은커녕 미꾸라지 한 마리도 안 나와도 무가내하(無可奈何)이고 실은 이 경지를 깨끗이 떠나는 데 조선 시의 한 단계가 경신되는 것이다.

이 밖에 김남인(金嵐人), 김해강(金海剛) 공저로 <청색마(靑色馬)>가 나오고 이기열(李基烈) 저서 <낙서>가 있다 하나 필자의 안두(案頭)에 없으며, <청색마>는 앙드레 말로의 예술적 조건의 분류에 속하는 것 같다. 대방가(大方家)의 곡진(曲盡)한 평에 사양해 둔다. --- 한성 도서 주식회사 발행 정가 1원 30전*
자기심화의 길
<자기심화의 길>
-곤강의 {만가(輓歌)}를 읽고-

이 육 사
《조선일보》(1938. 8. 22)

영원한 슬픔! 이것은 모든 사람에게 부여된 과제이었다. 세대가 바뀌면 바뀔수록 모든 인간성은 서러운 제향의 전물로 바쳤었다. 우리의 온갖 자랑과 동경과 미지의 나라가 서러운 세대의 폭풍 속에 쓰러지기를 마치 한 개의 별빛도 비쳐보지 못하고 떨어진 들국화에 매친 이슬과도 같았다. 그것이 아무리 애처로운 사실이라고해도 이것이 정영한 참일때는 누구나 반항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여기에 우리 시인 곤강은 값싼 눈물을 흘리고만 있을 수는 없었다. 그래서 그는 {대지}를 노래했다. 봄을 불러도 보고 꽃을 피워도 보고 때로는 {바다여 젊은이의 意志여 !}고 아우성도 쳐보았다. 그뒤 일년이 지나고 그의 제이의 시집으로 {만가}를 세상에 내놓은 작자가 그 각서 속에 -시집{만가}는 나의 시적 노정에 있어 제2기에 속하고 기간 {대지} 이후의 작품이라고 말하고 또 나의 생활호흡의 기록이라고--말하고 있다. 고흔 冊이라 첫장을 제쳐보면 {산노래를 읊게 해준 그의 가슴 속에 병든 이 노래의 꽃씨를 심그노라} 이 두연의 서사가 내 눈을 전편으로 끌고 간다.

쿄끼리처름 느린 거름으로
무거운 게으름에 업눌리어
삶의 벌판을 엉금엉금 기어가다가
永點(영점)의 정수배기우에
얼어부튼 몸둥아리다!

봄바람은 어대로 갓느냐!
꿈만흔 내덕두리를 불어일으킬
새벽녘 건들바람이 잠자는 배를 먼
하늘밋 바다우로 몰아치듯---

오!
쓰면서도 달고
달면서도 쓴
삶의 술잔아!

얼어부튼 지성(地城)의
야윈 형해(形骸)우에
마지막으로 부어줄 독주(毒酒)는업느니?

이런 노래를 불러노코 그는 지금 {올사람도 업고 기다릴 사람도 업는 바다 속 같은 방안 테없는 거울 그 속에 비친 얼굴을 뚫어지라 쏘아보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는 사상 그것이 아니라도 죄될 것이 없고 기교가 모자란다면 차차로 배울수가 있지 않은가. 곤강은 {大地}의 아들로 서로{大地}의 아버지가 되었을때보다는 {만가}를 부르는데서 밑천이 좀 늘었을 뿐 아니라 테업는 거울에 비친 제얼굴을 뚫어지라고 쏘아보며 자기 자신에 잔혹해가는 거둥이 내 눈에 비치면 눈물조차 날 듯하다. 더구나 밥도 되지 않는 이 시를 쓴다고{하루} 동안 {얽매어 쪼들린 육체가 또한번 팽이처럼 빙빙-돌다가 톡-쓰러지는}이 사람을누가 진정으로 달래 줄 사람은 없나? 이 주제넘지 못한 사람을!

반가이원판매소 경성부 제동정 동광당서점 진체경성1622
(頒價二圓販賣所 京城府 齊洞町 東光堂書店 振替京城 一六二二)
자연과학과 유물변증법
이 활
≪대중≫1933.4

순전히 자연과학적 범주만을 적용하야 사회사상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을까?

자연의 영역에서 합리적이고 필연적이며 과학적인 것을 그대로 무비판적으로 사회의 영역에 이입시킬 수 있을까?

상기한 문제는 한번 보아서도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다수한 맑스주의자가 머리를 알튼 문제이다.

자여과학의 범주 예를들면 생물학의 범주는 명백히 과학적이다. 그런데 [생존경쟁]이라든가 [적자생존]이라는 보편적 범주까지라도 그것이 사회과학의 영역에로 이입되는 경우에는 명백히 변경되지 안으면 아니된다. 만일 따뷘 주의의 원리가 사회적 법칙이라면 우리는 필연적으로 사회적 따뷘주의의 입장에서 [일층자-ㄹ순응한 ]자본가가 그러케 잘 순응되지 몯한 푸로레타리아보다 영구히 생존하여야 할 것이다.

확실히 사회적 실유는 그 전 본질에 있어서 [자연적 실유]에 비교하여보면 엇던 새로운 물건이다. 그리고 철학상 범주가 현실적이며 역사적이며 생멸적인 모-든 현상에서의 추상인 이상 철학을 건설하는데 있어서는 사회적 실유가 우리에게 있어서 객관적으로 존재한 것에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그것은 제일에 여기서 한낫 특수한 사회현상인 계급투쟁이 고려되지 않으면 아니된다는 것이다. [계급투쟁은 중지와 같이 역사적 발전의 이론으로서의 사적 유물론의 기본적] 범주의 하나이다.

우리는 레-닌이 모-든 범주의 이러한 차별 이러한 특수적 의의를 명백히 이해하엿든 것을 확실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는 자연과학적 범주 예를들면 생물학적 및 에넬키-론 범주를 사회적 범주로 변하는 것은 단호코 반대하였었다. [사회적 에넬키-론], [사회도태]와 같은 개념은 레-닌의 의견에 의하면 [어리석은 농담이며 맑쓰주의를 직접조롱하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생물학적 개념을 사회과학의 영역에 일반적으로 이입하는 것은 한낫 공언이다라고 그는 말하였었다.

이러한 개념을 가지고 사회현상을 연구한다든가 사회과학의 방법을 지을수는 없는 것이다. 역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모-든 범주의 사회 제 과학에의 무비판적 이입에 대하야 레-닌이 상기와 같이 준열하게 반대한 것은 특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레-닌은 [여러가지 사회적 구조에 동일한 발전법칙을 세워서는 아니된다]고 항상 역설하였다. 자본주의사회를 가장적 씨족제도의 척도로서 측량할 수는 없다. 만일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자본주의에 대하여 하등의 이해를 갖지 못할 것이다. 어떻게 우리는 무기적 존재 유기적 존재 및 사회적 존재에 통용하는 보편적 발전법칙을 동시에 세울수가 있을까 중언할 것없이 그러한 법칙은 공언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공허하고 빈약하며 용처없는 무용의 추상뿐이다.

사회문제는 종래로 자연과학자의 약처이연든바 이 문제에 있어서 비로소 [철학에 있어서 당파성]은 가장 명료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유물론이 자연과학과의 밀접한 동맹을 필요로하면 자연과학은 역사에 있어서의 유물론 즉 사적 유물론과의 가장 밀접한 동맹을 요구한다. 여기에 레-닌의 다음과 같은 원칙적 요구가 생기는 바 이 요구에 포함된 심각한 사상은 주목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자연과학적 유물론을 사적 유물론에 까지 확대하는 것은 위대한 인류의 해방전에 있어서 무적의 무기로 할 필요 때문이다]

맑쓰주의는 레-닌에게 의하여서는 자연과학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과의 통일이다. 그것은 상호간에 연계성이 없는 두가지의 유물론이 아니라 동일한 세계관의 두[가지] 내지 두 분야에 불과한 것이다. 훨파하의 불행과 그의 결함있는 견해는 그가 자연관의 영역에서는 유물론자이였지만은 역사관의 영역에 있어서는 관념에 기울어졌던 것이니 전자의 영역에서는 유물론자이고 후자의 영역에서는 관념론자가 될수는 없는 것이니 자연의 영역이라든가 사회사의 영역에 다만 일개의 통일적인 변증법적 유물론이 있을 따름이다.

러시아의 맛하주의자 보구 다노뚜와 그의 우인들은 상기와는 반대의 오류였지만 그러나 그 또한 중대한 오류를 독하였던 것이니 그들은 상신 즉 역사에 있어서는 유물론자가 되려고 하지만 하반신 즉 자연에 있어서는 맑쓰주의를 맛하주의로 요컨대 주관적 관념론으로 변환코저한다. 그러나 그들의 오류는 그들이 맑쓰 이전 사람이 아니고 맑쓰이후 사람인데 일층 더 중대성이 있는 것이다.

레-닌의 이러한 견해는 독일사회민주당내의 철학적 경향 카-ㄹ헬렌텔 그 타의 신 칸트주의에 대하여서도 충분 적용되는바 맑쓰와 칸트를 융화시켜 맑쓰의 철학을 칸트의 철학에 인반시키고자 하는 것은 다만 맑쓰주의의 [일부분]에서의 리배이 아니면 아니된다.

[객관적 진리에 유리하거나 또는 반동적 뿌르조아지에게 의거치 아니하고는 심일체의 맑쓰주의철학의 한낫 근본전제라도 아니한 개의 본질적 부분이라도 없애지 못한다]

그러기 때문에 [유물론을 떠나서는 변증법이란 공헌한 것이다] 변증법론에 있어서는 자연과학이 밟은바 파심중○의 진보의 자취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제일은 지식을 완전히 소유하기 위하여 그것은 변증법론자는 자연과학의 연구결과에 입각할 때에 비로소 힘 있는 사람이 되기때문이며 제이는 어떤 종류의 자연과학자의 반대적 관념론적 간계를 타파하기 위하여서이다.

레-닌은 [종교에 대하야] 수록 [투쟁적 유물론의 의의에 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우리들이 항상 마음써서 생각하여야 할 것은 근대 자연과학이 받은바 급격한 변혁이니 그 자신에서 불절히 반동적 철학의 여러 가지 학파나 경향이 출생되기 때문이다. 자연과학이 영역에 있어서 거의 최신의 혁명이 제출하는 모-든 문제를 주의하여 토구(討究)하는 것은 우리들의 중대한 임무의 하나로서 그 임무를 다하지 못하고는 투쟁적 유물론은 아무것도 아니다]

그러나 또하나 생각해야 할 것은 [변증법이 없는 유물론은 맹목이다] 그리고 자연과학자가 과학의 지반에서 발길을 멈추려고하면 그들은 변증법의 방법론적 역할을 승인치 아니하고는 아니된다. 그들은 변증법과 독부되지 아니하면 되지 못한 천박한 경험론자가 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레-닌은 강경하게 주장하였다. [우리는 공고한 철학적 근거가 없이는 어떠한 종류의 자연과학 어떠한 종류의 유물론이라는 뿔조아 사상의 습격 뿔조아 세계관의 부흥에 대한 투쟁에 참고 이기지 못할 것을 이해치 아니하면 안된다. 이 투쟁에 참고 견디며 충분한 성공을 바라고 최후까지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자연과학자도 근대론적 유물론자 맑쓰에게 의하여 대표된 유물론의 의의적 신봉자 즉 변증법적 유물론자가 아니면 안된다.

레-닌은 자연과학의 공고한 철학적 근거를 요구하였었다. 그리고 그가 이 기초를 변증법으로서 본 것은 전후의 관계로 보아서 명백하다.

필자는 상기수처에서 세계관의 구체적 실례를 취하여 레-닌이 여하이 변증법적 입장을 적용하였는가를 지적하였었다. 지금은 변증법 그것을 취급하여 인식의 수단으로서의 변증법의 역할 그 임무 어떠한 의미에서는 그 가치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될 것을 간단히 말하자면 레-닌이 보는 바 변증법이란 어떠한 것인가를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확실히 레-닌은 맑스주의자이였었다. 그러기 때문에 그에게 있어서의 변증법은 맑스나 엥겔스에게 있어서 지시된 것과 다름이 없지마는 그 자신에게 의하여 가 일층 구체적 발전을 수행하였음도 사실이다.
조선문화는 세계문화의 일륜
朝鮮文化는 世界文化의 一輪

이 육 사
《비판》(1938.11)

요즘 지성의 해설과 지성 옹호의 논책에 이 땅의 많은 논객이 동원에 있다고 하지만은 그 지성이난 한개 심리적 경향은 휴먼이즘이 성하게 문제된 다음에 온 문제이고 그것이 이땅에 소개된 것은 구라파(歐羅巴)에서 문화옹호회의가 있은 후 최재서(崔載瑞)씨가 그것을 설명하고 주장한 다음 김오성(金午星)씨와 서인식(徐寅植)씨가 다같이 문제를 위급한 줄로 믿는데 주로 문학에 있어서 이것을 말한이는 외씨였고 철학과 지성을 운운한 분이 그 다음 두분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조선문화의 전통 속에는 지성을 가져보지 못했다고 하는데 좀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가령 구라파의 교양이 우리네 교양과 다르다는 그 이유를 르네상스에서 지적한다면 우리네의 교양은 르네상스와 같은 커다란 산업문화의 대과도기를 경과하지 못했다는 것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도 어떤 형식이었던지 문학를 가지고 왔고 또 그것을 사랑하고 앞으로도 이 마음은 변할리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요즘이라고 간단히 말은 해고 그것은 문화옹호회의 뒤에 사회적 표면에 논의된 것이며 문화가 위기에 절박된 까닭인 것은 틀림없으나 그것의 과잉으로 구라파문화가 혼란된 것은 아니리라. 그것은 한개의 다른 이유입니다. 맛쉬·아-놀드의 말에 따르면 교양의 근원이라는 것은 한개 완성에의 지향이라고 하였으니 우리의 정신문화의 전통속에 어떠한 형식이었던지 이런 것이 있었고 서구와 동양사상을 애써 구별하려고 해보아도 지금의 우리 머리속은 순수한 동양적이란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은 여기서 별 말할 필요조차 없으므로 지성문제는 유구한 우리 정신문화의 전통속에 그 기초가 있었고 우리가 흡수한 새 정신의 세련이 있는 만큼 당연히 문제되어야 할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르네상스를 경과한 구주문화도 이제는 벌써 구주만의 문화는 아닌 것이며 그들의 정신의 위기도 그들만의 위기라고는 생각해지지 않은 까닭입니다.
중국농촌의 현상
이 활
<신동아> 1936. 8

일(一)

[레·미제라불]이란 말은 실(實)로 오늘날의 중국(中國)농촌경제(農村經濟)를 말할 때 그 광범(廣汎)한 영역(領域)의 어느 지방(地方) 어느 농가(農家) 어느 농민(農民)을 막론(莫論)한 그 생활(生活)을 표현(表現)하는데 가장 적합(適合)하게 쓰여진 한 개(個)의 대명사(代名詞)일 것이다.

과거(過去) 중국(中國)의 경제형태(經濟形態)는 그 특수(特殊)한 발전(發展)이 실(實)로 세계경제사(世界經濟史)의 빛나는 한 페지를 占領한 때도 있었지마는 전변무상(轉變無常)한 정치적(政治的) 동요(動搖)는 이 중국경제(中國經濟)를 급각도(急角度)로 회전(回轉)하면서 기본적(基本的)인 혁명(革命)을 초래(招來)하지 못한데 또한 중국경제(中國經濟)의 약점(弱點)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거기는 극(極)히 복잡(複雜)한 역사형태와 착종(錯綜)한 경제요소(經濟要素)가 아즉도 남어 있다는 것은 자본주의(資本主義)도 있고 봉건적(封建的) 잔재(殘滓)도 그냥 남었다. 그 중(中)엔 죄(罪)많은 노예제도(奴隸制度), 원시적(原始的)인 민족조직(民族組織), 단순(單純)한 상품경제(商品經濟)도 있고 심(甚)하면 쏘벹경제(經濟)까지 있어서 그것은 혼돈(混沌)한 세기(世紀)의 축도(縮圖)인 동시(同時)에 중국(中國)농촌경제(農村經濟)가 전화(轉化)한 근본(根本)조건(條件)도 된다.

이(二)

중국(中國)에 있어서 외국(外國)상품(商品)의 유입(流入)은 농촌(農村)의 가내공업(家內工業)을 급격(急激)히 파괴(破壞)하였다. 이 사업(事業)은 중국(中國)농촌(農村)에 일대(一大)변동(變動)을 가저오면서 소농(小農)경영(經營)과 가내공업(家內工業)을 연결(連結)시키고 농민(農民)의 자족(自足)급성(給性)을 완전(完全)히 파괴(破壞)하고 말었으니 외국(外國)상품(商品)의 앞에는 농민(農民)이 싫거나 좋거나 구매자(購買者)가 되지 않으면 안되였다. 동시(同時)에 농민(農民)은 자기(自己)소비(消費)를 위(爲)해서가 아니고 팔기 위(爲)한 상품생산(商品生産)에 종사(從事)치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포함(砲艦) 정책(政策)하(下)의 외국(外國)상품(商品)이 노도(怒濤)와 같이 유입(流入)하는 일방(一方) 중국(中國)은 열강(列强)의 원료(原料)국(國)으로서도 운명(運命)을 지게 되었다. 이리하야 중국(中國)농촌(農村)는 급격(急激)한 화폐경제(貨幣經濟)로 전향(轉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첫재 중국(中國)산업(産業)이 원료(原料)상품화(商品化)한 것이니 최초(最初)에 상품화(商品化)한 농산업(農産業)은 차(茶), 생사(生), 대두(大豆), 람(藍) 등이였으나 다음 면화(棉花), 연초(煙草), 감자(甘蔗), 마(麻), 아편(阿片)은 말할 것도 없고 현재(現在)엔 곡물(穀物)까지가 벌서 상품화(商品化)하였다. 그러므로 농산물(農産物)이 농민(農民)자신(自身)에 필요(必要)하냐 안하냐는 별개(別個)문제(問題)로서 팔리느냐 안팔리느냐가 농민(農民)의 관심(關心)이 되게 되어왔다. 그래서 미맥(米麥)의 경작(耕作)은 감소(減少)하고 면화(棉花)나 연초(煙草)의 경작(耕作)이 특(特)히 격증(激增)한 것은 농촌(農村)경제(經濟)의 화폐경제(貨幣經濟)에 의 전변(轉變)은 자급자족(自給自足)상태(狀態)로부터 필연적(必然的)으로 시장경제(市場經濟)와 결부(結付)시켰다. 그러나 농민(農民)경제(經濟)의 화폐(貨幣)내지(乃至) 상품(商品)경제화(經濟化)를 중국(中國)의 자본주의적(資本主義的) 발전(發展)이라고 본다면 잘못이다. 웨그러냐하면 중국(中國)농촌경제(農村經濟)의 발전(發展)이 가저온 결과(結果)가 아닌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中國)농촌경제(農村經濟)의 근본적(根本的) 특수성(特殊性)이 있다. 따라서 농산업(農産業)시장(市場)은 아즉 지방적(地方的) 원시적(原始的)이며 농민이 국내적(國內的) 통일(統一)시장(市場)을 가지지 못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中國)매변자본(買辨資本)의 발달(發達)한 한가지 원인(原因)이 있는 것이다.

삼(三)

농촌경제(農村經濟)가 상품화(商品化)하는데 따라 농민(農民)의 생활(生活)을 결정(決定)하는 것은 농산물(農産物)의 흉풍(凶豊)보다도 그 시장가격(市場價格)이다. 시장(市場)은 농민(農民)에 있어 절대적(絶對的) 지배자(支配者)가 되었다. 즉(卽) 시장(市場)관계(關係)의 변동(變動)은 농민(農民)의 생산양식(生産樣式) 농산품(農産品)의 수량(數量) 급(及) 품종(品種) 나아가서는 전(全)생산(生産) 그것까지도 지배(支配)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어째서 중국(中國)에는 산지(産地)시장(市場)이 아즉까지 지배적(支配的)이며 통일(統一)시장(市場)이 형성(形成)되지 못하는가? 그것은 첫재 중국(中國)의 농업(農業)이 소농(小農)경영(經營)인 까닭이다. 상품화(商品化)한 소농(小農)경영(經營) 그것은 말할 것도 없이 산량(産量)에 제한(制限)이 있고 또 개개(個個)의 농민(農民)으로서는 농산물(農産物)을 직접(直接)으로 소비자(消費者)의 시장(市場)에 운수(運輸)판매(販賣)할만한 다량(多量)의 생산액(生産額)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은 농민(農民)자신(自身)들이 너무나 빈곤(貧困)하기 때문에 시장(市場) 내지(乃至) 가격(價格)을 선택(選擇)할 여유(餘裕)가 없을뿐 아니라 오늘의 화폐(貨幣)추구(追求)에 급급(汲汲)하지 않을 수 없으며 그들의 일반적(一般的)인 현상(現狀)은 다른 시장가격(市場價格)이 자기(自己)들의 시장가격(市場價格)보다 고가(高價)이라든지 일개월(一個月)앞으로 물가(物價)가 앙등(昻騰)할 것을 추측(推測)한달지라도 금일(今日)의 생활(生活)을 위(爲)해서 매각(賣却)하지 않으면 안될 형편(形便)이다.

그래서 지방(地方)으로는 삼일(三日)만에 한번식 시장(市場)이 서고 그 외(外)에도 묘회(廟會)라고 하야 사사(寺社)의 제일(祭日)에는 물품(物品)의 교환(交換)이 성행(盛行)하는데 이런 것은 천진, 북평, 상해, 광동 등 대국제도시에서도 이 유풍(流風)을 보는 것이다. 이같이 통일(統一)시장(市場)이 형성(形成)되지 못하는 것은 무엇보다 교통(交通)운수(運輸)의 발달(發達)이 유치(幼穉)한데 기인(起因)한 것은 물론(勿論) 최근(最近) 소위(所謂) [운수(運輸)판매(販賣)합작(合作)사(社)]가 성(盛)히 제창(提唱)되는 것도 이 까닭이며 작년(昨年) 사월(四月) 결성(結成)된 항공(航空)합작(合作)도 이러한 의의(意義)를 다분(多分)히 포함(包含)하는 것으로서 봉건적(封建的)체제(體制)에 대(對)한 민족자본주의(民族資本主義)의 항쟁(抗爭)이라고도 볼 수 있다.

중국(中國)농업공황(農業恐慌)의 중요(重要)한 일인(一因)은 농민(農民)이고 통일(統一)시장(市場)을 갖지 못했다는 사실(事實)이 증명(證明)하는 바와 같이 동일(同一)국내(國內) 동일시간(同一時間)에 어떤 지방(地方)은 식량(食糧)의 생산과잉(生産過剩)을 걱정하고 어떤 지방(地方)은 생산부족(生産不足)에 고민(苦憫)하는 현상(現象)이다. 즉(卽) 민국(民國) 23년의 협서(陜西)지방(地方)에서는 식량(食糧)의 결핍(缺乏)으로 인쟁상식(人爭相食)하는 참극(慘劇)이 있는 반면(反面)에 상해(上海)부두(埠頭)에는 농산물(農産物)이 창고(倉庫)속에 썩어나는 형편(形便)이였다.

이러한 사실(事實)은 상품(商品)자본(資本)의 활약(活躍)에 절호(絶好)의 기회(機會)를 주었다. 그래서 농민(農民)은 일용품(日用品)의 구매(購買)와 농산물(農産物)의 매각(賣却)에 이중(二重)으로 상품(商品)자본(資本)의 지배(支配)를 받게 되었으며 그에 반(伴)한 농민(農民)의 극도(極度)의 빈곤화(貧困化)는 농산물(農産物)의 수획(收獲)도 前에 이것을 賣却하지 않으면 안될 상태(狀態)이니 소위(所謂) [예매(豫賣)]가 그것이다. 여기서 상업자본(商業資本)은 고리대자본(高利貸資本)의 임무(任務)를 하는 것이며 목하(目下)의 농업공황(農業恐慌)에 대(對)하야 그 특수성(特殊性)을 구명(究明)하기로 하자.

사(四)

중국(中國)의 농업공황(農業恐慌)은 생산력(生産力)의 감퇴(減退)에 기인(起因)한 것이며 자본주의(資本主義) 제국(諸國)과 같이 생산과잉(生産過剩)으로 야기(惹起)된 것은 아니다 그나마 생산력(生産力)의 감퇴(減退)라는 것도 단순(單純)한 이유(理由)가 아니고 열강(列强)농산물(農産物)의 [떰핑]의 결과(結果)에 기인(起因)한 것이다. 자본(資本)의 유기적(有機的) 구성(構成)이 박약(薄弱)한 중국(中國)의 농촌경제(農村經濟)는 그것이 벌서 상품(商品)경제화(經濟化)해 잇는 관계상(關係上) 살도(殺到)하는 외국(外國)농산물(農産物)의 [떰핑]에서 받는 타격(打擊)은 상상(想像)할 수 없이 큰 것이다. 만약 중국(中國)농민(農民)이 운수(運輸)교통(交通)의 은총(恩寵)을 받고 통일(統一)시장(市場)을 가젔다면 기분간(幾分間)이라도 이 급박(急迫)한 공황(恐慌)을 완화(緩和)할지 모르나 현실(現實)은 이와 반대(反對)로 인도면(印度綿)을 상해(上海)에 수입(輸入)하는데는 한 [피클]에 일원(一圓)이면 될 것을 정주면(鄭州棉)을 이입(移入)하자면 약(約)십배(十培)나 되는 십원(十圓)의 운임(運賃)을 필요(必要)로 하는 현재(現在)상태(狀態)로는 완화(緩和)는커녕 문자(文字)대로 중국(中國)농촌(農村)의 경제(經濟)할거(割據)는 공황(恐慌)의 불길에 기름을 붓는 것과 같다. 하물며 정치적(政治的)무력(無力)과 무역통제(貿易統制)나 위체관리(爲替管理)조차 실시(實施)불가능(不可能)한데랴.

오(五)

중국(中國)농촌(農村)공황(恐慌)의 결정적(決定的)인 원인(原因)의 한가지는 가렴주구(苛斂誅求)인 것이다. 중국(中國)위정자(爲政者)의 생명(生命)의 축대(築臺)가 되는 이 가손(家損)잡세(雜稅)는 실(實)로 일천삼백여종이라는 전율(戰慄)할 수자(數字)를 상상(想像)할 때 얼마나 잔혹(殘酷)한 착취(搾取)를 국민(國民)이 부담(負擔)하고 있는가를 알수 있다.

그나마 지주(地主) 상업자본가(商業資本家) 고리대(高利貸)의 삼위일체(三位一體)의 수탈(收奪)은 일반(一般)농민(農民)으로하여금 조금이라도 토지(土地)투자(投資)의 여유(餘裕)를 용허(容許)치 않을 뿐 아니라 농민(農民)의 빈곤(貧困)은 농촌(農村)시설(施設)과는 완전(完全)히 인연(因緣)이 멀고 재해(災害)의 위협(威脅)에 대(對)해도 하등(何等)의 방어력(防禦力)을 가지지 못했다.

그런데 최근(最近) 기년간(幾年間)의 중국(中國) 재해(災害)상황(狀況)을 본다면 민국(民國)이십년(二十年)에는 중국(中國) 최대(最大)의 풍양지지(豊穰之地)로 유명(有名)한 江淮運河流域의 홍수(洪水)에 재해(災害) 구역십육성(區域十六省) 이재민(罹災民) 오천만 피해액 이십억원에 달(達)하고 민국(民國) 이십일년에는 수해지(水害지) 십일성 이백삼십현에 한해지(旱害地)는 육성 백이십육현에 급(及)하고 민국이십이년에는 강중(江中)의 대홍수(大洪水)로 피해지(被害地) 실(實)로 오십성 이백오십이 현에 급(及)하였으며 그 외(外)에 한해지(旱害地)가 팔성 구십팔현에 충해지(害地) 십성 이백삼십일현이라는 浩○浮沈하는 중국(中國) 농민(農民)에게는 민국(民國) 이십삼년의 수한해는 실로 결정적(決定的) 타격(打擊)이였으며 민국 이십사년의 한해(旱害)만에도 피해면적은 삼억삼천만 중국(中國)무(畝) 약 십사억원의 손해(損害)였다. 그우에 수해(水害)는 국민정부(國民政府)진무위원회(賑務委員會)의 보고(報告)에 의(依)하면 사천삼백사십만육천 중국(中國)무(畝) (남중(南中)을 제외(除外))로서 원유경지의 육오 퍼-센트에 달(達)하며 한수해를 합산(合算)하면 이십억원을 훨신 돌파(突破)한다하니 농민(農民)의 곤궁(困窮)도 이지경에 가면 차라리 말이 없는 것이다.

육(六)

우에 말한 바와 같이 중국(中國)의 농업공황(農業恐慌)은 전자본주의적(前資本主義的) 농업공황(農業恐慌)의 특질(特質)을 가지면서도 농후(濃厚)한 국제적(國際的)인 관련(關聯)을 가지고 있다.

사실(事實) 중국(中國) 농촌(農村)은 밖으로는 열강(列强)의 [떰핑] 농산물(農産物)에 번농(飜弄)되고 안으로는 연련의 재(災)에 질식(窒息)되어 전면적(全面的) 파산(破産)에 전입(轉入)하고 있다. 최근(最近) 삼년래(三年來)에 외미(外米)의 수입(輸入)은 수입상품(輸入商品)중(中) 제일위를 점령(占領)하였으며 전(全)농산품(農産品)의 수입액(輸入額)은 三○퍼-센트 이상(以上)을 점령(占領)하고 있다. 그 중(中) 민국(民國) 이십삼년도 같은 해는 총수입액(總輸入額) 십억이천구백만원에 미면맥(米棉麥)의 수입(輸入)만도 일억팔천칠백만원으로서 약(約) 이할(二割)을 점령(占領)했으니 원료국(原料國)으로서의 중국(中國)에 폭주(暴注)한 외국(外國)의 떰핑 농산물(農産物)은 중국(中國) 경제(經濟)를 근저(根底)로부터 붕괴시킨것이다.

이러한 적년(積年)의 한해(旱害), 수해(水害), 충해(害) 급(及) 국가(國家)재정(財政)의 팔할을 차지하는 군비(軍費) 군벌(軍閥) 혼전(混戰) 농업(農業)시설(施設)의 붕괴(崩壞)(그들은 항상(恒常)제방(堤防)을 횡단(橫斷)하야 공산군(共産軍)의 진지(陣地)에 홍수(洪水)를 주입(注入)하는 책전(策戰)을 취(取)한다) 등등(等等) 가손(家損)잡세(雜稅)가 되어 농민(農民)에 부담(負擔)되고 그것이 모다 인(因)이 되고 과(果)가 되는 동시(同時)에 농촌(農村)의 생산력(生産力)은 여지(餘地)없이 쇠퇴(衰退)하였으며 타방(他方)으로 지주(地主) 상업자본가(商業資本家) 고리대(高利貸)의 수탈(收奪)에 의(依)하야 농민(農民)은 별서 소한마리가 없어저도 종래(從來)의 규모(規模)에서 재생산(再生産)할 가능성(可能性)을 완전(完全)히 잃었는데 작년(昨年)의 재해(災害)는 그들의 최후(最後)일편(一片)인 희망(希望)까지 뺏어가고 말었다.

그우에 농산물(農産物)가격(價格)은 생산(生産)의 감소(減少)와는 역(逆)으로 저락(低落)의 일도(一途)를 질주(疾走)한다. 미국(米國)의 백은(白銀)매상(買上)은 중국(中國)의 구매력(購買力)을 증대(增大)케 한다는 일종(一種)의 구제책(救濟策)이라든 것도 이제는 완전(完全)히 몽상(夢想)이 되었다.

여기서 한가지 주목(注目)할 것은 중국(中國)농촌(農村)의 지가(地價)현상(現狀)이다. 1931년을 100으로 한다면 수전(水田)은 1932년의 육퍼-센트가 1933년은 12퍼-센트로 하락하고 전(田)은 1932년의 7퍼-센트가 1933년은 11퍼-센트로 하락(下落)하였으며 상해(上海)의 지가(地價)는 삼년전에 비(比)한야 오십퍼-센트가 폭락(暴落)이라고 한다. 따라서 산업(産業)의 구매력(購買力)지수(指數)도 강소성의 조사(調査)에 의(依)하면 1931년을 100으로 하고 1932년은 91, 1933년은 79로 저하(低下)되여있다.

이같이 중국(中國)농촌(農村)의 실업(失業)유민(流民)은 격증(激增)하고 토지(土地)집중(集中)은 격화(激化)했다. 미증유(未曾有)의 식량(食糧)공황(恐慌)은 광서지방에서 팔쟁상창(八爭相創)의 참극(慘劇)을 연출(演出)케하고 감숙(甘肅) 등지(等地)에는 농촌(農村)부녀자(婦女子)가 최고(最高) 오원 최저(最低) 일원에 매각(賣却)되야 순연(純然)한 농노(農奴)로 화(化)하고 (기한(期限)내(內)에 생산(生産)한 아해(兒孩)는 매주(買主)의 소유(所有)가 된다) 매춘부(賣春婦)로 전락(轉落)한다. 그래서 지금(至今)이야말로 식량(食糧)소동(騷動)은 각지(各地)에 발발(勃發)하고 이것이 격(激)된 곳은 중국(中國)쏘벹 운동(運動)의 온상(溫床)이 되는 것이며 이것을 전환(轉換)하려는 것이 중국(中國)농촌(農村)의 고민(苦憫狀)이다. 이러한 정세(情勢)아래있는 그들의 농촌(農村)금융(金融)문제(問題)는 어떻게 취급(取扱)되고 있는가 다시한번 검토(檢討)하기로하자.

칠(七)

농촌(農村)의 궁핍하는 자금의 도시편재를 필연한 결과이다. 도시유자에 고민하고 농촌은 금융(金融)고갈에 천식(喘息)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농촌(農村)자본(資本)의 결핍(缺乏)은 순환적으로 새로히 농촌을 곤비(困憊)케 하였다.

중국 농촌의 경제상태는 고리대, 전장, 질옥, 합금(무진등류)가 있고 근대적인 것으로는 농민은행, 창고, 신용합작사, 관영의 농민대비소 등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 주목할 것은 근년 도시은행자본이 밖으로 열강 금융자본에 압박되고 안으로 민족 산업의 쇠락에 의한 자기혈로를 농촌개척에 힘쓰는 사실이다.

은행자본의 농촌진출은 두가지 코-스를 취한다. 하나는 신용합작사에 대한 투자이요 하나는 농촌창고의 개설이다. 전자는 고리대 자본에 대한 항쟁이오 후자는 상업자본에 대한 도전이다. 그러나 이틈에 죽는 것은 농민이니 농민의 이할이분는 임금의 중압에 고민한다 그렇다고하아 농민의 차금이 그들의 토지투자이냐하면 너무나 큰 잘못이다. 그것은 차금의 기한장단을 보면 알수가 있는 것이니 현하 중국농민의 부임기한은 일년이하가 금차관의 77퍼-센트를 차지하고 일년이상은 11.4퍼-센트 부정기의 것이 11.3퍼-센트(1934년 11월 중앙농업실험소실정보고)를 점령하고 있다. 만약 농민차금이 일종의 토지투자라면 차금의 기한은 장기라야 한다.

팔(八)

중국농촌금융의 현상에서 가장 주목할 것은 고리대의 이상한 발달이다. 중국고리대 자본의 역사적 발전과정은 여기에 상술할 여유가 없으나 중국에서 고리대자본의 발생이 비상히 오랜 것은 사실이다. 이래 수천년간에 그것이 은연한 위력을 가지고 오다가 중국경제가 화폐경제로 전입하자 그것은 새로운 의의와 중요성을 띠게 되였다. 고리대 자본의 두개작용 다시말하면 호사한 상류계급-본질적으로는 토지소유자에 대한 대부가 자태를 감추고 소생산자 - 특히 농민에 대한 대부가 증대되야 그 사회적 의의를 결정하게 되였다. 그래서 고리대자본의 농민에 대한 지배는 군벌 혼전과 재해의 연속에 정비례하야 강화되였으니 농민의 반수는 많거나 적거나 고리대의 참혹한 혜택(?)을 밪지않을수 없었다.

그러면 농민의 차금자원이 어떠한 것인가를 보기 위(爲)하야 1934년 11월 중앙농업시험소 실정보고 육구이십이성팔칠일현의 조사에 의하면 순고리대자본이 농민전부임액의 67.6% 상인고리대자본이 13.1% 질옥자본이 8.8% 전장자본이 5.5% 합작사가 2.6% 은행자본이 2.4%이였다. 이에 고리대의 중요성은 더 말것도 없지마는 그 이율을 보면 보통 월리는 일(一)할(割) 심하면 이할(二割)이다. 소위 [九出十三歸]란 형식은 광동기타지방에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때에 따라서는 은일원(銀一圓)에 일리십선을 지불하는 것은 강소불산현 등지에 보련적으로 통용된다.

그뿐아니라 곡물대부는 그 박탈의 정도가 보다 더 비인간적이니 농촌은 보통 3,4월경에 벌서 식량이 절핍되야 지주상인으로부터 곡물을 차입하는바 이 곡물대부는 북방에서는 보통 칠승오합에 대하야 추수후 4두오승을 상환하고 심하면 일두에 일석을 상환하는 곳도 있으며 일석에 대하야 삼개월 후에 일석팔두의 고리를 상환하는 지방도 매거치 못한다.

고리대자본은 중국에서는 통일적인 계급이 결성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현저한 재산의 축적이 행하여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고리자본이 그것만으로는 하등 변화하지 못하였다고 하는 것도 사실이지마는 이것이 토지집중을 격화하고 재황을 계기로 막대한 임무를 하고 있다. 즉 소작민이 자기의 토지를 파는데 이 최대의 원인은 무엇보다 고리대에 대한 예속으로부터서이다.

고리대자본은 정치상의 부패와 경제상의 유폐를 유도하야 오란동안 계속 시키는데 따라 옛날 [로-마]의 그것과 같이 지배적 계급을 붕괴시키지는 못하였다. 고리자본은 우에 말한 것과 같이 지주와 상업자본을 강력적으로 결부시켜서 삼위일체로 만들었다. 지배계급을 붕괴는 커녕 도리혀 농촌지배층의 강력적인 지주가 되었다.

구(九)

이상의 사실을 종합하야볼때 중국농촌의 몰락은 벌서 농민개개의 문제가 아니고 농업중국의 파멸이라고 하지 않을수 없는 것이다.

아모리 농업창고의 증설에 전력하여도 농민은 [豫賣]라는 함정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 창고에 넣을 수확물을 갖이 못하는 것이며 농촌상업자본은 여기서 완전히 상인고리대 자본으로 화하는 것이다. 즉 상인은 상업자본의 이윤과 고리대자본의 ×취와의 이중 박탈이 가능하게 되였다.

그것은 다음 사실에서 간취할수가 있으니 [豫賣]라는 것은 분명히 법외의 착취가 허용되여 왔다는 농촌 중국 농민이 통일시장을 갖지 못한 필연적 결과로서 농촌지배층의 실상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우선 강소성 민정청의 조사에 나타난 지주의 직업별을 보면 군정관리가 27.33%, 고리대업자가 42.86%, 상인이 22.36%, 실업가가 7.45%로서 이것만 보아도 아즉 자본의 유기적 구성이 박약한 신흥도시 뿌르조아지-는 농촌의 봉건자력과 결부되는데서만 목적의 이윤의 부분이 더 만히 도라가는 것이다. 그리고 지방상업자본은 최대착취대상이 중국 내지 하층 농민임으로 입고할 농산물이 없는 농민들에게는 농업창고의 시설은 차라리 상업자본가에 은혜가 도라갈지언정 일반농민에게는 하등 소용이 없고 현정권에 대한 부정은 경제×쟁으로부터 완전히 정치적으로 ××화하야 그 심각한 정도는 그들의 궁핍과 정비례로 격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문학 오십년사
이 육 사 초역(抄譯)
《문장》1941년 1월·4월호

중국 문학사상에서 이 50년이란 세월이란 매우 중요한 시기였으니 이 50년동안의 몇 가지 중요한 사건을 종합해보건대

(ㄱ) 이 50년전은 [신보]가 창간되던 해이며(1872) 또한 증국번(曾國藩)이 죽은 것도 바로 이 해였으니, 증국번은 동성파(桐城派)의 고문을 중흥시킨 제일 맹장이었다. 그러나 그의 중흥사업은 비록 광영찬란한 바 있었다해도 가석한 것은, 전연 온고(穩固)한 기초를 갖지 못하였으므로 한가지도 장구한 수명이 없었다는 것은 청조의 운명이 태평천국의 동란으로 말미암아 일절의 병상과 일절의 약점을 노출했을때 증국번 등 일련의 사람들이 태평천국을 타도하여 각지의 비란을 평정하고 그들의 중흥사업을 달성하였다. 그것은 다만 증파의 중흥사업이 오륙십년간의 만청국운을 연장한 것은 될지라도 마침내 만청제국의 부패를 구하지 못하고 만청제실의 멸망을 구하지 못한 것같이 그들의 문학의 중흥사업도 또한 이같은 것이었다. 고문이 [도광] [한풍]시대에 이르러 공유한 방요파와 괴벽한 공자진(自珍)파 등이 시에 세상에 나와서 증국번 등 일련의 동성 고문파에게는 은연한 일부대의 생력군으로 홀연히중흥적 지위를 차지했으나 다만 [동성] [상향파]중흥도 역시 잠시적이었고 결코 지구적이지는 못했으며 증국번의 정신과 경험만은 확실히 동성파 고문을 재건한 중심인물이라고 할 수있었다. 그러나 증국번이 죽은 뒤 고문의 운명도 점점 미약해갔으니 증파의 문인 곽숭수(郭嵩壽), 설복성(薛福成), 려서창(黎庶昌), 유월(兪), 오여륜(吳汝綸) 등이 한 사람도 그 중흥사업을 계속해가지 못했을뿐 아니라 다시 한대를 내려가면 실로 {강노말지(强弩末之)}밖에 아무 것도 아니었다. 그때의 고문의 중흥이란 겨우 병들어 죽는 사람에게 {회광반조(回光返照)}는 되었을지언정 여구히 고문의 쇠망을 구하지 못했으며 이 고문의 쇠망사의 일단이 오십년동안의 아주 명현한 취세였었다.

(ㄴ) 고문학의 말기는 시대의 핍박을 받으면서도 한번도 그 양식을 번복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오십년간의 하반이 무릇 고문학의 수점변화한 역사인데 이 계단의 고문학의 변화사를 다음 몇개의 소단락으로 나누어 본다면

1, 엄복(嚴復), 임서(林)의 번역문장

2, 담사동(譚嗣同), 양계초(梁啓超)의 의론문장

3, 장병린(章炳麟)의 술학문장

4. 장사소(章士釗) 일파의 정륜문장

이 네가지 운동이 이십여년의 문학사상에서 모두 한개의 중요한 위치를 점영하는 것이다. 그들의 연원이나 주장은 비록 매우 다른 곳이 많다고 하더라도, 다만 우리가 역사상 안목으로 관찰해볼 때는 이 네파는 모두 응용방면의 고문이었다. 이러한 위급한 과도시기에 있어서 여러가지 수요가 언어와 문자로 하여금 부득부 {응용}이란 방면으로 변해가지 않으면 안되게되었으므로 이 네파를 지목해서 {고문범위이내의 혁신운동}이라고 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그들이 모두 자발적으로 근본적 개혁을 할 여가도 없었고 고문이란 것이 단순한 일종의 사치품이고 일종의 장식품이었기에 도리어 응용할 공구가 되지못한다는 것을 그들의 한사람도 인식치 못했었다. 그래서 장병린의 고문이 이 파중에서 가장 고아(古雅)하면서도 겨우 자기 한대에서 끝을 맺고 다시 전하는 사람이 없었으며 엄복, 임서의 번역문학이 당시에는 겨우 일시적이나마 수요에 공급할 수가 있었으되 마침내 길게 가지못했고 주작인 형제의 {역외소설집}이 이 일파의 최고작품이었으나 그것도 다만 한방면에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들이 모두 실패는 하였으나 실패한 뒤에 그들은 다시 백화문학의 건장이 되었다. 담사동, 양계초 일파의 문장이 응용한다는 정도에서는 비교적 나은 편이었고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도 적지않았으나 그것도 그 일파의 말류에 와서는 천박한 부연과 무용의 퇴적을 면치못해서 한갓 사람으로 하여금 압증이 나게 하였을 뿐이었다. 장사소 일파는 본래 엄복과 장련린 양등파에서 변화해 나온것으로 그들은 논리와 문법을 중시해 왔기에 매우 근엄하고 또 위완한데가있어 양파의 결점을 다소 보충을 했으나 갑인파의 정론문장이 민국 초년에는 거의 한개 중요한 문파를 형성했던 것이다. 다만 이 일파의 문자가 저술에 용이치못하고 통속적이 아니어서 실재에 있어서는 역시 실패에 돌아가지 않을수 없었다. 그래서 이 일파의 건장중에도 고일함(高一涵) 이대소(李大釗), 이검농(李劍農) 같은 이는 뒤에 모두 자화산문의 작자가 되었다.

이렇게 고문이 겨우 응용이라는 길을 따라간 일단의 역사는 역시 신구문학이 교체하는 과도시대에 면치못할 한개의 계단이었고 그러면서도 고문학이 이시기에 있어서 이삼십년의 운명으로 지지해간 것은, 또한 사실이었다.

(ㄷ) 이 오십년동안에 가장 세력이 컸고 가장 유행이 광범하게 된 것은 이상하게도 양계초의 문장도 아니었고 임서의 소설도 역시 아니었으며 그것은 정히 허다한 백화소설이었다. {칠사오의(七俟五義)} {아녀영웅전(兒女英雄傳)} 등은 모두 이 시대의 작품이었으며 {칠사오의} 뒤에 {소오의} 등의 속편이 나온 것도 모두 삼십년래의 작품이니 이러한 소설이 진실로 대표적인 북방의 평민문학 이었다. 그리고 전청 말년에 와서는 남방의 문인들도 역시 허다한 소설을 생산하였으니 유악(劉)의 {노잔유기(老殘遊記)} 이백원(李伯元)의 {관장현형기(官場現形記)} {여명소사(女明小史)} 오옥요(吳沃堯)의 {이십년간 목도지괴현상} {한회} {구명음원} 등등인데 모두 의의있는 작품으로써 구상과 견해에 있어서도 한갓 북방의 순수한 민간오락에만 공급되는 작품들과는 달라서 이 남방의 백화소설은 오십년 중국문학의 최고작품인 것이고 가장 문학적으로 가치있는 작품인만큼 일단의 소설발달사는 즉 중국의 {산문학}의 한개 자연스러운 추세이었다. 그러므로 그 중요함이란 전면에 재차 말한 고문학사보다도 한층 더한 바 있는 것이다.

(ㄹ) 오십년래 백화소설사는 의연히 일년래의 자화문학과 다름이 한 개 큰 결점도 가졌다는 것은 백화채용이 다시 말하면 무자각했다는 것, 즉 되는대로 해서 아무런 비판적이 아니었다. 그러나 민국 6년이래의 문학혁신은 그야말로 일종 의의있는 주장으로써 무의의한 연진(演進)이 너무나 오랬고 또한 불경제적이었다.

근오십년래의 혁신운동으로만 보더라도 의식적인 주장이 있고 계획적인 혁신인 때문에 가장 짧은 기간중에서도 능히 최후의 승리를 얻을수 있었던 것이다. 문자상의 혁신도 또한 이러한 것이다. 일천년래에 자화문학이 일선상전하여 한번도 단절되여 본일이 없었으면서도 그중 어떠한, 그야 물론 당시(唐詩)거나 송사(宋詞) 거나 원곡(元曲)이거나 또는 명청의 소설이거나 한가지도 의의있는 고취를 하여본 일이 없었다. 한번도 명백하게 고문을 공격한 적도 없었고 한번도 명백하게 백화문학을 주장한 일도 없었다. 그러나 근오년의 문학혁신이란 그와는 다른 것이니 그들은 해명하게도 고문은 벌써 {죽은문학}이란 것을 선언했었고 또 그들은 {죽은문자}은 {산문학}을 생산치 못한다고 선언한 다음 현재와 장래의 문학은 백화가 아니면 안된다고 완강히 주장하였다. 이러한 의의있는 주장이 그야말로 문학혁신의 특점이며 그야말로 오십년래에 이러한 운동이 능히 성공할 수있는 최대의 원인이었다.

이상의 사항은 말하자면 오십년간 중국문학이 변천해온 대세이었는 만큼 다음은 이러한 몇개의 추세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보기로 하는 것이다.

이(二)

증국번이 한번 죽은 뒤의 {동성 상향파}는 사실상 한번도 정채동인할 그런 문장이 없었다. 왕선겸의 편집한 {속고문류찬}(광서 8년 1882)에 보면 용계서, 노일룡, 오매수 등의 문장을 실어서 겨우 이일파의 노장들을 대표한 것인데 왕선겸의 자서를 보건대

석포(요내)가 절학을 진흥하니 해내가 미연히 따라 배우더니 그후 모든 사람들이 제각기 사승하기에만 자랑으로 여겨서 진부가 없지않았다. …매씨(매증량)는 고풍에 침음해서 짓는 것이 심원하기는 하나… 증문정공(국번) 만은 웅직한 기풍과 굉통한 식견으로써 문장에 발로함이 고금에 관절한 것이라.…배우는 사람들이 기로에서 나갈 바를 모를때 궤도를 바르게 따르게 하였으니 요씨를 내놓고는 그 법을 매씨와 증씨에 취하면 족하니라.

{요씨를 내놓고는 그 법을 매씨와 증씨에 취하면 족하니라} 한 이것이 증국번 사후의 고문가들의 전법하는 첩경이니만치 우리들이 이이상 그들의 문장을 끌어다가 편복을 채울 것이 없이 이에 증국번의 구양생문집서를 들면 이 서문이야말로 동성파의 연원전파가 쓰여진 만큼 문학사적으로도 매우 가치가 있는 것이다.

건륭말년에 동성에 요희전(내)선생이 고문사를 가장 잘하였는데 그 향중 선배인 방망계시량(시량은 직함 역자)의 하던 바를 본받고 유군대괴와 그의 백부편수(편수는 직함 역자) 군범에게 법을 내렸는데 이 삼자가 모두 신도에 명망이 높았으되 요선생이 가장 수법이 정어하였으므로 역성의 주영년(서창)이 말하기를 {천하의 문장이 그 동성에 있을진저}라고 해서 이로부터 학자들이 동성에 귀향하는 자 많았으니 동성파라고 부르기는 마치 전세에 강서시파라고 일컬은 것과 같으니라.

요선생이 말년 종산서원에서 강석을 주재하실새 그 문하 저명한 자로 상원의 관동(이지)과 매증량(백언)과 동성의 방동수(식지) 요영(석포) 등 네사람이 가장 고제 제자로서 제각기 그 능한 바를 교우간에 전수해서 그치지 않았고 동성에는 재균형존장이 있어 식지를 사사하기 오래하였었고 매우 정력이 절인하여 스스로 그 고을 선배의 규모를 지켰을 뿐아니라 후진을 개발해서 그 의기가 비길데 없었으며 직접 그 제자의 예에 서지는 않아도 그 기풍에 감복한 이로는 신성의 노사이(혈비)와 의흥의 오덕선(중륜)과 혈비의 생질 진용광(석사) 등이 있었는데 석사만은 그 외숙을 사사하였고 또 직접 요선생의 문하에 수업을 해서 향인이모두 감화되었을 뿐아니라 문장도 매우 빛나니라. 석사의 군종 형제중에는 진학수(예숙)와 진전(광부)가 있었고 남풍에는 오가빈(자서)이 있어 모두 혈비의 풍을 받고 요선생을 사숙하였기에 이때부터 강서 영창에도 동성학이란게 생겼는데 중륜이 영복의 여황(월창)과 더불어 교우이었고 월창이 임계의 주기(백한)와 용계서(윤신)와 마평의 왕승(정포)과 함께 오씨와, 여씨를 가까히 하면서 더욱 그 기법을 매백언에게 추구하였으므로 이때에는 동성종파가 광서에도 유연되었었다.

일찍이 국번이 고이히 여긴것은 요선생이 호남에 시관이 되었을때 오향의 그 문하에 나온 이들이 학문으로 업을 삼는 자 있다는 것을 못들었더니 파륙의 오매수(남병)가 있어서 그 기술하는 바 독호하여 싫지않고 무릉의 양성진(성농)과 선화의 손정차(효방)과 호음의 곽만를폴、(백주)와 격포의 좁¥훌훌(백홈、)가 모두 도민의 문가정연로서 이사람들을 두고는 누구를찾을고? 하면 최후로는 호관의 구양생(훈)을 들수있나니 파륙의 오군과 호음의 곽군에게서 훨을 나려오고 신성의 두진민를 사사하니만치 그색채 관순하여 지취와 누호가 천하미를 모았다고는하겠오나 추성도민로써 바꿀수는 없나니라. 홍양(홍수전, 양수청=역자주)의 f창란으로 동남지방이 격뚫에 빠지니 종띠, 석성등지는 옛날도선생의 강학하시던 곳이나 지금은 *후의 뚫제이 되어 다시 환회할수가 없을뿐 아니라 추성이 윤락해서 이역이 됨이 . 또한 극도에 건하였으니 재소충은 전가가 구난하고 자신도 피를 만하고죽었나니라.
내 건창에 와서 들으니 신성, 남풍은 병쫓으로 인하여 백가가 진진하고 유흙이 부치하여 봉만가 영성하며 일이문사가 전도할곳조차 없다고하며 광서는 구년간이나 용병을 했는폐도 군짧가 더욱 난기하여 수치할바없을뿐아니라 용군륜많이 또한 작고하였고 겨우 우리고을이 조금 안온하여 이삼군자가 오히려 문학에 우유할수 있어 간신히 추성의 전수에 영합은 한다해도 야헌가 이미죽고 구양생이 또한 죽은지라 노자는 인사에 억매이거나 혹은 난을만나 마침내 그 학문을 끝까지 하지못하고, 소자는 혹 중도에 천절하거나 백방으로 지장이많i니 만약 도선생과 같은 청명조달한이가있어 태평고수를하면 넉넉히 옛날작자들과 어깨를 가치할수있건만은 마침내 얻을수없고.--이 일편으로말하면 비단수성파의 전연을 말한것뿐만아니라 우리들로써이 일파의 최고목표가 {간신히수성의 전전에 영합한다·}는것과 {천하의미를 모았다고는 하겠으나 추성도민로써 바꿀수는 없나니라.}고 하는데 있는것을 알수있는것이다.

증국관이 당시에있어 속으로는 망성파의 중흥공톨인것을 자처하였으며 남들도 그렇게 추뚫한것이 사실언폐 (왕선양자서참조) 그가 {성철화상기를 쓸때 삼십이인의 성철중에 도보를 삼십이인의 수위로한것만으로도 넉넉히 그의 심이를 상상할수 있는것이며 원래에 그의 막부속에는 무수한인재를 나열하여 두었으니 우리가 천복성의 쓴 증문정공막부보우(용화문편사) 일편을 읽어보면 가히 알수있는것은 당시학자에도 전태길, 유소진, 유수회, 이선란 (산학가)화마방, (산학가) 손의언, 유파, 막우효, 재훌훌, 성향경 이원도같은이라든지 문인으로는오민수 장격휩j, 진학수, 방종성, 오향편 젖양홉를창, EE사석, 왕관운같은 이가 모두 그의 막부속에 있었는만큼증국관의 세력이 몇십년동안 중국에 영향한것도 그다지 고이 할바는 아니나 그러나 이 일련의 사람들이 문학사상에, 있어서는 한사람도 예외없이 아무런 책환도 없었는 것이다. 그저 연수가 최고하고 명의가 최대하기로는 유구 왕관운 오、따윤등 셰사람만한이가 없었으나, 유기의 시나 문이 아무런 가f직도 없는것이고 왕관운은 말로는 일대의 대사라고 했으나 그의 고문이란 천복성만도 못한것이며 (시는논외)오헐편만이 사상이 조금새로운 례가있었드므로 그의 영향은 비교적 크다고는하겠으나 그도 그자신의 문장에있는것이 아니고, 그가 조성해온 후진인재에 있었으니 엄복이나 임결가 모두 그의 문하에서 나와서 그들의 영향o1 그 자신보다 훨신 더큰것이었다.

이에 평심적기하고 말하면 고문학중에는 자연 {고문}이란것이(한유로부터 증국관이하에 이르기까지의 고문) 가장 정당하교 가장 유용한 문체인데 연려문의 병청는 말할것도 없거니와 되지못한 용송팔가이하의 고문하는 사람들은 주태한건로 돌아가기를 훌상、하여 만드면 만들수록 통하지 못하고 고체를 뜨면플수록 용처가 없이되어 다만 문학계에서 {사통비통}의 가짜골동품을 보태놓았을뿐이었다. 용송팔가의고문과 망성파의 고문의 장점은 그들이 통할수 있는 청담한 문장을 지어내는폐있고 가골황품을 만들려고 훌상치 않었는데 망성파를 배운 고문하는 사람들은 대다수가 그래도 {통}한다는례 까지는 되었고 한발더나가면 {응용} 할수있는 문자를 만들었다. 그러므로 추성려의 중흥이 비록 아무런 책환은 없었다고하도래도 또한 아무런 해로운곳도 없었는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때로는 {위도}의 성현으로 자처하여 방동수같은 이는 한학을 공격하고 임결같은 이는 신사、호를 공격했으되 그런것쯤은 소위 {재도문학}이란폐 중독이 되어서 분수도 모르고 며든것이고 망성파의 영향이 고문으로 하여금 {통} 한다는폐 힘쓴것과 그후 이삼십년동안 겨우 {응용}한다는폐 예비한 그한가지 공로만은 이몰할수 없는 것이었다.
태평천국의 동속L이란것이 명말류헌의 옳L후에는 최대의 참빼이니만치 응당히 조곰 더 비애거청한 문학이 나와야 할것이다·그런폐 당시귀}‘If에 정진(자는 자윤이고 조의인인데 일팔O육=일팔사륙)이란 대시인이 있었는데 위풍사년 귀써、I난에 국부적이나마 영향을 받어서 그의 경년의 시 몽n뚫경뚫시횡후집에 무수한 비통한 시료를 볼수있i나 정EE의 사가 오십팔년전의 일인만큼 이것은 이 소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것이다. 그러나 고야한것은 동남각성이 가장 그해독을 받은바 큰건마는 마침내 아무런 위대심훔한 시가 나오지못한것이다. 왕관운으로말하면 일대의 시인이라고 하고이 시대에 살어있었지마는 그의 {호통루시집} 일권으로부터 육권까지는 바로 태평천국시대(일팔사구=일팔륙사)에 나왔느니만치 우리가 끝까지 읽어보아야 겨우 범명원을 본픈것이나 전현장를 숭내내는것이 아니면 왕원장 조자건을 할아보는 등류의 가짜 골동품이고 우연히 한두구식 눈에 띠이는게라야 {세월속다난, 천:강파원유}라는 아푸지도 가렵지도 않는 시일뿐 결국 아무런 이시대를 기념할만한 비통한 시가 나오지 못한것이다. 그러면 이것이 무슨까닮이냐하면 내가 생각하건대 이 시인들의 대다수는 모두 모주 시를 쓰기에 파파했다는것은 그들이 사는 세계, 더구나 범명원, 조자건의 세계가 전연 홍수전, 양수청의 세계가 아니란것이다. 하물며 범명원, 조자건의 시체가 이렇다는 해방을 경과치도 못하고 홍수전, 양수청의 시대적참빼을 요사한다는 것은 결코 부가능한것이다. 왕관운시집중 -팔칠이 연작에 속하는 독행제삼십장(권구)이 있는데 그중에 이십년한의 시사를 횡사한것이 있고 때때로 대청한 양평이 있기도하나 대관절 문장이 통하지않고 적술이 명백치않는례가 있어서 말하자면 조해한 삼십편의 가훌훌라고는 하겠i나 시라고는 할수없어서 생각다못해 겨우 찾어낸것이 그의 {강관행,기장수훌훌제구감도}란 일편을 들어 이 대명정정한 대시인을 대표하렸더니 그도 문장이 태반은 부통하으로 이에 약하는것이다.

그러나 이 시대에도 당연코 한사람의 시A만은 이 시대를 대표할수있는 시인이 있었다. 그는 바로 상원의 김화로서 자를 아친라하고(일팔일팔=---팔팔오){추전P금관시횡}라는 칠권의 저작이 있는데 일팔오삼년 남경성o1수락당할때 김화가 그때 성중에 있어서 장발원의 군중사람들과 왕래해가며 점점 많은 사람들과 결합해 가지고 관병들과 내응할 계획을 하였든것이다. 그때 향영의 대본영이 성밖에 있었으므로 김화가 가만히 성밖으로 버서저나와서 내응할 계획을 관병에게 고하였i나 향영이 처음에 믿지않으므로 그 자신이 스사로 A질이 되어 대본영에 있기로 보증한뒤 성내의 동당과 관병이 약정한 기일에 성을 쳤i나 관병이 오지않으므로 다시 기일을 정했는데도 관병은 오지않고 성내의 동당에 구성당한이만 많었든것이다. 그래서 김화가 친히 위성중의 생활을 경험하고 또 당시관군의 청패무능함을 통한하였i으로 그의 기사시는 사람을 감동케할뿐만아니라 또한 역사적으로도 매우 가{직있는것이며 그의 {통정편}(권이, 이O=이일혈)은 일기체로 쓴 시인례 남경의 낙성하는 상황과 성중의 정형을 그린것i로 그 일절을 예를들면 이월도 이십삼일 대군이 처온다 한번 들이자 도적은 황황해서 왼종일 세네번 북을 울리는데 남방백성 서로들 같은 마음에 또다시 재생의 빛이 불타고 늠늠한 향장군의 위엄, 하늘처럼 거룩히 우러를계도적의 각소리 또한번 불이면 장군의 말굽소리 들랄세라 맛난 안주도 향그런 술도 장군。1 오실세라 받들어두고끄니마다 장군의 식사랑 밤이면 잠자리 걱정이 올혜 일곱난 어린애 플아래 놀다 무심쿄 길사람에 장군이 오신다니 큰누의 놀라서 셋빛얼굴 부즈렵다 말말나 뺨을 치는데 이제야 행차 마저 얼굴은 열홀에 아흐래 수척함도 애무쉐라 그중도 젊은 연석들은 한밤중에 충의를 맹서하고 심장한 드나드리 가는곳도 허리우 단짧은 날카롭더니 하루는 입성한단 그날에 제각기 병정들은 햇불을 들어 이제웹는 장군얼굴, 불상타 모두들놓아주라 일읍시폐 둬라서 장군념 바뿌신줄 알었으리 손에 넘는 공사도 있으리 그의 육월초이일 기사시백수에는 전면에 향영의 각일 출병한다는 상황을 추사하는례 먼저 사후에게 대향훌을 베풀고 장군이 직접으로 술을 처주고 선촬를 한뒤에 명일 새벽에는 단연코 출전을 준비한다는 구십여구를 쓴뒤에 편말에 와서 겨우 말하기를 북치고 가볍게 뛰면 웅빨은 힌깃들이 나부끼는데 이제야 오랜 음우도 끝나고 찬란한 무지개 보히네 밤조차 수선수선 참못일고 아층햇발 눈에 부시드니 한낮은 벌서되고 성난 말들이 코부는 소리도 들리네 그러나 하루종일 둥둥 떠가던 해오래벼 보히면 칼엔 피안묻고 봄에 흙칠도 못한 전군은 돌아서 오네. 이것이 벌서 단순한 조자만이아니고 i종 독폼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난조적인 담제가 역시 김화의 특별한 장처인데 여기서 우리가 더욱 흥미를 느끼는것은 그가 전민오민가의 외손、이라는것과다수임외사}와 및 {속임외사}의 저자라든지 {비림외사}중에 나타나는 몇개 중요한 A물들과 모다조금식은 관계가 있는것이며 그 자신이 {비임외사}에 나오는 한사람안만큼 그의 시가 {귀임외사}의 난조적본령에서 득력을 한것도 사실일것이다.

그러므로 못있는 사람의 구자는 그냥z매펌I하는것만이 아니고 통곡언것이며 경장이 아니라 지한극통이 어쩔수없이 터저나오는것이다. 그러으로이사람의 이런 기술에는 확실히 주남나 백거역보다 별다른 일면에서 문제시를 쓴것이 수없이 많:나 여기서 ---히 예를 들수없으되 김화의 시에화신적정신이 풍부하다는것은 그가 담기의 {환우집}에 쓴것을 보면 이 한권 책자는 시라고는 말하지않는다. 만약 시라고할것같오면 군중에서 쓴 모든 작품이 말은 H1록 통협한것이나 벌서 옛사람들의 교훔한 풍격을 버렸고 더욱 요즘 선배들의 배조하는 법이 아니라. 그러므로 오늘날 제공들이 이러니저러니 하든바요 또 이러한 홈배에 윤뚫이 있다는것이 휴지와 맞캡이나 그러나 그도 또한 기수가 그렇게 만드는떼야어찌하리요.

이러한 의미에서 오십년의 시첼이면에서 그를 한개 중요한 지위에 둔다는것은 총대로 고이할바 없는 것이다. 그러면 이 오십년간의 조는 어떠한것이냐하면 모두몽뿔、(오문영)파에 중독되어서 아무런 가{직도 없는것이므로 여기서 토론하지 않기로 하는 것이다.



일팔사。년 청편전쟁이래로 중간에 일팔륙。연의 영불련합군이 천율을 돌파하고 북경에 들어와 원명원을 불태워버린 전사를 경과한둬 중흥의 전쟁에는 서양A의 조력을 얻은바 많었으므로 사리에 현명한 사람들은 차차 서양각국이라는것을 중요시하게되었으니 일팔륙일년 청정은 {총이각국사 무충문}이란것을 설치하였고 다시 일팔륙칠년에는 {동문관}을 설치하였으며 학생을 외국에 파조하여서 그들의 정책들을 배워오게하였는폐 당시의 석고한 사회에서는 차종 정책에 극력으로 반대했으묘로 동문관은 좋은 학생을 얻지도못하고 외국에 파유한 학생들중에는 더욱 사람을 얻지못하였으나 그러나 십구세기말년부터 난역사업이 점점 발달하게되었으니 전교사들중에도 {이제마태}같은이는 중국문사들의 조력을 얻어서 부소한 서적을 편역하였고 태평천국의 문사 왕의같은이도 이 사업에는 중흉흉한 한사람의 선종이 되었었다.

그러나 당시의 난역사업이란 그 범위가 그다지 광%L하지는 못하였으니 제일종은 종교서적으로서 그중에도 가장중요한것은 신구약전서의 각종난 역본이었고 제이종은 과학서적이나 또는 응용과학서적즈L로 당시에는 {격치}의 서적이라고ι말하든것이며 제삼종은 역사, 정치, 법제, 등류의 서적안폐 {태서신사요응}이나 {만국공법}등서적이 전역되어나온것은 매우 자연스러운일이었다. 종교서적은 전교사들의 담동적 사업이었고 과학서적으로 따지변 당시에 모두 진은병선의 기건적학문이란것을 알기혜문이었으며 역사법제등서적은 당시 중국인으로써 서양사정을 이해하도록 하기뚫한것이었i나 이밖에 서적 낭 문학서적이나 철학서적같은것은 당시 어떠한 사람들에게도 주의를 껄지못하였i니 그 역시 필연의 사세였다는것은 그때의 중국의 학자라는 사람들의 거이 전부가 생각키를 서양의 진은라는것은 무섭지않은바아니나 문예, 철리에있어서는 저들이 아무리해도 오천년 문명고국언 우리들에게 멀리미치지못하리라고 생각하고 있었든것이다.

그런데 엄복과 임사의 큰 공로는 이러한 양대결짧을 보구한데있는것이니 엄복으로 말하면 {서양근세사、상、}을 소개한 제일인o1었고 임종로말하면 {서양근세문학}을 소개한 제--A이었다. 엄복의 이역한 {혁수레}의 {천연론}(진화론-역자주)은 광적곤신(일팔구륙)이었는만큼 일청전쟁의 직후이고 [용방변법의 직전인데 그의 {천연론}이 출판된 이후(일팔구팔) 중국의 학자들도 서양에 진은병선이외에 정도한 철학사상、이 우리들의 탐용하기에 넉넉한바있다는것을 점차로 깨닫게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사상、사상의것인만큼 여기는 말하지않는것이다.우리들이 여기서 응당히 한번 토론해볼것은 엄복의 난역하는 문체일것이다. {천연론}의 {예언}에서 그 자신이 말한바도 있기는하지마는 당시로 보면 자연、히 백화를 사용하기는 곤난하였고 그렇다고 팔고식적 문장을 쓰기에는 더욱 부편하였으므로 그의 난역하는 문체는 당시로보면 부득이한 방법이라 실로 전청관제가 {홍례자}를. 쓰고 연설하는 격이나마 그의 역서의 가{직는 매우 높은것이므로 당시의 고문대가로 자타가 공인、하는 오찮논 같은이도 {천연론}의 서문에 {훌훌훌훌여진주제자상상하}라고까지 격호케한 것이다.

엄복자신 역시 그의 역서방법을 말하기를 {십법사유긍·[학아자병]내유방다·흐름끼이시서청구실야}(천연론례언)라고한것은 고이치않은것이니 엄복으로말하면 영문이나 고중문의 정도가 매우 높은데도부포하고 그가 항상 주의하고 혐차로히 하지않었으므로 비록 일종의 {사문자}-를 사용해서도 완전히 {달}한다는폐까지 성공을 하였든것이다. 그의 역서할때의 정중한 용의、라든지 태도에는-정히 감뼈,할바있어 우리들의 모범이 되기에 넉넉한바있으려니와 그 담신이 일찍이 말하기를 {도언}이란 일개 명조를 쓰기청해서는 그는 처음 {툴언}이라고 난역을 하였든바 하회우가 {연、언}이라고 고친일이 있었는례 오찮편이 또 찬성치않어서 최후에 자기가 {도언}이라고 고쳤다고 또 말하기를 {일명지립, 구월관구, 아죄아지, 시존명철}이란 엄복의 훌짧역이 능히 성공하는 까닭의 대부분은 {일명지립, 구월강구}라는 이 정신때문이다. 이 정신이 있고서야 {고문이나백화}를 꺼논하고 거이 성공하는법인데 후인들은 그와같은 공력도 없고 그와같은 정신도 없이 반통부통의 고문을 사용해서 일지반해의 양서를 난역한다는 무리들이야 자연히 실패하지 않은 예가 없었다.

그리고 엄복이 난역한 서적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는폐 {천연론} {군기권계론} {군학훌훌언} 같은것은 원문에 자못 문학적가f직가 있는것이지마는 그의 역문 그것도 고문학사에 역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것이며 그래서 그의 서풍이 이십년동안이나 성행한 것이다.임결의 난역한 소{뮤마}의 {다화녀}=(구희 역자주)도역시 고문으로연애소설을 난역한것인만큼 한개 시험으로서 의의가 있을뿐만 아니라 자고이래로 고문이 생긴뒤에 이러한 장편련애소설을 쓴 문장이 없었느니만큼{다화녀}의 성과는 그로하여금 고문개관에 한개 새로운 식민지를 만들게한것이다. 임경가 초년에 난역한 {다화녀} {흑없고천록} {정철노급} {이전금전혈여성기}등서가 맛츰 손에 없어서 --히 예를 들지는못하나 능히 원서를 읽는 사람에게는 다소 역법에있어서나 문장에있어서나 완전한 만족을 느낄수는 없다하드래도 평심하고 볼것같으면 임경의 소설에는 그 자신의 풍격이 왕왕히 나타나나니 그가 원서의 심각한 소낙취미를 이해하는 경지가 높음으로써 그러한 곳에 다다르면 한층 더 힘을 쓰므로더욱더 정말가 나는것이다. 그저 그의 결점을 말하자면 원서를 능독치못랬다는것이겠으나 그래도 그가 문학적으로는 천재이었든만큼 만약 그에게 청명한 조수가 있어 그로서 원문을 죽죽 읽는 사람들보다는 좀더 높은 경지에서 그일을 하였으리란것은 지금에 원서를 읽는다는 사람들이 완전히 원문을 이해하는 이가 없고 또 그들의 백화를 쓴다는 정도가 임경가 백화를 사용하는 능력에 멀리 맞지못하면서 함부로 임경의 전역소설을 비평한다는것은 임결로하여금 너무나 영광케하는것이다. 그러므로 공평한 말로 하면 임결가 고문을 써서 소짧을 편역혔다는 시험은 말하자면 큰 성과를 얻었다는것은 고문으로는 일즉야 한번도 장편소설을 쓴일이 없는데 임경는 남이 못한 고문을 써서 백여편의 장편소설을 전역해냈고 그를 배우는 수많은 사람들이 역시 고문을 써서 허다한 장편소설을 전역했i며 고문에는 제획성이 부족한떼 부포하고 임경는 고문으로 {떡켄스}의 {이도애화}를 훌짧역했 으며 고문으로는 연애소설을 쓰기에는 부적당하다는데도 임사는 고문으로{다화녀}와 {유휩소전}을 난역하야 고문의 응용에있어서는 사마훌훌이래로 어떤사람도 이러한 성과를 거둔이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도 마침내 실패에 돌아갔다는 것은 그 이유가 임경자신에 있는것이 아니고 고문 그 자체에 탈이 있는것이다. {고문도 소설를 홉홈역할수 있다}고 우리의 많은소설을 난역한 사람들은 감히 말하리라·그러나 고문이란뽕경 {죽은문자}이라 어떠한 형식으로 만든다하드래도 그것은 결국은 소수인의 {상완}에 제공할 뿐이지 이 이상 더 생명이 있는것도 아니고 이 이상 더 보급이 될것도 아난껏은 여기 한개 명현한 예를 들면 주작인이 그 형홈、짧과 초기에 고문으로서 소설을 전역했는데 그들의 고문공부가 매우 높은 경지에 있었고 또 모두 직접으로 원문을 이해한만큼 그들이 난역한 {역외소설집}은 임경가 홈햄역한 소설에 비하면 그 내용이 훨신 높은 작품인데도 부포하고 주민 형제가 신신고고해서 전역한이 소설이 십년간에 겨우 이십일책이 팔렸다는 이 옛얘기로도우리가한개 각폼할것은 주민형제가 고문으로 써서 얻은바가 잃은바만 못하고 결국은 실패했다는 것이다. (이하중단)

석 출전 :《문장》(1941년 l월 ·4월호)
공인 깽끄단 중국 청방비사소고
공인 “깽 그” 團
중국청방비사소고

李 活
《개벽》(1935. 3)

一. 청방(靑幇)의 조직

惡의 華 ! 청방을 말한다해도 이것은 시카고의 알·카보네의 얘기는 아니다. 上海를 中心으로 한 중국 각도시에 그들의 방대한 조직을 가지고있는 중국식『깽}청방이라면 국민당의 流氓政治에 사용되는 형형색색의 도구중에 한개의 중요한 세력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상해의 {깽}성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유명한 불란서(佛蘭西)의 루이·뽀냐팔트가 이용한 Socrety of December Jenth나 帝政露西亞의 Black Hundred나 가까운 예로는 시카고의 {깽}들의 성질을 종합하여 상상하면 명료하게 알아질 수가 있는것이다. 물론 중국 전토에뿌리박은 {깽이라면 여러 가지 종류가 많은 것이지만은 그 질에 있어서나 량에 있어서나 조직의 치밀한 것이라든지 규율의 잔인한 모든 점으로보아 [청방]이라고 불러지는 상해의{깽}은 중국{깽}의 대표적인 동시에 그[멤버-]의 수는 호적조차 정확치 못한 중국이니만치 자세히는 모르나 사람에 따라서는 이만 내지 십만이라고 추정하는 이도 있다. 그리고 멤버의 자격은 하층사람, 불조계의 순사, 형사, 공안국의 공리, 유맹정치가, 공장감독, 노동계약자, 국민당의 노동지도자(황색조합의 간부) 시중의 소상인에 이르기까지이며 그들의 하는 일은 인신매매, 아편밀수운반, 방표(인질) 싸움청부, 도박, 총기밀매, 살인 등등이나 일면에 ×動政治의 도구되기위해서는 우국지사, 은행가부호, 고급정치가, 국민당 간부까지가 유력한[멤버-]로서 이면에 활약하는 것은 물론이고 장개석 자신도 선서한[멤버-]의 한사람이란 것은 너무도 유명한 사실의 하나였다.

그러면 이 {깽}의 수령 즉 암흑 중국의 대통령은 누구냐? 이것은 군웅이 접거하는 中國의 모든 사회가 그러한 것과같이 이{깽}의 사회에서도 두월생(杜月笙), (황금영)黃金榮, 장숙림(張肅林) 등 거물? 들이 버티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이 가장 봉건적 가장적인 이 결사의 주인들인 동시에 최고통제자들이며 따라서 대불란서조계(大佛蘭西租界) 내의 사실상지배자들이다. 불조계 당국은 그 등의 활동에 의하여 대금을 수확해드리는 대상으로 그 지배권을 그 등에게 양여하였다는 것은 두월생(杜月笙)은 정말 불란서(佛蘭西)의 시참사원의 한사람이었었다는 것만보아도 알수가 있다. 본래 柱, 黃, 張의 삼대두령들은 민국 이십년도까지도 상해를 삼분하여 정족의 세를 일구고 서로서로 협조하여 왔던 것이지만은 아편의 이익으로 말미암아 내부의 암투는 황금영(黃金榮)의 세력를 희생하고 두월생(杜月笙)의 강대를 결과하였으며 경쟁에 이긴 두월생은 드디어 상해의 [츠아-]가 되고말았다.

二. 그들의 정치적 역할

중국의 {깽}! 이것도 민국 십칠년까지는 순연한 유맹의 집단이었다. 그래서 일반으로는 봉건군벌인 손전방(孫傳芳)과 결탁하여 아편과 노예의 운반을 하는데 지나지 못하였으나 中國××이 ×動化한 同年 四月에는 이것이 정식으로 정치적 도구가 되어 등장하였던 것이다.

國民××軍이 멀리 상해를 향하여 진격하고 있을때 상해의 시민들은 환호하며 무기를 잡고 손전방(孫傳芳)을 상해로부터 쫓아냈다. 그리고 광동의 백숭희(白崇禧)장군이 國民 17年 3월 21일 상해에 도착했을때 당시 상해를 완전히 지배하던 근로자들은 무대의 후면에서 무엇이어떻게 되는 줄도 모르고 장개석을 지도자로 한 국민군이 상해에만 도착을 하면 꼭 자기네를 해방하여 줄줄만알았다. 그래서 그 등의 대부분은 무기를 던지고 상해를 [정당한 상해의 당국]에다 넘겨주었던 것이다. 바로 그 2일 후 남경사건에 뒤이어 장개석은 남경에 좌정하고 全市中의 은행가들은 회의를 열었으니 그 결과는 모든 선량한 근로자들에 대하여 직시 전율할 [테러리즘]이 행하여졌다. 그래서 즉시로 무기를 포기하지 않는 자들은 얼마인지 그 수조차 모르게 몰려가서 ××을 당하였다. 그러나 그 하수인들은 장개석 자신의 병사는 한사람도 아니었다. 그것은 그때까지 병사 자신들은 민중의 동맹자일지언정 민중이 적이 아니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다.

사시(沙市), 만현(萬縣) 등 사건과 유명한 민국 15년의 오, ??사건을 지나고 얼마 안되는 때라 외국병사들도 이××에는 한 사람도 직접 하수인이 되지는 안았다. 그××은{깽}의 손으로 행하여진 것이며 그 기금만은 경로가 있었다.

이 {테러} 집행대장은 바로 장숙림(張肅林)이었고 그는 당시 제일유의 {깽}이었다. 그뒤 그들의 동료들중에는 국민당 중앙위원회의 {멤버-}가 된자도 있었으며 장개석에 선발되어 상해경비사령(上海警備司令)에 등용된 자도 있었다. 이뿐만아니었다. 상해에 있는 ×國警察과 결합된 {깽}들은 수많은 노동자 [인테리켄차]를 ××하였으니 그 제1회의 [테러]가 광란 한 판에 육천 남녀의 희생자가 났다. 여기에 차마 웃지도 못할 삽화가 있다. 그것은 두월생의 비서역인 한 사람은 제남대학의 종교학교수로서 그후 제남사변이 발발될때까지 일신량역의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였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깽}은 민국 17년 이래로 국민당의중요한 무기가 되었다는 것은 주로 노동자들의 대중운동을 압박하는 것과 조합운동을 통하여 스트라익을 궤멸시키는 역할을 맡아 연출해 왔다. 그리고 종래의 모든 노동조합을 분쇄한 후 [존경할만한]? 새로운 조합을 창설한 {깽}들은 국민당의 노동운동의 지도도 맡아왔다.

三. 정치성질의 발전

백%의 효과를 발휘한 민국 17연후의 {깽}을 발견한 국민당 지도자들과 그 계급적 배후자들은 벌써 그냥 있을수는 없었다. 될 수있으면 청년과 달여붓기 시작하였으니 두월생은 더욱더 위대하게 성장하였으며 그의 세력은 확대되어 경제적 정치적으로 국민당정권의 계급적기초를 형성하고 있는 거리에서는 식민지뿌르조아지의 진정한[맴버-]가 되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그는 점차로 정부의 배경이 되어있는 계급의[멤버-]와 정부와 및 그 배후자의 계급이 이용하는 암흑한 하층계급의[츠아-]로서 이중의 역할을 일신에 결합하게되어 이 청방의 [츠아-]가 중요한 역할을 한 정치회의라든지 장개석과의 사이에 행하여진 비밀회의의 기사가 때때로 신문지상에 오르내릴때에는 그들 거물?들은 벌써 남경정부의 명향고문이라는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지반을 가진 우월생은 동시에 장학량(張學良)의 고문도 된다. 그것은 민국 21년 3월 장학량 부인이 상해를 방문하였을 때는 그 화려한 호텔이 즐비하게 나열한 거리를 지나서 화객기로에 있는 금역을 두른 궁성과 같은 두월생의 저택에 손님이 되었다.

민국 21년 5월 1일 남경정부는 두원생에게 상해의 코뮤니스트에 대한 억압을 하기위하여 그 수석의 관직을 수여한 것은 유명한 사실로서 당시 북중에서 이름높은 천진대공보는 다음과 같은 기사를 실었다.

[유명한 상해의 두목 두월생은 불란서 조계내의 다른 유력자와 함께 회의에 소집되어 참석하였다]

이 중요한 비밀회의에서 무엇이 토의되었는지는 대다수의 중국 사람들은 알고 있는 것이며 또 중국신문에 때로는 보도도 되었던 것이다. 이에 그런 중국신문들을 재료로서 상고하여보면 장개석은 상해에서 초공공작(剿共工作)을 강화하기위하여 보다 더 강력적인 [테러]단을 조직하려고 일금 백만원을 {깽}에게 내여놓고 동시에 정객과 {깽}과의 사이에 아편운반에 대한 밀약을 맺었다. {깽}은 그 주요 수입을 강소(江蘇), 절강(浙江), 양자강(楊子江)유역의 아편으로부터 짜내고 남경정부에서는 소위 아편전매에 의하여 법외의 이득을 빨아올릴 계획이었었다.

남경회의에서는 아편전매기관의 관리는 남경정부로부터 임명하기 전에 미리{깽}측에서임명하던지 최저한도라도 이들의 승인을 얻어 임명하기로 되어 지배는 의연히{깽}의 수중에 잡혀있었다. 그리고 그뒤의 소문은 또[스테-숀]의 송자문(宋子文)(당시재정부장)의 암살소동도 이들 청방두목들의 암투의 결과가 폭발한 것이라 전하여졌다.

이뿐만아니라 회의에서 두월생은 금전이나 세력만을 요구한 것은 아니었다. 즉 그것은 [面子]-명예까지도 요구하였다. 그의 이름을 상해부근이나 적어도 중국은 모르는 사람이없다. 또 그의 지위라든지 그의 수입의 원인이라든지 그의 활동의 성질이 어떠한 게라는 걱도 다 알고 있다. 그래서 그는 포동하를 건너서 굉장히 호화한 가랑을 세웠다(양반이 될 작정이었다) 바로 민국 21년 6월 9일부터 10일까지 엄청나게 큰 제전이 거행되었다. 장개석은 두월생의 지배구역내에 있는 무관, 문관, 국민당지부할 것 없이 명령하여 I축전을 보내게 하였으며 당일 상해는 여간 소동을 한 것은 아니었다. 수천의{깽}들과 실업가, 정부의 관리들로 된 장사의 대행렬이 화객효로에 있는 두월생의 저택으로 붙어나와서 특별경계에 정리되는 도로를 통하여 상해시를 횡단하였다. 행렬의 선두에는 장개석, 장학량, 상해시장 왕정연(王正延)박사, 불란서총령사, 기타 국민당의 관리, 전국으로부터 지명지사가 보낸 축기 등등이 흘러갔었고 두월생은 자기가랑에 참배한 사람들을 위하여 포동하(浦東河)를 왕래하는 특별[랜취]를 새로히 준비하였다. 참배자 중에는 남경정부의 대신, 상해시장, 그외에도 대부분은 고위고관이 자진참배하였으며, 장개석의 대표로는 당시 시장 장군(張群)이었다. 이날두월생은 종자와 친근자들에게 {팁}으로 준 돈이 칠만원이었다고 중국신문들은 보도에 혈안이였었다. 이만하면 얼마나 큰 소동이었다는 것도 상상할수 있는 것이지만은 이뒤로부터{깽}의 [츠아-]인 두월생과 그를 둘러싼 청방들은 보다더 그등 본래의 사명을 열심히 수행하였으며 젊은 노동자, 학자 작가, 학생 등등에 대한[테러]는 더욱더 맹렬하여졌으니 체포, 고문, 암살 등등은 중국민족혁명사에 얼마나 두터운[페-지]를 비린내 나는 피로 칠하였는지 모른다.

四. 청방과 노동 계급

청방들은 노동자에 대해서는 스파이인것이다. 조금만 저들의 명령에 거역을 하면 그것은××이다. 그뿐만아니라 국내자본이나 국외자본의 압잡이로서는 현장두목도 되고 노동계약자도 된다. 어느 조합에나 어느 공장에도[깽]의 그물이 안치여 있는 곳은 없다.

이러한 정황밑에서는 [스트]를 한다하거나 노동자를 어찌한다는 것은 벌써 문제가 아니다. 좌우간[깽]들의 안경테 밖에 벗어만지면 체포되고 체포만 되면 장기나 사형쯤은 각오해야만 하는 것이다. 국민 21년 9월 불란서조계의 전차종업원의 파업때의 한사람의 노동자는 아주 적당한 예였다. 그는 매우 정녕 한 노동자였으나 공산주의자라는 협의로 기소되어 하등증거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청방의[멤베-]인 공장감독들이 열호한되지도 않은 팜프렡을 증거라고하여 그는 그런 것은 일생에 본 일조차 없다고 하였건만 변호인도 변론도 없이 십분간의 재판으로 십개년의 징역에 십이개년간 모든 권리를 박탈한다는 부가형까지 선고하였다.

국민당의 지배한다는 노동조합은 완전히[깽]의 수중에 있다. 그 등은 조합의 간부로서 쟁의나 파업때에는 독립행동을 하는 것이다. 그 대신 그 등은 호화한 저택에 살고 있을 뿐아니라 그 등은 직공전체의 노임을 공장주로부터 받으면 두전이라고하여 몇할쯤은 제 주머니에 실례를 한다. 그리고 노동계약자로 부터는 회뇌을 강요하고 은혜깊은 공장주에게선 직접보조금을 받으며 노동자에겐 아편을 강제로 팔고 노동자의 자녀는 노예로 사서 따로 돈벌이를 시켜먹는 것이다.

민국21년 하반기 상해의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면 어느때나 실패를 하게됨으로 자기들의 조합에 대하여 단연코 항의를 했다.

12월초에 상무인서관태업은 청방들과 호주가 짜고 유린하여 실패하였으며 동월 26일 상해의 제모, 제약 등 노동조합들에서는 조합원들이 자기네의 마음대로 되는 조합을 만들어보겠다고 구조합의 본부를 습격해보았다. 그러나 국민당과 청방은 이것을 완전히 진압하였다. 그리고 노동자층이나 공장에는 스파이와 선동자를 밀파하고 노동시장과 조합을 지배하는 동시에 청방의 대두목은 자신진두에 나와서 쟁의나 파업의[중재자]짓을 한다. 국민당의 광폭한 탄압활동의 대이인으로서 두월생은 활약하는 것이다. 그의[중재]로서 가장 광휘있던 예는 국민 22년 1월[초상국]의 대파업때이었다. 일천인의 선원이 1월 7일 전부 하선하고 13소가 정선하였던 때니 그때의 요구조목은

1. 더블 보-너스를 다오

2. 선원조합을 승인하라

3. 사무소에서 일하는 것과 동등으로 취급하라

4. 사고없이 하는 해고 절대 반대

5. 연말상여를 영속하라

1월 9일 청방두복 두월생은 [중재]자로서 이 쟁의에 정면으로 등장하여왔다. 그래서 그는 먼저 감언이설로 1소만을 설복하는데 성공하였다. 1월 11일 두월생은 파업중 선원들과 대면하여 최초의 삼항은 승인될줄로안다 그러나 끝으로 이항은 안될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 익일 간부들을 쑥덕여서 분열케하고 회사의 태도는 미명도 되기전에 중재는 어름어름하고 파업은 터졌다.

상해사변의 뒤를 이어 오십만에 가까운 실업노동자는 가두로 흘러나왔다. 국민당사회국에는 물론 노동자들의 대표가 파견도 되어보았으나 순사에게 거절되어 만날 사람은 만나지도 못하였다. 그러나 노동자의 압력도 결코 적은 것이 아니었음으로 사회국은 [실업구제위원회]라는 것을 만들어서 빵에 주린 노동자들에게 빵대신으로 위원회를 턱 밑에 내받은 것이다. [구제기금모집]을 위해서는 소위원회라는것이 조직되었으나 그것은 별것이 아니고 두월생 등등이 모인 것이었다. 그래서 위원회의 주요한 역할은 노동자를 문서상으로 등록하고 즉 다시말하면 사회의 해독을 제거하기 위해서 위험분자를 힘써 제거하는 것이었다.

5. 청방의 두복과 정치

한때는 국민당좌파는 상해의 청방과 결합하여 장개석의 그룹을 위협하고 자금을 빨아 올린 일이 있었다. 그러나 왕정위가 영파의 히틀러-장개석과 결합되어 극우익에 달라붙고는 그러한 소식은 벌써 끊어졌다. 왕정위가 민국 21년 말 상해에 왔을 때는 그 목적은 표면상 남경과 광동을 합작케하려는 평화회의였다. 그러나 그 실은 장개석에게 달라붙는 제일보였으며 양자의 중간에서 산파역을 한 것은 청방의 삼대두목 중의 한사람인 황금영(黃金榮)으로서 그는 그 대상으로 오늘날도 [大世界]라는 큰 생재기관을 가지게 되였다. 그리고 왕정위가 회의에 열석하려 상해에 들어올 때에는 두월생의 소유한 특별 [랜취]는 그를 불란서조계 [빤드]까지 운반하였고 그곳에는[깽]들이 자동차를 가지고 대기하고 있다가 그의 저택까지 호위해 보냈다.

그 외에도 동년11월말부터 12월 초에 이르기까지 왕정위가 그 도당인 소위[개조파]의 동료들을 소집하여 중앙위원회를 열고 간부를 개선할때 왕 자신을 합한 10명의 위원이 지명된 이외에 14인의 보결 [멤버-]에는 두월생의 비서 한 사람도 당선되었으며 그 회합의 장소는 황금영의 경영하는 도박환락경이 있었다.

민국 21년 낙양에서 열린 국가긴급회의에도 깽의 삼대두 팀들은 대표로 선발되어 이들은국민당의 소위 당치에 기회있는대로 정치적 지도자로서 활약하였으나 이 중에도 황금영은 출석하였었고 두월생은 뒤에 처져서 2당정치에 반대하는 60인 중 한사람으로 선언서를 발표하였던 것이다.

구, 일팔 이후로 항일회가 조직되었을때는 청방의 지도자들은 엄청난 활동도 하였다. 외화배척으로 남는 막대한 배당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수천 인의 애국정신을 이들은 즉석에서도동원시킬 수도 있는 것이었다. 그후 상해사변에는 23인의 청방두목들은 19로군에게 무기를공급한 대상으로 거대한 돈벌이를 할 수가 있었다. 일절의 회합과 행렬과 결사와 언론이 용서되지 않는 국민당의 치하에서 상해의{깽}들만은 모든 악습과 범죄의 대비밀결사를 만들어 가지고 가장 대담하게 한 세력을 위하여 다른 한 세력을 궤멸하기에 난폭하게 상해의 지붕 밑을 돌아다니는 것이다.
중국현대시의 일단면
李陸史
《春秋》(1941.6)

이런 문제(問題)를 우리가 생각해볼 때 무엇보다도 먼저 머리우에 떠오르는 것은 중국(中國)의 현대문학(現代文學)이란 전면적문제(全面的問題)를 위선 염두(念頭)에 두고서 고찰(考察)해보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혁명문학(革命文學)}에란 중국현대문학(中國現代文學)의 일대전환(一代轉換)이었던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민국 사십년(民國 四十年)의 [五州事件]이 일어나기까지는 소위(所謂) [문학건설(文學建設)]의 시세였으므로 자연히 기교방면만을 중시하게 되었지만 이때부터는 문학이란 그 자체의 내용이 요구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이때까지는 로-만티즘의 단꿈을 그리며 상아탑 속에 들어앉어 한일원(閒日月)을 노내던 문학인들도 이 시대적 격류(激流)에 휩쓸려서 십자가두(十字街頭)로 걸어나오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면 여기서 다시 신문학건설의 시대로 올라가서 시대 시(時代 詩)의 발전과정을 더듬어보는 것이 현대중국시단(現代中國詩壇)을 이해하는 첩경일 듯 하다.

그러면 시대 중국시는 그 발전과정에 있어 어떠한 길을 밟어왔는야하면 먼저 시체(詩體)를 파괴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 그것은 이절의 산문이 사육병체(四六騈體)를 무시한 것과 같이 현대시는 이때까지의 중국시가 가지고 온 생명이며 전통인 오언칠률(五言七律)의 형식을 완전히 말살하는데 있었다. 시체(詩體)의 해방이란 중국의 신문학건설의 초기에 있어서 주요한 문제의 한 개였던만큼 신문단에서 그 생장도 소설이나 희곡에 비할여 훨씬 더 빨랐다. 그러나 그 당시의 신시즉백화시(新詩卽白話詩)는 한 개 작품을 볼때는 어느것이나 유치한 것이였으니 그 예를 백화시(白話詩)의 수창자인 호적박사(胡適博士)의 [상시집(嘗試集)]에서 보거나 그뒤에 나온 호회침(胡懷琛)의 [大江集]이나 유대백(劉大白), 유복등(劉復等)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모다 어찌 어색한 것이 마치 청조관리(淸朝官吏)가 대례복(大禮服)을 입고 여송련(呂宋煙)을 피우듯 어울리지 않은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공전무후한 태동기를 지나오면서 강백정(康白情), 유평백(愈平伯), 왕정지(汪靜之), 곽말약(郭抹若) 등의 무운시라거나 사완영(謝婉瑩), 종백화(宗白華), 양종대(梁宗岱) 등의 소설형식이 이 시대의 대표 작품이었고, 시체해방(詩體解放) 후에 가장 성공한 작품들인데도 불구하고 비록 오언절률의 시체는 파괴했다고는 할지언정 옛날부터 내려오던 사(詞)에 대한 취미(趣味)를 완전히 탈각하지는 못한 혐의는 사람마다 지적한 것이었다.

그러나 호씨의 [상시집]은 백화(白話)로 써진 최초의 시집인만큼 현대 중국시 남본(藍本)인 것이고 이와거의 동시에 시단에 등장한 것이 호회침(胡懷琛)의 [대강집(大江集)]이였는데 이것은 백화로 서진 구체시(舊體詩)라 문제가 되지 않으며 유대백은 [舊夢]이란 처녀시집이 있고 그 뒤 [풍운(風雲)] [화간(花間)] [홍색(紅色)]을 써서 4부작으로 되었으며 그 외에도 [중국문학사]가 있고 그 후 복단대학문과주임(復旦大學文科主任)을 거쳐 국민정부 교육차장이 되고는 시와는 인연이 멀어졌으며 유복은 [양편집(楊鞭集)] [와부집(瓦釜集)] 등의 잡품이 있으나 원내가 읍리대학의 문학박사인 만큼 국립북경대학중법대학의 교수, 주임, 원장 등에 영달하였고 본시 그 작품보다도 그는 음성학의 전문가인만큼 그 방면의 공헌이 더 큰 것이다.

그러면지금부터 보다더 현대시를 진보시킨 무운파를 찾아보면 대표적인 사람들로는 강백정, 유평백으로 강은 {초아(艸兒)}를 유는 [동야(冬夜)]를 내놓은 것이 이 파의 최초의 간물이고 또 시단에서 상당히 중시되었다.

그리고 이들 중에도 왕정지와 곽말약은 서정시로서 유명했는데 이 두시인은 어느 점으로나 대차적인 처지에서 볼 때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은 과말약의 [여신(女神)]이 전체의 운명을 위하여 모든 정세를 기울이는데 비해서 왕정지의 [혜적풍(蕙的風)]은 대담하게도 한 개인의 청춘에 정화를 분출하는 것이었는데 이 두 시인의 성공 불성공은 차치하고 하여간에 당당한 시대의 폭로자였다는 점에서 볼 때 어느 때나 공통된 [하-트]의 소유자였다는 것은 부인하지 못하는 것이다.

기왕 무운시라는 말이 났으니 한말 더하면 둘것은 심윤묵(沈尹默)(1883)의 존재인 것이다. 그는 절강성오흥현 사람으로 나종북대 교수로 평대학교장까지 지냈지만은 그의 작품이 민국 6년에 [월야(月夜)]로 출판되었을 때 신체시로서 상당히 평가될 조건이 구비된 것이었으며 실로 무운시의 최초의 출판물이었다. 그리고 지금이야 유명한 주작인도 그 시대는 시를 써서 [소하(小河)]라는 당대의 명작을 발표하였고, 시집으로 [과거적 생명(過去的 生命)]이 있는 것은 기억해 둘바이나 그는 적시 유-모러스한 소작문에 장처가 있는 것이며 일본문학연구가로서 생명이 더 긴 것이다.

그 당시에 소시를 쓰던 사람으로는 누구보다도 윤수시인(閏秀詩人) 사영심(謝心)을 찯아야 한다. 그는 1903년에 복건성 민조에 나서 연경대학을 마치고 아메리카의 웰즈레-대학인가 단일때 [신보부간(晨報副刊)]에 [기소독자]라는 아동통신문을 써서 유명해뎠고 시집 [춘수(春水) [번성(繁星)]이 있으며 때로는소설도 쓴다고 하나 본일이 없고 그의 고백에 들으면 자신 인도 시성 타-골의 영향을 받은 바 크다는 것이다. 시인으로 다른 시인의 영향을 받는 것이 옳고 그은 것은 그 자신이 아닌 이상에 말할 바 아니나 기왕 영향의 이야기가 났으니 말이지 바로 파에 속하는 종백화야 말로 그 고백과 같이 [유운(流雲)]에도 꾀-테의 냄새가 적지않게 발산하는 것이다. 그런만큼 사장의 청신함을 높이 헤아리는 수 있으나 격조가 왕왕히 진부함은 이 시인이 얻는 것도 적지 않는 대신 잃은 것도 컸었다. 그 다음 [훼멸(毁滅)]과 [종적(踪跡)]을 세상에 보내서 알려진 주자청(朱自淸)이 있다는 것은 잊어서 안될것이다···(이 시인을 위해서는 후일 구체적인 것을 써 볼가한다.)

이 시기에 누가 중요하니 어떠니해도 중국의 현대시를 시로서 완벽에 가깝도록 쓴사람은 서지마라고 한다. 이때의 신시를 쓴사람이 모다들 신인인데 비해서 선배작가로서의 서지마(徐志摩)는 (1899-1931) 절강성 해영현에 낳고 일찍 영국검교대학을 마치고 국립중앙대학과 북경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작품으로는 [지마적 시비(志摩的詩翡)] [취냉적 일야(翠冷的 一夜)] [猛虎集] [雲遊集] 외에 산문집으로 [낙낙(落落)] [자부(自部)] [파리적인조(巴里的麟爪)]가 있으며 기부희곡(幾部戱曲)과 번역이있고 민국이십년 가을 상해서 북경으로 오는 도중 제남서 비행기의 고장으로 떨어져죽자 전국문단으로부터 비상히 애석해마지 않았다. 뿐만아니라 그의 생전에 있어 남들이 지목하기를 지마(志摩)는 한소능로 중국신시단을 정정한 [시철(詩哲)]이라고 했고 현대시의 동양이라고 한 것은 비록 과분한 평가일른지 모르나 그의 현대중국시단에의 위치는 누구나 부인치 못 할 것이다. 따라서 그가 중국의 현대시단에 남긴것도 그 내용방면보다는 형식과 기교방면에 있는 것이니 용운이나 비예에 있서 신규율을 창조한 헌(獻)만이라도 중국시단 전체로 볼 때에는 실로 역사적 공헌이라고 아니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사상방면으로 보면 마침내 유한시인을 면치못했다는 것은 그의 생활환경과 사회적 지위가 그로하여금 한걸음도 실제사회의 진실면에 부다치게 못하고 개인주의 고성속에 유한시키고만 것이였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보면 현실의 조대에 말리는 사람들을 위하여 왕왕히 동정과 연민을 볼수 있다는 것은 단순히 이 시인의 환각만이 아니고 중국사회의 그 시대적 성격과 문단전체의 동향을 짐작해 볼때 이 시인의 휴머니티를 재여 볼 수 있는 것이다.

拜 獻

산아 네 웅장함을 찬미해서 무엇하며바다 네 광활함
을 노래한들 무엇하랴 풍파 네 끝없는 威力도 높이
보진 않으리라
길가에 버려지면 말할곳도 없는 고아과수(孤兒寡守)
눈속에도 간신히 피려는 적은 풀꽃들과 사막에선 돌
아가길 생각해 타죽은 어린제비
그를! 우주(宇宙)의 온갖 이름 못활 불행(不幸)을 어엽비해
나는 바치리 내 가슴속 뜨거운 피를 바치련다
힘줄에 흐르는 피와 영대(靈臺)에 어린 광명(光明)을 바처
나의시(詩)-노래 가락도 요량(嘹喨)한 그동안 만이라도
하늘밖에 구름은 그를위해 질기운 비단을 짜리
길-다란 무지개 다리가 이러나고 그 들로 끝끝내
소요(逍遙)할수 있다면야
요량(嘹喨)한 노래가락에 끝없는 괴롬을 살어지게하리.

再別康橋

호젓이 호젓이 나는 돌아가리
호젓이 호젓이 내가 온거나같이
호젓이 호젓이 내손을 들어서
서(西)쪽 하늘가 구름과 흐치리라
시내ㅅ가 느러진 금빛 실버들은
볕에 비껴서 신부(新婦)냥 부끄러워
물결속으로 드리운 고흔 그림자
내맘속을 삿삿치 흔들어 놓네
복사 위에는 보도란 풋 나문잎새
야들야들 물밑에서 손질 곧하고
차라리 「강교(康橋)」 잔잔한 물결속에
나는 한오리 그만 물품이 될가
느름나무 그늘아래 맑은 못이야
바루 하늘에서 나린 무지갤러라
부평초 잎사이 고히 새나려와
채색도 영롱한 꿈이 잠들었네
꿈을 찾으랴 높은 돋대나 메고
물풀 푸른곳 따라 올나서 가면
한배 가득히 어진 별들을 실어
별들과 함께 아롱진 노래 부르리
그래도 나는 노래쫓아 못부르리
서러운 이별의 젓대소리 나면은
여름은 버레도 나에게 고요할뿐
내 가는 이밤은 「강교」도 말없네
서럽듸 서럽게 나는 가고마리
서럽듸 서럽게 내가 온거나같이
나의 옷소맨 바람에 날여 날리며
한쪽 구름마저 짝없이 가리라
(年十一月六日中國海上)

이 이상더 지마를 역해본댔자 그것은 나의 정력의 허실외에 아무것도 아니란 것은 원래에 이 시인의 묘미가 백화를 구라파의 언어사용법과 같이 부단히 단어를 두치해 섰는데있고 백화로 읽을 때에 음률과 격조를 우리말로 이식하기는 여간 곤난한 것이 아니다. 이만하고 두기로하며 본의로는 좀더 많은 작품을 역해서 한사람의 시를 완전히 이해토록 하고저했으나 필자의 시간과 생활이 그다지 여유가 없는 것과 재능이 부족함을 심사해두며 이 외에도 주상(朱湘), 변지림(卞之淋), 왕독청(王獨淸) 等 유수한 시인들의 중국현대시단에 남겨준 공적과 작품에 대하여 대개나마 소개해보려던 것이 뜻대로 되지못했으나 다음 기회에 미루기로하고 이 고(稿)를 끝내지 않는 것이다.

---(四月二十五日夜於元出臨海莊)-----


36604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525
전화: 054-852-7337 / 팩스 : 054-843-7668 / 이메일: yuksa264@daum.net
Copyright 2009 by 이육사문학관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